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ⅲ
제1편 일반이론
제1장 행정의 기초이론 = 3
1. 행정국가와 행정 = 3
2. 행정의 개념규정 = 9
제2장 전통적 사회이론들과 행정이론 = 29
1. 칼 마르크스(Karl Marx) = 30
2. 막스 베버(Max Weber) = 36
3. 프로이드 = 44
4. 행정연구에 대한 시사점 = 50
제3장 정...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ⅲ
제1편 일반이론
제1장 행정의 기초이론 = 3
1. 행정국가와 행정 = 3
2. 행정의 개념규정 = 9
제2장 전통적 사회이론들과 행정이론 = 29
1. 칼 마르크스(Karl Marx) = 30
2. 막스 베버(Max Weber) = 36
3. 프로이드 = 44
4. 행정연구에 대한 시사점 = 50
제3장 정치와 행정 = 54
1. 초기의 행정이론 = 55
2. 정치ㆍ행정의 관계 = 59
3. 정치ㆍ행정이분론의 여파 = 64
4. 관리에 대한 과학적 접근법 = 68
5. 행정관리와 조직구조 = 74
6. 능률성 : 성공의 핵심적인 척도 = 82
7. 민주적 행정 = 85
제4장 관료제와 행정 = 88
1. 관료제의 역할 = 88
2. 관료제와 정책과정 = 91
3. 관료제의 정치 = 96
제2편 방법론
제5장 행정학의 전통적 접근방법 = 105
1. 행정학의 연구와 연구방법 = 105
2. 행정현상의 분석차원과 연구방법 = 107
제6장 행정학의 주관주의 접근방법 = 157
1. 행정연구의 새로운 시각 : 주관주의 = 157
2. 현상학적 접근법 = 159
3. 행위이론 = 162
4. 해석이론 = 167
5. 비판이론 = 175
제7장 행정학의 현대적 접근방법 = 185
1. 신행정과학 : 혼돈이론과 양자이론 = 185
2. 포스트모더니즘과 행정학의 정체성 위기 = 199
제3편 정책
제8장 행정학과 정책 = 223
1. 정책지향성의 발달 = 224
2. 공공정책과 대응성 = 228
3. 공공정책과 효과성 = 239
4. 정책집행에 대한 새로운 발견 = 243
5. 정책분석의 방법들 = 250
6. 오스트롬의 "지적 위기" = 255
제9장 정책연구와 정책학 = 264
1. 공공정책의 중요성 = 264
2. 정책학의 연구목적 = 265
3. 현대정책학의 역사적 전개 = 268
4. 정책학의 성격 = 278
5. 정책학과 인접학문 = 286
6. 정책학이 제공하는 지식 = 290
제10장 정책의 개념과 정책학의 연구대상 = 295
1. 정책의 개념 = 295
2. 정책과정과 정책학의 연구대상 = 296
3. 정책과정 틀에 관한 몇 가지 이론들 = 297
4. 정책과정 틀의 종합화 = 315
제4편 조직
제11장 행정조직의 이해 = 323
1. 정부관료제의 중요성 = 323
2. 행정조직의 공식이론들 = 326
3. 행정조직 이론의 형성 = 331
4. 분야에 대한 재정의 = 337
5. 결론 = 338
제12장 합리적 조직모형 = 340
1. 인간행태의 과학 = 340
2. 행정에 대한 일반론적 접근법 = 342
3. 행정의 격언들 = 343
4. 합리적 행정모형 = 347
5. 의사결정과 정책형성 = 353
6. 폐쇄체제 대 개방체제 = 360
7. 결론 = 366
제13장 인본주의 조직이론과 신행정학 = 367
1. 인본주의 조직이론의 주제들 = 368
2. 성격과 조직 = 374
3. 공공부문에서의 조직발전 = 380
4. 신행정학 = 388
5. 결론 = 395
제14장 합리적 조직모형에 대한 대안 = 397
1. 합리모형에 대한 비판 = 399
2. 해석이론/행위이론 = 408
3. 하몬의 능동사회적 패러다임 = 414
4. 하버마스의 비판사회이론 = 419
5. 행정조직에 대한 비판적 분석 = 425
6. 생성이론(生成理論) : = 429
7. 사후발견적 합리성으로서의 조직화 = 429
제15장 행정조직의 이론과 실제 = 438
1. 이론과 이론형성 = 439
2. 행정조직 이론을 위한 방향 = 442
3. 조직과 개인의 학습 = 445
4. 이론가의 새로운 역할 = 448
제5편 인사행정
제16장 인사행정의 이해 = 453
1. 채용 실적주의 = 454
2. 주와 지방정부의 인사제도 = 462
3. 고용과 해고 = 463
4. 노사관계의 성격 = 472
5. 고용 차별의 시정 = 480
6. 정치적 임용자와 경력직 고위관료의 관계 = 488
7. 맺는 말 = 491
제6편 재무행정
제17장 행정이론과 예산이론 = 497
1. 서론 = 497
2. 예산이론의 역사적 고찰 = 499
3. 환경적 요구에 대한 반응 = 531
4. 미래의 방향 = 547
참고문헌 = 551
찾아보기 = 56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