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을 펴내면서 = 5
1. 동아시아 3국 시민사회 비교 연구 / 권용혁 = 21
2. 동북아 공동체 형성의 이념과 시민사회의 역할 / 김원식 = 55
3. 한국 시민사회의 연고주의와 신뢰 / 이우관 = 83
4. 동아시아 공동체의 가능성과 시민사회 / 이유선 = 109
5. 한중일 시민사회와 '동북아 정체성'의 형성 / 한승완 = 137
6. 한국 시...
목차 전체
목차
책을 펴내면서 = 5
1. 동아시아 3국 시민사회 비교 연구 / 권용혁 = 21
2. 동북아 공동체 형성의 이념과 시민사회의 역할 / 김원식 = 55
3. 한국 시민사회의 연고주의와 신뢰 / 이우관 = 83
4. 동아시아 공동체의 가능성과 시민사회 / 이유선 = 109
5. 한중일 시민사회와 '동북아 정체성'의 형성 / 한승완 = 137
6. 한국 시민사회의 특성에 대한 분석과 규범적인 미래지향성에 대한 일고찰 / 나종석 = 159
7. 시민사회의 의사소통 방식에서 나타난 절차와 책임의 문제 / 박해용 = 193
8. 민주화운동의 주체로서 시민단체의 내적 (지배)구조와 운영 방식 / 선우현 = 219
9. 중국의 시민사회와 노동관계 / 김영진 = 249
10. 시민단체 활동을 통해 본 '중국적 시민사회'의 구조 분석 / 이민호 = 275
11. 중국 전통 사회 속의 '시민사회'의 맹아적 현상 / 박영순 = 303
12. 일본의 퍼블릭코멘트 제도와 실시 현황 / 이진원 = 323
13. 일본에 있어서의 시민사회와 NPO단체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주창렬 = 347
필자 소개 = 39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