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5
제1부 지역사회복지 이론의 이해
CHAPTER 01 지역사회복지에 관한 이해 = 23
1. 지역사회와 지역사회조직 = 23
1) 공동사회와 이익사회 = 23
2)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변화 = 24
2. 지역사회복지 관련 주요 용어 = 27
1) 지역사회 = 27
2) 조직 = 28
3) 지역사회조직 =...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5
제1부 지역사회복지 이론의 이해
CHAPTER 01 지역사회복지에 관한 이해 = 23
1. 지역사회와 지역사회조직 = 23
1) 공동사회와 이익사회 = 23
2)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변화 = 24
2. 지역사회복지 관련 주요 용어 = 27
1) 지역사회 = 27
2) 조직 = 28
3) 지역사회조직 = 29
4) 지역사회사업 = 31
5) 지역사회보호 = 32
6) 지역사회 만들기 = 32
7) 지역사회개발 = 33
8) 지역사회실천 = 34
9) 관련 개념들의 관계 = 35
3.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 35
1) 지역사회복지 용어의 등장 배경 = 35
2) 지역사회복지의 정의 = 36
3) 지역사회복지의 영역 = 37
4) 시설복지와 재가복지 = 38
5) 지방자치제와 지역사회복지 = 40
6) 인보관과 인보정신 = 41
4. 지역사회복지 관련 주요 개념과 이론 = 41
1)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긍정론과 부정론 = 41
2) 재가복지론 = 43
3) 자선조직화 운동 = 44
4) 인보관 운동 = 46
5) 지역사회 중심 재활 이론 = 47
6) 가상공동체 이론 = 49
7) 지역사회기반 조직이론 = 50
8) 지역화폐운동 = 52
5. 지역사회복지의 가치 = 55
1) 지역사회 맥락 = 55
2) 조직과 단체 맥락 = 56
3) 지역사회 주민 맥락 = 57
CHAPTER 02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 59
1. 한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 59
1) 근대 이전의 지역사회복지 = 59
2) 인보관 운동을 중심으로 한 근대화 시기 = 61
3) 지역사회개발사업 = 62
4) 지역 중심의 서비스 제공 확대 = 63
5) 지역사회복지의 새로운 변화 : 현재 = 64
2. 미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 65
1) 자선조직협회 = 65
2) 미국 최초의 인보관 : 헐 하우스 = 66
3) 대공황 이후 지역사회복지의 전환 = 68
4) '빈곤과의 전쟁' 이후 지역사회복지 발달 = 69
3. 영국 지역사회복지의 역사 = 70
1) 자선조직협회 = 70
2) 세계 최초의 인보관 : 토인비 홀 = 71
3) 20세기 지역사회보호의 발달 과정 = 72
CHAPTER 03 지방자치제와 지역사회복지 = 79
1. 지방자치제의 개념 = 79
1) 지방자치제의 개념과 본질 = 79
2) 지방자치제의 가치 = 80
2. 한국 지방자치제의 발전 과정 = 81
1) 지방자치제의 제1시기 = 82
2) 지방자치제의 제2시기 = 82
3) 지방자치제의 제3시기 = 83
3. 지방자치제 실시와 지역사회복지 = 83
4. 지방자치제의 사회복지 성격 = 86
1) 지방정부의 지역사회복지 방향 = 86
2) 지방분권의 긍정적 측면 = 87
5. 지방자치제의 발전과 로컬 거버넌스 = 88
1) 로컬 거버넌스의 개념 = 89
2) 참여정부의 분권화 방향 = 90
3) 지역사회 사회복지조직들의 정치 역량 강화 = 91
6. 사회복지 재정분권 = 92
1) 국조보조사업의 지방이양 = 92
2) 국고보조사업의 지방이양에 따른 과제 = 93
제2부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델과 기술
CHAPTER 04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모형 = 99
1. 영국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 = 99
1) 탈시설화 모형 = 100
2) 지역사회보호 모형 = 100
3) 민ㆍ관 협동 지역사회복지서비스 모형 = 101
2. 미국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 = 102
1) 로스만의 세 모형 = 102
2) 와일과 갬블의 8모형 = 111
3. 일본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 = 116
1) 재택복지서비스 모형 = 117
2) 주민참가 모형 = 117
3) 지역복지계획 모형 = 118
4. 선진국 실천 모형의 시사점 = 119
5. 한국의 지역사회실천 모형 = 119
1) 지역사회 자원개발 모형 = 119
2) 재가복지서비스 모형 = 120
CHAPTER 05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원칙과 과정 = 123
1.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원칙 = 123
1) 지역사회 갈등 해결을 위해 추진위원회를 구성하는 원칙 = 123
2) 지역사회의 갈등은 집약되고 공유되어야 하는 원칙 = 123
3) 지역사회 내 풀뿌리 지도자를 발굴하고 참여시키는 원칙 = 124
4) 공통의 목표를 수립하고 운영 방법을 설정하는 원칙 = 124
5) 지역주민을 결속시킬 수 있는 이벤트를 개발하는 원칙 = 124
6)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원칙 = 124
7) 모임 참여자들을 지지하고 역량을 강화하는 원칙 = 125
8) 합리적인 절차를 준수하고 리더십을 개발하는 원칙 = 125
9) 유능한 지도자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원칙 = 125
10) 지역사회에서 인정과 신용을 얻는 원칙 = 126
2. 지역사회 추진위원회의 구성 방법의 과제와 전망 = 126
1) 지리적 인물 중심의 위원회 = 126
2) 기능적 인물 중심의 위원회 = 127
3) 연고를 중심으로 한 위원회 = 127
4) 시사점 = 128
3. 지역사회복지의 실천 과정 = 129
1) 지역사회의 사정 단계 = 129
2) 지역사회의 욕구 파악 단계 = 131
3) 실천 전략의 계획 단계 = 132
4) 실천 전략의 추진 단계 = 134
5) 평가 및 재사정 단계 = 135
4. 지역사회 조직의 실천 과정 모델 = 135
1) 문제의 파악 = 136
2) 정책 및 프로그램의 개발 = 136
3) 프로그램의 전개 = 137
4) 활동의 평가 = 137
CHAPTER 06 지역사회복지실천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실천기술 = 139
1. 사회복지사의 역할 = 139
1) 지역사회개발 모형에서의 역할 = 139
2) 사회계획 모형에서의 역할 = 144
3) 사회행동 모형에서의 역할 = 147
2.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 = 149
1) 옹호 기술 = 149
2) 연계 기술 = 151
3) 조직화 기술 = 153
4) 자원개발/동원 기술 = 158
5) 임파워먼트 기술 = 161
CHAPTER 07 지역사회복지계획의 방법 = 165
1. 지역복지계획의 필요성 = 165
1) 지역복지계획 추진의 필요성 = 165
2) 지역복지계획의 주요 요소 = 165
2. 지역복지계획의 이념 = 166
1) 기본 인권의 존중 = 166
2)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연대 = 167
3) 지역 특성의 중시 = 167
4) 민ㆍ관 협동과 주민 참여 = 167
3. 지역복지계획과 주민 참여 = 169
1) 주민 참여 = 169
2) 더불어 사는 사회 만들기 = 169
3) 남녀노소의 적극적인 참여의 보장 = 169
4) 지역복지문화의 창조 = 170
4. 지역복지계획의 기본 목표 = 170
1) 생활문제 극복을 위한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 = 170
2) 지역주민 주체의 지역복지서비스 실현 = 170
3) 종합적인 서비스 지원체계의 확립 = 171
4) 생활 관련 분야와의 연계 = 171
5. 기초자치단체의 지역복지계획 = 172
1) 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 172
2) 지역 내 사회복지서비스의 적절한 이용을 촉진하는 사항 = 172
3) 지역의 사회복지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의 발전에 관한 사항 = 173
4) 지역복지 활동에 주민 참여를 촉진하는 사항 = 173
5) 지역복지계획 수립의 체제와 과정 = 174
6. 지역복지계획의 실천과 과제 = 176
1) 지역복지계획의 실천 단계 = 176
2) 지역복지계획의 과제 = 178
7. 우리나라 지역복지계획의 시사점 = 179
CHAPTER 08 지역사회자원 개발과 후원자 개발 = 181
1. 모금과 마케팅 = 181
2. 모금 기술의 단계 = 182
1) 구걸 단계 = 182
2) 수금 단계 = 182
3) 캠페인 단계 = 182
4) 마케팅 단계 = 182
3. 마케팅 전략 = 183
1) 소명헌장 = 184
2) 기관의 목적과 목표 = 184
3) 마케팅 조사 = 185
4) 외부 환경의 조사와 자원의 분석 = 185
5) 마케팅 목적과 목표 = 185
6) 전략적 마케팅 계획 = 186
7) 실행 계획 = 186
8) 평가 작업 = 187
4. 모금의 전략과 방법 = 187
1) 시장 분석 = 187
2) 모금 목표 작성 = 191
3) 모금 홍보와 광고 = 193
4) 모금 방법 = 199
5. 모금 조직과 관리 = 210
1) 효과적인 모금 조직의 구성 = 210
2) 모금 전문 직원 = 212
3) 모금 담당 자원봉사자 활용 = 213
6. 모금 비용 = 216
7. 후원자 개발 = 218
1) 후원자 사업의 유래 = 218
2) 후원자 사업의 장점 = 219
3) 후원사업 = 221
4) 후원자 관리 방법 = 224
5) 후원자 관리의 필수 요소 = 226
6) 후원자 관리의 유의점 = 228
7) 기부의 동기 = 230
제3부 지역사회복지의 추진체계와 실천영역
CHAPTER 09 지역사회복지관 = 237
1. 사회복지관의 정의 및 역할 = 239
2. 사회복지관의 모델 = 241
1) 사회복지관의 경영 모델 = 242
2) 사회복지관의 지역 모델 = 243
3) 사회복지관의 프로그램 모델 = 244
3. 사회복지관의 발달과정 = 246
1) 한국전쟁과 구호사업 = 246
2) 1970년대의 사회복지관 사업 = 247
3) 1980년대 지역사회복지관사업의 쟁점 = 249
4) 1990년대 이후 지역사회복지관사업의 쟁점 = 250
4. 사회복지관 사업 = 259
1) 가족복지사업 = 260
2) 지역사회보호사업 = 260
3) 지역사회조직사업 = 261
4) 교육ㆍ문화사업 = 262
5) 자활사업 = 263
5. 사회복지관사업의 운영 = 263
1) 시설종사자 정년제의 실시 = 264
2) 후원금 사용 비율 기준 = 264
3) 유사명칭 사용 지도 감독 = 265
CHAPTER 10 재가복지센터 = 267
1. 재가복지의 도입 배경 및 개념 = 267
1) 재가복지의 도입 배경 = 267
2) 재가복지의 개념 = 268
2. 시설복지와 재가복지 = 272
1) 탈시설화 논쟁 = 272
2) 생활시설의 시설병 = 274
3) 생활시설의 사회화 = 275
3. 재가지의 등장 배경 = 276
1) 재가복지의 등장과 사회적 배경 = 276
2) 재가복지서비스의 유의점 = 278
4. 재가복지의 3대 핵심 사업 = 279
1) 주간보호사업 = 279
2) 단기보호사업 = 281
3) 가정봉사원 파견사업 = 281
5. 재가복지봉사센터의 기능과 기본 원칙 = 283
1) 재가복지봉사센터의 기능 및 역할 = 283
2) 재가복지봉사센터의 기본 원칙 = 284
6. 재가복지봉사센터의 구성 요건 = 284
1) 재가복지봉사센터와 운영 주체 = 284
2) 재가복지봉사센터와 전문 인력 = 285
3) 재가복지봉사센터와 재정 = 286
4) 재가복지봉사센터와 프로그램 = 287
7. 재가복지 전문 인력의 윤리와 역할 = 289
1) 재가복지사업 전문 인력의 윤리 = 289
2) 사회복지사의 역할 = 290
CHAPTER 11 사회복지협의회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 = 293
1.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 = 293
2. 사회복지협의회의 이론적 배경 = 294
1) 지역사회조직과 사회복지행정 = 294
2) 사회복지협의회의 정의 = 295
3)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본 사항 = 296
4) 사회복지협의회의 성격 = 297
5) 사회복지협의회의 기능 = 298
3. 한국사회복지협의회의 조직 = 300
4. 지방사회복지협의회의 조직 = 301
1) 지방사회복지협의회의 조직화 현황 = 301
2) 사회복지사업법과의 관계 = 301
3) 기초단체 사회복지협의회의 조직화 현황 = 302
4) 사회복지협의회와 공동모금회의 관계 = 303
5) 사회복지협의회와 재정문제 = 304
6) 지방사회복지협의회의 역할 = 304
7) 지방사회복지협의회의 활성화 방안 = 304
5.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창립 사례 = 305
1) 원주시사회복지협의회의 창립 배경 = 305
2)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구성 현황 = 306
3) 참여 단체 = 306
4) 운영위원회ㆍ사무국 = 307
5) 사업 계획 = 308
6.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신설 = 308
1)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출현 배경 = 309
2)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기능과 유형 = 312
CHAPTER 12 사회복지공동모금회 = 315
1. 공동모금의 도입 배경 = 315
2. 공동모금의 필요성과 발전 과정 = 316
1) 공동모금의 필요성 = 316
2) 미국 공동모금의 발전 과정 = 318
3) 일본 공동모금의 발전 과정 = 319
4) 우리나라 공동모금의 발전 과정 = 321
3. 공동모금의 주요 기능과 전략 = 328
1) 모금의 기능 = 328
2) 배분의 기능 = 331
4. 공동모금의 활성화 방안 = 338
CHAPTER 13 자원봉사의 실천 = 343
1. 자원봉사의 도입 배경 = 343
1) 산업화 사회와 사회문제의 발생 = 343
2) 사회복지기관ㆍ시설의 인력과 재정의 부족 = 344
3)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기회제공 = 345
4) 사회환경적인 측면 = 345
5) 민간단체의 활성화 = 346
2. 사회복지와 자원봉사 = 347
3. 사회복지기관ㆍ시설의 인력구조 = 348
4. 자원봉사의 정의 = 349
1) 우리나라 자원봉사의 유래 = 349
2) 자원봉사의 정의 = 350
5. 자원봉사의 발전과정 = 354
1) 1960년대까지의 자원봉사활동 = 354
2) 1970년대 이후 자원봉사활동 = 355
6. 자원봉사활동의 특성 = 357
1) 자발성 = 357
2) 복지성(공익성) = 357
3) 무급성 = 358
4) 지속성 = 359
5) 이타성 = 359
6) 자아실현성 = 359
7) 학습성 = 360
8) 헌신성 = 360
9) 협동성 = 360
10) 전문성 = 361
7. 비정부기구(NGO)와 자원봉사 = 362
1) NGO의 등장배경 = 363
2) 한국 NGO의 현황 = 363
3) NGO와 NPO = 365
CHAPTER 14 사례관리 = 367
1. 케어와 사례관리 = 367
2. 사례관리의 등장 배경 = 368
1) 탈시설화의 영향 = 369
2) 서비스 전달의 지방분권화 = 370
3) 복합적 욕구를 가진 대상자의 증가 = 370
4) 단편적 기존 서비스 = 371
5) 사회적 지원체계의 확대 = 371
6) 비용 억제의 필요성 = 372
3. 재가복지와 사례관리 접근 방법 = 372
1) 사례관리의 구성 요소 = 372
2) 사례관리와 자원봉사 관리자와의 관계 = 376
4. 사례관리와 사회자원 = 378
1) 사회자원 동원의 필요성 = 378
2) 사회자원의 종류와 특성 = 379
3) 사회자원의 개발과 확보 = 380
5. 사례관리의 적용 가능성 = 383
1) 우리나라 재가복지와 사례관리 = 384
2)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의 적용 가능성 = 385
3) 사회복지관에서의 활용 가능성 = 386
4) 방문간호사제도의 적용 가능성 = 387
5) 유급가정봉사원제도의 적용 가능성 = 388
CHAPTER 15 지역사회복지기관 평가 = 389
1. 사회복지사업 평가 도입의 배경 = 389
2. 초기 사회복지사업의 평가 = 391
1) 한국복지재단의 전국 사회복지관 사업 평가 = 391
2) 한국봉사회의 북부종합사회복지관 사업 평가 = 391
3)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사업 평가 = 391
4) 한림대 부설 신림종합복지관 사업 평가 = 391
5) 한국선명회의 지역개발사업 평가 = 392
3. 사회복지사업 평가의 이론적 배경 = 392
1) 평가의 목적 및 종류 = 392
2) 사회복지기관 평가의 기본 원리 = 396
3) 사회복지관 평가의 기본 원칙과 방향 = 398
4) 평가 계획의 4단계 = 399
참고문헌 = 409
찾아보기 = 42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