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을 내면서 = 5
제1부 인권의 역사
제1장 근대 인권의 확립 / 임재홍 = 15
1. 봉건적 관계와 초기 시민혁명 = 16
2. 근대적 혁명과 인권의 확립 = 19
3. 인간해방의 이념과 민주주의 투쟁 = 27
제2장 현대 인권의 발전 / 박병섭 = 35
1. 자유주의와 빈곤문제 = 36
2. 빈곤문제 해결을 위한 탈(脫)자유...
목차 전체
목차
책을 내면서 = 5
제1부 인권의 역사
제1장 근대 인권의 확립 / 임재홍 = 15
1. 봉건적 관계와 초기 시민혁명 = 16
2. 근대적 혁명과 인권의 확립 = 19
3. 인간해방의 이념과 민주주의 투쟁 = 27
제2장 현대 인권의 발전 / 박병섭 = 35
1. 자유주의와 빈곤문제 = 36
2. 빈곤문제 해결을 위한 탈(脫)자유주의의 노력 = 38
3. 사회권의 등장 = 40
4. 자본주의 사회에서 공공 부문의 인권적 의미 = 46
제3장 인권의 국제적 보호 / 최철영 = 51
1. 인권에 대한 국제적 관심의 제기 = 52
2. 인권의 국제적 보호와 법 = 53
3. 인권의 국제적 보호를 위한 법 규범의 발전 = 55
제2부 인권의 내용
제4장 인권의 개념과 원리 / 김도균 = 67
1. 권리 개념과 기본구조 = 68
2. 인권의 개념과 원리 = 76
3. 인권의 근본목적: 전형적인 권리침해의 위협에 대한 사회적 보장체계 확립의 의무 = 93
제5장 시민적ㆍ정치적 권리 / 송기춘 = 97
1. 시민적ㆍ정치적 권리 개관 = 98
2. 구체적 권리 = 102
제6장 경제적ㆍ사회적ㆍ문화적 권리 / 한상희 = 135
1. 사회권의 의미 = 136
2. 경제ㆍ사회ㆍ문화적 권리의 성립과 발전 = 137
3. 사회권의 종류와 내용 = 140
4. 사회권규약의 이행 = 155
제7장 연대의 권리, 제3세대 인권 / 박병도 = 161
1. 새로운 인권담론의 등장 = 162
2. 제3세대 인권이론의 전개 = 164
3. 제3세대 인권의 이념과 특징 = 166
4. 제3세대 인견의 내용 = 169
5. 아프리카인권헌장과 제3세대 인권 = 172
6. 북한의 인권문제와 제3세대 인권 = 173
7. 자유권, 사회권을 넘어 연대권으로 = 175
제3부 인권의 구제
제8장 사법제도에 의한 인권구제 / 서경석 = 181
1. 민사소송과 민사적 구제제도 = 182
2. 형사소송절차 = 187
3. 행정구제제도 = 194
4. 헌법재판에 의한 기본권 구제 = 199
제9장 비사법적 구제 / 이경주 = 205
1. 사법적 구제의 한계와 비사법적 구제의 대두 = 206
2. 인권침해와 청원 = 208
3. 인권침해와 옴부즈만 = 210
4. 행정형 대체분쟁처리제도 = 219
5. 인권침해와 인권옹호기관 = 226
6. 과거사와 인권 = 229
제10장 국제적 보장 / 정경수 = 233
1. 국제적 인권보장의 기본구조 = 234
2. 유엔 차원의 보장절차 = 234
3. 인권조약 차원의 보장절차 = 240
4. 국제인권보호절차의 한국 적용 사례 = 245
5. 국제적 보장의 현주소 = 250
제4부 각 부문의 인권
제11장 여성의 인권 / 안진 = 255
1. 여성인권이란 무엇인가? = 256
2. 여성 관련 주요 인권법 = 259
3. 한국의 여성인권 현황 = 265
4. 여성인권 보장을 위한 과제 = 273
제12장 아동의 인권 / 류은숙 = 277
1. 아동인권의 등장 = 278
2. 아동인권을 둘러싼 논쟁 = 280
3. 아동인권의 필요성 = 281
4. 아동인권의 내용 = 283
5. 아동인권의 과제: 인권교육 = 285
제13장 장애인과 인권 / 박숙경 = 289
1. '장애'에 대한 정의와 실태 = 290
2. 장애인 인권의 핵심과 발달과정 = 292
3. 차별금지 원칙과 장애인의 권리영역별 차별 실태 = 294
4. 장애인의 인권을 구체화하기 위한 관련 국제협약, 국내법체계, 공익소송운동 = 297
5. 장애인 인권보장을 위한 과제 = 300
제14장 이주노동자와 인권 / 설동훈 = 303
1. 이주노동자의 인권 = 304
2. '인간의 권리'와 '국민의 권리' 및 '국민국가의 주권' = 305
3. 이주노동자에게 인정되는 권리 = 308
4. 이주노동자에게 인정되지 않는 권리 = 309
5. UN 이주노동자권리협약의 의미 = 312
6. 앞으로의 과제 = 313
제15장 군대와 인권 / 오동석 = 317
1. '제복 입은 시민'의 권리 = 318
2. 낡은 특별권력관계론의 극복 = 319
3. 군인인권 = 320
4. 앞으로의 과제 = 324
제16장 건강과 인권 / 미류 = 327
1. 건강, 다르게 말하기 = 328
2. 건강권이란 = 329
3. 건강권의 사회구조적 이해 = 330
4. 건강과 인권 = 334
5. 앞으로의 과제 = 336
제17장 노동과 인권 / 이원희 = 341
1. 노동하는 인간의 권리와 법 : 역사와 현실, 그리고 법의식 = 342
2. 현행 노동법의 주요 내용 = 348
3. 앞으로의 과제 = 351
제18장 국가형벌권과 인권 / 이창호 = 355
1. 국가형벌권의 정당성 근거로서의 인권 = 356
2. 국가형벌권의 발동단계와 인권 = 357
3. 앞으로의 과제 = 364
제19장 과거청산과 인권 / 이재승 = 367
1. 왜 과거를 청산해야 하는가? = 368
2. 무엇이 국가범죄인가? = 369
3. 과거청산은 어떠한 여건 하에서 진행되는가? = 370
4. 과거청산의 기본원칙 = 372
5. 과거청산의 궁극적인 목표 = 380
제20장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인권상황 / 최봉태 = 385
1. 왜 이제 와서 일제 피해자문제가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가 = 386
2. 아직도 해방되지 않은 일제 피해자들 = 387
3. 문제 해결을 위하여 = 393
제21장 북한의 인권 / 정태욱 = 395
1. 북한의 인권상황과 쟁점들 = 396
2. 북한 인권에 대한 국제적 개입 = 403
3. 앞으로의 과제 = 404
제22장 세계 각국의 인권현황 / 오완호 = 407
1. 서론 = 408
2. 세계 인권문제의 유형별 분류 = 408
3. 세계 지역별 인권현황 = 412
4. 앞으로의 과제 = 418
제23장 인권운동의 전망 / 박래군 = 421
1. 한국 인권운동사 개관 = 422
2. 한국의 인권 현실 = 429
3. 한국 인권운동의 현실과 과제 = 437
부록 - 세계인권선언 = 445
필자 약력 = 45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