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편 국제질서와 동북아정세의 이해
제1장 외교관계연구의 이론적 배경
제1절 서론 = 17
제2절 대외정책과 대내정책 = 18
1. 대외정책의 의미 = 18
2. 대내정책의 의미 = 19
3. 대외정책과 국제정치 = 20
제3절 대외정책의 조건 = 22
1. 국가이익 = 22
2. 대외정책 조직과 기구 = 23
...
목차 전체
목차
제1편 국제질서와 동북아정세의 이해
제1장 외교관계연구의 이론적 배경
제1절 서론 = 17
제2절 대외정책과 대내정책 = 18
1. 대외정책의 의미 = 18
2. 대내정책의 의미 = 19
3. 대외정책과 국제정치 = 20
제3절 대외정책의 조건 = 22
1. 국가이익 = 22
2. 대외정책 조직과 기구 = 23
3. 대외정책의 과정 = 23
제4절 대외정책의 결정요인 = 24
1. 대외정책 결정의 성격 = 24
2. 대외정책 결정분석 방법 = 25
3. 대외정책의 범위와 영역 = 30
제5절 결론 = 31
제2장 국제질서의 변화
제1절 세계질서의 변화 = 33
1. 냉전시대의 양극체제 = 33
2. 데탕트 시대의 다극체제 = 38
3. 신냉전시대 종식의 서막 = 42
4. 탈냉전 시대 = 44
제3절 국제 질서와 세력균형의 변화 = 46
1. 국제질서의 변화 = 46
2. 동북아의 탈냉전 = 47
3. 동북아질서의 균형과 불균형 = 50
4. 동북아 다자안보의 가능성과 한계 = 52
제3장 각국동북아정책의 변화
제1절 서론 = 55
제2절 각국 동북아 및 한반도 정책 = 56
1. 미국의 동북아 및 한반도 정책 = 56
2. 일본의 동북아 및 한반도 정책 = 57
3. 중국의 동북아 및 한반도 정책 = 59
4. 러시아의 동북아 및 한반도 정책 = 60
제4장 남북관계
제1절 서론 = 63
제2절 남북한 관계의 변화과정 = 64
1. 냉전시대의 남북관계 = 64
2. 탈냉전시대의 남북관계 = 66
3. 남북한의 화해 협력시대 = 69
제3절 남북관계현황 = 75
1. 남북대화의 정례화 = 75
2. 인적 물적 교류의 점진적 확대 = 76
3. 남북경협의 활성화 및 제도화 = 78
4. 사회문화 교류 및 이산가족 문제 = 85
5. 인도적 대북지원의 내실화 = 89
제4절 북한 실상과 변화 전망 = 90
1. 북한이직면한체제위협요소 = 91
2. 북한의 생존 전략 = 92
제5절 향후 정책 추진방향 = 94
제6절 결론 = 95
제5장 북한의 대외정책
제1절 북한 국제정세관과 대외정책 = 97
1. 북한의 국제정세관 = 97
2. 북한대외정책의 특징 = 98
제2절 북한대외정책의 기본목표와 원칙 = 100
제3절 북한외교정책의 추진방법 = 102
제6장 열강과 북한의 핵외교
제1절 서론 = 105
제2절 제2차 북핵위기 = 107
1. 제2차 북핵위기의 발발 = 107
2. 3자회담의 내용 = 108
3. 3자회담의 평가 = 110
제3절 베이징 6자회담 = 111
1. 개최 배경 = 111
2. 6개국의 기본입장 = 113
3. 베이징 6자 회담의 평가 = 118
제4절 6자회담과 북한의 협상전략 = 119
1. 6자회담 수용배경 = 119
2. 핵문제 해결 방안 = 120
3. 북한의 협상전략과 전망 = 121
제5절 결론 = 123
제2편 한국외교관계의 이해
제7장 한국외교사
제1절 서론 = 127
제2절 조선의 외교 = 128
1. 정치외교 = 128
2. 구미열강과의 외교관계 = 130
3. 일본제국주의와 민족외교 = 133
제3절 근대의 외교 = 136
1. 제1.2 공화국의 대외정책 = 136
2. 제3.4 공화국의 대외 정책 = 142
3. 제5.6 공화국의 대외 정책 = 147
4. 탈냉전시기(1991~2000) = 149
5. 2000년~현재 = 151
제4절 현대한국의 외교 = 153
1. 한국외교의 특징 = 153
2. 외교정책의 중요성 = 154
3. 외교정책과 국제관계 = 156
제5절 한국외교정책의 문제점 = 158
1. 외교정책의 문제점 = 158
2. 해결책 = 159
3. 한국외교정책의 전망 = 159
제6절 결론 = 160
제8장 한국의 외교정책
제1절 서론 = 163
제2절 남한의 외교주요국 = 164
1. 미국 = 164
2. 일본 = 167
3. 중국 = 171
제3절 외교정책에 대한 평가와 제언 = 175
1. 정부의 외교정책에 대한 평가 = 175
2. 정부의 외교정책에 대한 제언 = 176
제4절 결론 = 177
제9장 한국외교정책의 방향
제1절 서론 = 179
제2절 한국외교의 전개과정 = 180
1. 이승만 정부 장면 내각의 외교 = 180
2. 박정희 정부의 외교 = 183
3. 전두환 노태우 정부의 외교 = 186
4. 김영삼, 김대중 정부의 외교 = 189
5. 노무현 정부의 외교 = 192
제3절 주요 국가와의 외교 = 193
1. 대미외교 = 193
2. 대중외교 = 195
3. 대일외교 = 196
4. 대러외교 = 197
5. 기타국가와의 외교 = 197
제4절 한국외교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198
1. 한국외교의 문제점 = 198
2. 개선 방안 = 199
3. 한국외교의 전망 = 199
제5절 결론 = 200
제10장 한국외교정책의 의의
제1절 외교정책의 의의 = 203
1. 안보 통일외교 = 204
2. 세계 각국과의 외교 = 206
제2절 한국외교정책의 시사점 = 208
1. 국제정세변화에 따른 외교 = 208
2. 제도적 운영 = 210
3. 한국외교정책의 결정과정 = 212
제3절 한국외교의 과제 = 215
1. 안보문제와 자주국방 = 215
2. 두 개의 한국과 유엔 = 217
3. 과제와 전망 = 219
제5절 결 론 = 221
제3편 한국의 외교관계국
제11장 한국의 對유엔 외교
제1절 서론 = 225
제2절 유엔 역사와 역할 = 227
1. 설립시기와 목적 = 227
2. 냉전시대 유엔의 역할 = 230
3. 탈냉전시대 유엔의 역할 = 232
제3절 남북한의 對유엔외교 = 235
1. 냉전시대 유엔외교 = 235
2. 탈냉전기 유엔외교 = 237
3. 남북한 유엔 외교의 성과 = 238
제4절 문제점 및 해 결방안 = 240
1. 對 유엔외교의 문제점 = 240
2. 해결방안 = 242
3. 한국의 유엔외교의 시사점 = 243
제5절 결론 = 246
제12장 한국의 對미외교
제1절 서론 = 249
제2절 한국의 對미 외교 전개 과정 = 250
1. 이승만 정부 = 250
2. 허정 과도정부와 장면 내각 = 251
3. 박정희 정부 = 252
4. 전두환 정부 = 255
5. 노태우 정부 = 256
6. 김영삼 정부 = 257
7. 김대중 정부 = 258
8. 노무현 정권 = 259
제3절 현 정부의 對미외교정책 방향 = 260
1. 한ㆍ미 관계의 현안 = 260
2. 對미 외교의 기본 방향 = 261
3. 외교의 내용 = 261
4. 대미 외교의 문제점 = 264
제4절 한ㆍ미 동맹 관계 강화 = 264
1. 근본적 인식 차이 = 264
2. 새로운 타협안의 모색 = 265
3. 한ㆍ미동맹의 관리 = 265
4. 국내적 합의의 조성 = 266
5. 한ㆍ미 관계의 미래 = 266
제5절 결론 = 267
제13장 한국의 對일외교
제1절 서론 = 269
제2절 한ㆍ일 외교관계사 = 270
1. 고대의 한ㆍ일 외교 = 270
2. 조선시대 한ㆍ일 외교 = 271
3. 탈냉전 이후의 한ㆍ일 외교 = 274
4. 2001년 이후 현재 한ㆍ일 외교 = 275
제3절 역대 정권의 대일 외교정책 = 275
1. 이승만 정권 = 275
2. 장면 정권 = 277
3. 박정희 정권 = 279
4. 전두환 정권 = 282
5. 노태우 정권 = 283
6. 김영삼 정권 = 284
7. 김대중 정권 = 286
8. 노무현 정권 = 286
제4절 대일외교정책의 변수 = 289
1. 개인적 변수 = 289
2. 정치적 변수 = 290
3. 경제적 변수 = 291
4. 사회적 변수 = 292
제5절 對일외교정책의 문제점 = 292
1. 對일외교정책의 현실 = 292
2. 對일외교의 평가 = 293
3. 對일외교의 과제 = 295
제6절 결론 = 296
제14장 한국의 對중외교
제1절 서론 = 299
제2절 한국의 對중국외교 = 300
1. 냉전기 = 300
2. 탈 냉전기 = 302
3. 한ㆍ중 수교 후 외교 = 304
제3절 한국의 對 중국외교내용 = 305
1. 정치적 문제 = 305
2. 경제적 문제 = 307
3. 문화교류문제 = 309
4. 중국의 외교정책 = 311
제4절 對중국외교의 과제와 발전방향 = 312
1. 21세기 한ㆍ중 관계 = 312
2. 안보 및 통일외교 방향 = 314
3. 정책 및 방향 = 316
제15장 한국의 對러외교
제1절 서론 = 319
제2절 한국과 러시아의 관계 = 320
1. 비공식 접촉 시기 = 320
2. 한ㆍ소 관계 변혁의 시기 = 322
3. 구소련 붕괴 이후 한ㆍ러 관계 = 323
4. 푸틴 시대 한ㆍ러 관계 = 325
제3절 한국의 對 러시아 외교 = 327
1. 對 러시아 안보통일외교 = 327
2. 對 러시아 경제통상외교정책 = 331
제4절 對 러시아 외교 방향 = 334
1. 문제점 = 334
2. 통일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 = 336
3. 對러시아 외교 방향 = 338
제5절 결론 = 339
제16장 한국의 對유럽연합외교
제1절 서론 = 341
제2절 우리나라와 유럽연합의 외교관계 = 342
1. 관계 수립기 = 342
2. 접촉 강화기 = 343
3. 관계 성숙기 = 344
제3절 對 유럽연합외교 내용 = 345
1. 외교정책의 목표와 성격 = 345
2. 정치적 협력의 강화 = 347
3. 통상협력의 증진 = 348
제4절 우리나라와 유럽연합 외교의 문제점 = 350
1. 문제점 = 350
2. 해결방향 = 353
3. 유럽연합과의 외교전망 = 355
제5절 결론 = 356
제17장 한국의 대중남미외교
제1절 서론 = 359
제2절 중남미와 통상외교정책 현황 = 360
1. 경제 및 외교동향 = 360
2. 남미공동시장과의 외교 = 362
3. 안데스공동체와의 외교 = 364
4. 남미공동체와의 외교관계 = 367
제3절 외교관계 국가들 = 369
1. 멕시코 = 369
2. 브라질 = 370
3. 아르헨티나 = 371
4. 콜롬비아 = 373
5. 페루 = 374
제4절 중남미 통상외교정책의 문제점 = 376
1. 문제점 = 376
2. 해결방안 = 377
3. 전망 = 379
제18장 한국의 대중동외교
제1절 서론 = 381
제2절 우리 나라의 대중동외교정책분석 = 382
1. 한국과 아랍관계 = 382
2. 한국과 이스라엘관계 = 384
3. 중동경제의 현주소 = 385
제3절 우리나라와 중동 = 389
1. 교역 = 389
2. 투자 = 391
3. 건설 = 392
제4절 우리나라의 중동진출 문제점 및 전망 = 393
1. 문제점 = 394
2. 해결방안 = 395
3. 전망 = 399
제5절 결론 = 400
제19장 한국의 對아프리카외교
제1절 서론 = 403
제2절 우리나라와 아프리카와의 외교관계 = 404
1. 전개과정 = 404
2. 외교현황 = 406
3. 성격 및 특징 = 407
제3절 우리나라아프리카의외교정책 내용 = 408
1. 정치 분야 = 408
2. 경제 분야 = 409
3. 사회문화 분야 = 409
제4절 對아프리카 외교 주요국가 = 410
1. 가봉 = 410
2. 나이지리아 = 412
3. 남아공화국 = 414
4. 케냐 = 416
5. 튀니지 = 418
제5절 아프리카 외교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 419
1. 문제점 = 419
2. 해결방향 = 421
3. 아프리카와의 관계 전망 = 422
제6절 결론 = 423
참고문헌 = 425
찾아보기 = 43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