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지역의 사회와 교육 = 1
1.1. 지역과 사회 = 3
1. 지역의 다양한 부문들 = 3
2. 지역의 구속을 받는 사회 = 4
3. 다른 부문과의 관계에서 사회의 자율성 = 6
1.2. 지역 : 교육의 장 = 8
1. 지역교육에 대한 오해 = 9
2. 지역교육의 의미 = 10
3. 지역교육의 다양성 = 11
4. 지...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지역의 사회와 교육 = 1
1.1. 지역과 사회 = 3
1. 지역의 다양한 부문들 = 3
2. 지역의 구속을 받는 사회 = 4
3. 다른 부문과의 관계에서 사회의 자율성 = 6
1.2. 지역 : 교육의 장 = 8
1. 지역교육에 대한 오해 = 9
2. 지역교육의 의미 = 10
3. 지역교육의 다양성 = 11
4. 지역교육의 연계성 = 14
1.3. 지역교육의 주체 = 15
1. 지역교육에서의 교수자 = 16
2. 지역교육에서의 학습자 = 17
1.4. 지역에서 진행되는 교육 = 19
1. 분야별 교육 = 19
2. 주제별 교육 = 21
1.5. 지역을 주제로 다루는 교육 = 24
1. 지역에 대한 교육 = 24
2. 지역의 사회에 대한 교육 = 26
제2장 지역발전과 교육발전 = 33
2.1. 지역발전의 개념 = 35
1. 부문들의 총체적 발전 = 35
2.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 = 36
3. 타지역의 선도 = 37
2.2. 지역발전의 기제 = 39
1. 부문들 간의 갈등 조정 = 39
2. 타지역과의 갈등 조정 = 41
3. 기능과 역할의 분담과 연계 = 42
2.3. 교육을 통한 지역발전 = 44
1. 주민들의 기초소양 함양·증진 = 44
2. 주민들의 전문소양 함양·증진 = 47
3. 교육을 통한 지역의 균형발전 = 49
2.4. 교육발전을 위한 지역의 지원 = 52
1. 평생교육의 문화 활성화 = 53
2.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축제 = 54
3. 지역 평생교육정보센터의 기능 강화 = 56
제3장 평생학습사회 = 61
3.1. 평생학습사회론의 등장배경 = 63
1. 평생교육의 원형을 찾아서 = 63
2. 학습사회의 대두 배경 = 71
3.2. 평생학습사회론의 개념과 유형 = 77
1. 평생학습사회의 개념 = 77
2. 평생학습사회의 유형 = 82
3.3. 평생학습사회 실현전략 = 90
3.4. 미래 평생학습사회의 전망 = 98
제4장 지역혁신체제 = 105
4.1. 지역혁신체제의 대두 배경 = 107
4.2. 지역혁신체제의 주요개념 = 110
1. 혁신(innovation) = 110
2. 집적(cluster) = 114
3. 연계망(network) = 115
4.3. 지역혁신체제의 의미 = 119
1. 지역의 의미 = 119
2. 지역혁신체제의 의미 = 120
4.4. 지역혁신체제의 작동기제 = 122
1. 지역혁신체제의 잠재력 = 122
2. 지역혁신체제의 유형 = 124
4.5. 지역혁신체제의 전망과 과제 = 128
제5장 지역교육연계체제 = 133
5.1. 지역교육연계체제의 개념 = 135
1. 연계체제의 개념 = 135
2. 연계의 영역 = 137
5.2. 지역교육연계체제의 구조 = 140
1. 지역교육연계의 주체 = 140
2. 지역 평생교육연계의 유형 = 142
3. 평생교육기관 간의 구체적인 연계 부문 = 143
5.3. 지역교육연계의 실제 = 146
1. 지역교육연계 형성의 장애요인 = 146
2. 지역교육연계의 성공을 위한 원칙 = 146
3. 지역 평생교육기관과 대학 간의 연계·협력 = 148
5.4. 지역교육공동체의 창조 = 151
제6장 시민교육 = 155
6.1. 시민교육의 개념 = 157
1. 시민의 개념 = 157
2. 시민교육의 개념 = 159
6.2. 시민교육의 역사 = 162
1. 거대 사회운동에서 주민의 생활세계로 = 162
2. 주민의 주체적인 지역주민운동 참여 = 163
6.3. 지역시민교육의 내용 = 164
1. 지역시민교육의 영역 = 164
2. 시민교육의 종합적 체제로서의 시민대학 = 166
3. 지방자치 시민교육 프로그램 예시 = 167
6.4. 시민교육의 과제 = 169
제7장 교육복지 = 173
7.1. 교육복지의 개념 = 175
1. 복지로 파악되는 교육 = 175
2. 교육을 통해 성취하는 복지 = 177
3. 모든 이를 위한 교육 = 179
7.2. 교육환경으로 인한 복지 문제 = 181
1. 교육기회의 격차 = 181
2. 교육여건의 격차 = 182
3. 교육결과에 대한 차별 = 184
7.3.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실천 = 185
1. 교육취약계층을 위한 정책 = 186
2. 교육복지를 위한 지역단위 활동 = 192
3. 지역교육의 균형발전을 위한 전략 = 196
7.4. 교육복지 실현을 위한 과제 = 198
1. 공동체성의 형성을 통한 교육복지 실현 = 198
2. 국가 균형발전 전략으로서의 교육복지 실현 = 199
3. 체제적 접근을 통한 교육복지 실현 = 201
제8장 농촌지역의 교육 = 205
8.1. 농촌의 교육환경적 특성 = 207
1. 농촌의 경제적 상황 = 207
2. 농촌인구의 변화 = 208
3. 자녀교육의 문제 = 209
8.2. 농촌의 형식교육 = 210
1. 소규모학교의 통폐합 = 210
2. 농촌학교의 교육 문제 = 213
3. 농촌학교의 교육원리 = 214
8.3. 농촌의 비형식교육 = 218
1. 농촌 사회교육의 문제 = 218
2. 농촌 사회교육의 현황 = 219
3. 농촌 사회교육의 방향 = 221
8.4. 농촌교육의 과제 = 225
1. 농민의 자발적인 참여 = 225
2. 통합적인 농촌교육연계체제의 추진 = 226
3. 농촌의 교육력 재건을 위한 학교와 지역, 가정의 협력 = 227
4. 농촌다움을 지향하는 농촌 교육 = 228
제9장 도시지역의 교육 = 231
9.1. 도시의 개념과 기능 = 233
1. 도시의 개념과 도시화 = 233
2. 도시의 기능 = 234
9.2. 도시의 형식교육 = 237
1. 학교 평생교육의 개념 = 237
2. 학교 평생교육의 현황 = 239
3. 학교 평생교육의 과제 : 학교와 지역의 연계 = 245
9.3. 도시의 비형식교육 = 246
1. 도시 사회교육의 현황 = 246
2. 도시 사회교육의 과제 = 247
9.4. 도시지역 교육의 미래 = 250
1. 평생학습정책의 추진원리 = 250
2. 학습도시로의 전환 = 252
제10장 지역교육의 과제 = 259
10.1. 지역에서의 선택과 집중 = 261
1. 지역의 실태 점검 = 261
2. 지역에서의 선택과 종합 = 264
3. 지역에서의 집중과 확산 = 266
10.2. 지역주민의 평생교육 설계 = 267
1. 지역주민의 독학 설계 = 268
2. 지역주민의 학습동아리 설계 = 269
3. 지역주민의 교수 설계 = 271
10.3. 지자체의 평생교육에 대한 지원 = 272
1. 주민의 성장을 통한 지역의 발전 = 272
2. 지역주민의 학습에 대한 지원 = 274
3. 지역주민의 교수에 대한 지원 = 275
10.4. 세계의 중심으로서의 지역 = 277
1. 세계의 흐름 속에 있는 지역 = 277
2. 세계를 무대로 한 지역활동 = 278
3. 지역교육을 통한 세계의 선도 = 280
참고문헌 = 285
찾아보기 = 29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