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인류학과 인류학자들

애덤 쿠퍼 지음 ; 박자영, 박순영 [공]옮김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인류학과 인류학자들 / 애덤 쿠퍼 지음 ; 박자영, 박순영 [공]옮김
개인저자Kuper, Adam
박자영
박순영
발행사항파주 : 한길사, 2005
형태사항422 p. : 삽화, 도판 ; 20 cm
총서사항호모사피엔스 ;4
원서명Anthropology and anthropologists : the modern British school
기타표제영국 사회인류학의 전통과 발전
ISBN8935655589
일반주기색인 : p. 413-422
분류기호306.0941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912438 306.0941 K96aK c4 보존서고B2 B201-1-1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목차
영국 사회인류학에 대한 훌륭한 입문서 : 옮긴이의 말 = 9
사회인류학은 세계적인 학문이 되어갔다 : 제3판 서문 = 17
제1장 말리노프스키
 새로운 학문의 창시자 = 25
 사회인류학: 원시문화에 대한 '기능주의적' 민족지 연구 = 26
 말리노프스키의 지적 배경 = 40
 현대적 현지조사 방법의 창시자 = 46
 카리스마를 가진 지도자 = 57
...

목차 전체

목차
영국 사회인류학에 대한 훌륭한 입문서 : 옮긴이의 말 = 9
사회인류학은 세계적인 학문이 되어갔다 : 제3판 서문 = 17
제1장 말리노프스키
 새로운 학문의 창시자 = 25
 사회인류학: 원시문화에 대한 '기능주의적' 민족지 연구 = 26
 말리노프스키의 지적 배경 = 40
 현대적 현지조사 방법의 창시자 = 46
 카리스마를 가진 지도자 = 57
 기능적 상호연관성 = 66
 도구로서의 문화 = 77
 민족지적 현실 = 80
 말리노프스키의 유산 = 85
제2장 래드클리프 브라운
 말리노프스키와 래드클리프 브라운 = 93
 민족학적 관심으로부터 사회학적 관심으로 = 94
 인간 래드클리프 브라운 = 98
 안다만 연구와 맥락적 분석방법 = 101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사회조직 연구 = 105
 영향력의 성장: 영국 사회인류학의 새로운 지도자 = 109
 뒤르켐 사회학의 계승자 = 114
 사회형태론 = 119
 토테미즘 연구 = 127
 친족체계 연구 = 132
 비교사회학으로서의 사회인류학 = 140
 생산적 분석틀의 제공자 = 145
제3장 1930년대와 1940년대: 기능에서 구조로
 1930년대: 말리노프스키 시대 = 151
 기능에서 구조로, 오세아니아에서 아프리카로 = 155
 1930년대 기능주의 연구: 이론의 결여 = 156
 추상화 실험: 베이트슨의 『네이븐』 = 160
 추상화 실험: 『아잔데족의 마술, 신탁 그리고 주술』 = 165
 1940년대: 신래드클리프 브라운 식의 사회구조분석 = 176
 『아프리카의 정치체계』 = 181
 『누에르족』 = 184
 『누에르족』에 쏟아지는 비판들 = 193
 1940년대: 친족이론의 눈부신 발전기 = 198
 영국 사회인류학의 혁신적 발전기 = 201
제4장 인류학과 식민주의
 인류학은 식민지 행정에 유용한 학문이었는가 = 205
 인류학에 대한 식민주의자들의 무관심 = 210
 식민지 정책의 전환과 인류학의 성장 = 214
 응용인류학 = 223
 인류학자와 식민주의자들의 관계 = 227
 식민지적 환경이 영국 사회인류학의 발전에 미친 영향 = 234
제5장 카리스마에서 일상사로
 전후 영국 사회인류학의 급격한 팽창 = 245
 영국 사회인류학의 중심지와 주역들 = 250
 1950년대: 옥스퍼드 구조주의 정통설에 대한 도전 = 258
 에번스 프리처드 = 260
 나델, 퍼스, 포티스 = 265
 외부인의 입장에서 본 영국 사회인류학의 한계 = 269
 1950년대 영국 사회인류학의 주류: 옥스퍼드 정통파 연구 = 272
제6장 리치와 글럭먼
 1950년대와 1960년대 비주류의 지도자들 = 283
 '갈등'에 대한 글럭먼의 구조적 분석 = 286
 글럭먼의 기여 = 293
 맨체스터 학파의 농촌사회연구 = 297
 맨체스터 학파의 도시연구 = 302
 리치의 사회구조 변동연구 = 305
 터너, 바스, 베일리 = 323
제7장 레비 스트로스와 영국 신구조주의
 개관: 영국 신구조주의 인류학 = 327
 레비 스트로스의 친족연구 = 331
 니덤과 리치의 친족연구 = 339
 출계론 대 결연론 = 342
 레비 스트로스, 인간 사고의 보편적 구조 탐구 = 344
 1960년대 영국 신구조주의자들 = 352
제8장 끝과 시작
 학문적 정체성의 위기 = 361
 제도적 기반의 위축 = 366
 학문적 정당성에 대한 비판 = 369
 이론적 위기 = 370
 미국 문화인류학과 '문화' 개념 = 375
 진화주의 인류학 = 385
 세계적인 사회인류학의 가능성 = 388
영국 사회인류학사에 대한 저작들 = 393
주(註) = 397
찾아보기 = 413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