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1. 서론: 문제와 방법 = 11
1.1. 문제의 맥락 = 11
1.2. 질문들 = 19
1.2.1. 텔레비전 코미디의 즐거움 = 27
1.2.2. 즐거움에 작용하는 사회적 담론 = 28
1.3. 방법, 인식론적 전제들 = 30
2. 즐거움, 담론 그리고 권력 = 39
2.1. 텍스트의 즐거움 = 39
2.1.1. 쥬이상스와 카니발의...
목차 전체
목차
1. 서론: 문제와 방법 = 11
1.1. 문제의 맥락 = 11
1.2. 질문들 = 19
1.2.1. 텔레비전 코미디의 즐거움 = 27
1.2.2. 즐거움에 작용하는 사회적 담론 = 28
1.3. 방법, 인식론적 전제들 = 30
2. 즐거움, 담론 그리고 권력 = 39
2.1. 텍스트의 즐거움 = 39
2.1.1. 쥬이상스와 카니발의 웃음 = 39
2.1.2. 코미디와 웃음 = 49
2.2. 권력과 담론 = 60
2.2.1. 이데올로기와 담론 = 60
2.2.2. 지식과 권력의 문제 = 67
3. 텔레비전 코미디의 즐거움 = 77
3.1. 대상과 방법 = 77
3.2. 즐거움의 분석: 일탈과 위반의 패턴 = 81
3.2.1. '놀람'의 패턴 = 81
3.2.2. '그럴듯하지 않음'의 패턴 = 92
3.2.3. '통속적 웃음'의 패턴 = 102
3.3. 분석결과: 텔레비전 코미디와 쥬이상스 = 114
4. 사회적 담론 속의 텔레비전 코미디 = 119
4.1. 대상과 방법 = 119
4.2. 텔레비전 코미디에 대한 담론 분석 = 123
4.2.1 텔레비전 코미디에 대한 진술들 = 123
4 2.2. 부정적 신화의 잣대와 근거 = 131
4.2.3. 텔레비전 코미디의 담론 구성체 = 153
4.3. 분석결과: 텔레비전 코미디와 사회적 담론 = 172
5. 즐거움과 담론 = 177
5.1. 담론적 지배의 사회적 과정 = 177
5.2. 이율배반적 수용자: 이론적 모델 = 193
6. 결론: 텔레비전 코미디 수용자들의 모순적 정체성 = 205
참고문헌 = 21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