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글 = ⅲ
지은이 소개 = ⅳ
옮긴이 머리글 = ⅴ
옮긴이 소개 = ⅵ
제1부 세포의 분자성분 = 2
제1장 화학은 생물현상에 대한 논리학이다 = 3
1.1 생명체의 특성은 무엇인가? = 2
1.2 생체분자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 6
1.3 복잡한 생체분자의 구조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 7
1.4 생체분자의 특성이 생체 조건에 ...
목차 전체
머리글 = ⅲ
지은이 소개 = ⅳ
옮긴이 머리글 = ⅴ
옮긴이 소개 = ⅵ
제1부 세포의 분자성분 = 2
제1장 화학은 생물현상에 대한 논리학이다 = 3
1.1 생명체의 특성은 무엇인가? = 2
1.2 생체분자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 6
1.3 복잡한 생체분자의 구조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 7
1.4 생체분자의 특성이 생체 조건에 적합하도록 어떻게 반영되는가? = 11
1.5 세포의 구조와 편제는 어떠한가? = 17
1.6 바이러스란 무엇인가? = 23
제2장 물:생명의 배지 = 27
2.1 물의 특성은 무엇인가? = 27
2.2 PH란 무엇인가? = 34
2.3 완충용액이란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하는가? = 40
2.4 물은 생체환경의 적합성이라는 면에서 독특한 역할을 하는가? = 42
제3장 생체계의 열역학 = 47
3.1 열역학의 기본 개념은 무엇인가? = 47
3.2 생화학적 시간에서 열역학 지표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 52
3.3 표준 상태 자유에너지에 대한 pH의 영향은 무엇인가? = 54
3.4 알짜 자유에너지 변화에 대한 농도의 영향은 무엇인가? = 55
3.5 동반과정이 생물체에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55
3.6 고에너지 생체분자의 특성은 무엇인가? = 56
3.7 ATP 기수분해에 대한 평형은 어떻게 복잡한가? = 65
3.8 사람이 하루에 필요로 하는 ATP는 얼마 만큼인가? = 68
제4장 아미노산 = 71
4.1 단백질의 기본 단위인 아미노산의 구조와 특성은 무엇인가? = 71
4.2 아미노산의 산·염기 성질이란 무엇인가? = 78
4.3 아미노산은 어떤 반응을 하는가? = 80
4.4 아미노산의 광학적, 입체화학적 특성이란 무엇인가? = 85
4.5 아미노산의 분광학적 특성은 무엇인가? = 86
4.6 아미노산 혼합물을 어떻게 분리하고 분석하는가? = 90
제 5장 단백질 : 1차 구조와 생물학적 기능 = 97
5.1 단백질의 기본적인 구조 양상은 어떠한가? =97
5.2 단백질 구조의 특징으로는 어떠한 구조적 배열들이 있는가? = 101
5.3 세포에서 단백질을 어떻게 분리, 정제하는가? = 103
5.4 단백질의 아미노산 분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106
5.5 단백질의 1차 구조를 어떻게 결정하는가? = 018
5.6 폴리펩타이드를 실험실에서 합성할 수 있을까? = 119
5.7 아미노산 서열의 본질은 무엇인가? = 121
5.8 단백질은 아미노산 이외에 다른 화학작용기를 가지고 있는가? = 126
5.9 단백질이 가진 수많은 생물학적 기능은 무엇인가? = 128
제 5장 부록: 단백질 분리 기술 = 137
제 6장 단백질의 2차,3차,4차 구조 = 141
6.1 단백질의 구조를 규정하고 안정화시키는 비공유결합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141
6.2 아미노산 서열이 단백질 구조에서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 143
6.3 단백질 2차 구조의 구성 요소는 무엇이며 또 어떻게 2차 구조가 만들어지는가? =143
6.4 어떻게 폴리펩타이드가 3차원적인 단백질 구조로 접히는가? =152
6.5 단백질의 4차 구조에서 단백질의 소단위체들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 176
제 7장 탄수화물과 세포 표면의 당화합물 = 185
7.1 탄수화물을 어떻게 명명하는가? = 185
7.2 단당류의 구조와 화학은 어떠한가? = 186
7.3 올리고당류의 구조와 화학은 어떠한가? = 195
7.4 다당류의 구조와 화학은 어떠한가? = 200
7.5 당단백질은 무엇이며, 세포 내에서 어떻게 작용할까? 213
7.6 프로테오글라이칸은 세포와 생물체 내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어떻게 조절할까? = 218
제 8장 지질 = 225
8.1 지방산의 구조와 화학적 성질은 무엇인가? =225
8.2 트라이아실글리세롤의 구조와 화학적 성질은 무엇인가? = 227
8.3 글리세로인지질의 구조와 화학적 성질은 무엇인가? = 229
8.4 스핑고지질은 무엇이며, 고등동물에서 어떻게 중요한가? = 232
8.5 밀랍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되는가? = 235
8.6 터핀은 무엇이며, 생체계와의 관련성은 무엇인가? = 236
8.7 스테로이드란 무엇이며, 세포 내에서의 기능은 무엇인가? = 238
제 9장 막과 막수송 = 245
9.1 세포막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은 무엇인가? = 245
9.2 막단백질의 구조와 화학은 어떠한가? = 254
9.3 세포막을 통한 수송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 261
9.4 수동확산이란 무엇인가? = 263
9.5 촉진확산은 어떻게 일어나는가? = 264
9.6 에너지 유입으로 어떻게 능동수송 과정이 추진되는가? = 266
9.7 특정 수송과정은 어떻게 광에너지에 의해 추진되는가? = 272
9.8 아미노산과 당의 수송은 어떻게 이온 기울기에 의해서 추진되는가? = 272
9.9 독소들은 세포막에 어떻게 특수한 구멍을 만드는가? = 273
9.10 이오노포어 항생제의 구조와 기능은 어떠한가? = 277
제 10장 뉴클레오타이드와 핵산
10.1 질소를 포함하는 염기의 구조와 화학은 무엇인가? = 285
10.2 뉴클레오사이드란 무엇인가? = 287
10.3 뉴클레오타이드의 구조와 화학은 무엇인가? = 289
10.4 핵산이란 무엇인가? = 292
10.5 다른 종류의 핵산에는 무엇이 있는가? = 293
10.6 핵산은 가수분해되기 쉬운가? = 302
제 11장 핵산의 구조 = 311
11.1 과학자들은 어떻게 핵산의 1차 구조를 결정하는가? = 311
11.2 이중나선 DNA에는 어떤 종류의 2차 구조가 있는가? = 315
11.3 DNA의 2차 구조의 변성과 복원은 가능한가? = 323
11.4 DNA의 3차 구조란 무엇인가? = 326
11.5 진핵세포의 염색체 구조는 어떠한가? = 329
11.6 핵산은 화학적 방법으로 합성될 수 있는가? = 332
11.7 RNA의 2차 구조와 3차 구조란 무엇인가? = 333
제 11장 부록 : 등밀도 원심분리와 DNA의 부유밀도 = 345
제 12장 재조합 DNA : 키메라 유전자의 창조와 클로닝 = 347
12.1 '클로닝'이란 무슨 뜻인가? = 347
12.2 DNA 라이브러리란 무엇인가? = 355
12.3 중합효소 연쇄반응이란 무엇인가? = 366
12.4 생물체의 유전형질을 원하는 대로 변화시킬 수 있을까? = 368
제 2부 단백질 역학 = 374
제 13장 효소-반응속도론과 특이성 = 375
13.1 효소를 정의하는 독특한 특성은 무엇인가? = 375
13.2 효소촉매 반응속도는 수학적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는가? = 377
13.3 효소촉매 반응의 반응속도론을 정의하는 방정식은 무엇인가? = 382
13.4 효소활서으이 저해로부터 무엇을 알아낼 수 있는가? = 390
13.5 이분자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의 반응속도론적 양상은 무엇인가? = 395
13.6 모든 효소가 다 단백질인가? = 401
13.7 어떻게 효소는 그렇게 특이적인가? = 404
제 14장 효소작용 메커니즘 = 409
14.1 효소촉매 작용에서 전이 상태 안정화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 409
14.2 효소에 의한 속도가속화의 크기는 어느 정도인가? = 411
14.3 ES의 결합에너지가 촉매작용에 결정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412
14.4 ES복합체의 엔트로피 손실 및 불안정화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 412
14.5 전이 상태 유사체는 활성 부위와 얼마나 단단히 결합하는가? = 413
14.6 촉매작용의 매커니즘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 415
14.7 대표적인 효소 메커니즘으로부터 무엇을 알아낼 수 있는가? = 419
제 15장 효소의 조절 = 439
15.1 어떤 인자들이 효소활성에 영향을 주는가? = 439
15.2 알로스테릭 조절의 일반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 444
15.3 알로스테릭 반응속도론을 간단한 평형 모델로 설명할 수 있는가? = 445
15.4 알로스테릭 조절과 공유결합성 변형 모두에 의해 활성이 조절되는 효소도 있는가? = 447
특별 집중논의: 4차 구조와 그로 인해 나타난 알로스테릭 특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예가 자연계에
있는가? 헤모글로빈과 마이오글로빈-단백질 구조와 기능의 모범적인 예
제 15장 부록 : 마이오글로빈과 헤모글로빈의 산소-결합 곡선 = 468
제 16장 분자 모터 = 471
16.1 분자 모터란 무엇인가? =471
16.2 미세소관의 기계화학작용을 총괄적으로 조정하는 분자모터는 무엇인가? = 471
16.3 분자모터는 어떻게 DNA를 푸는가? = 477
16.4 근육 수축의 분자적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 478
16.5 박테리아 편모는 회전을 하귀 위해 양성자 기울기를 어떻게 이용하는가? = 489
제 3부 대사와 대사조절 = 494
제 17장 대사: 개관 = 496
17.1 생물체들 사이에도 대사의 유사성이 있는가? = 499
17.2 합성대사와 분해대사가 어떻게 대사과정의 핵심을 이루는가? = 500
17.3 대사경로를 알아내려면 어떤 실험들을 이용해야 하는가? = 507
17.4 음식의 어떤 물질들이 기본적인 인체 영양소를 형성하는가? = 511
특별 집중논의: 비타민 = 513
제 18장 해당과정 = 535
18.1 해당과정의 기본 특징은 무엇인가? = 535
18.2 해당과정에서 연결반응은 왜 중요한가? = 536
18.3 해당과정 전반부의 특징과 화학적 원리는 무엇인가? = 536
18.4 해당과정 후반부의 특지오가 화학적 원리는 무엇인가? = 546
18.5 해당과정에서 생성된 피루브산과 NADH는 어떻게 대사되는가? = 554
18.6 세포는 해당과정을 어떻게 조절하는가? = 555
18.7 글루코오스 이외에 다른 기질들도 해당과정에서 사용되는가? = 557
제 19장 트라이카복실산 회로 = 565
19.1 한스 크렙스는 어떻게 TCA 회로를 밝혀 냈는가? = 565
19.2 TCA 회로의 화학적 논리는 무엇인가? = 567
19.3 피루브산은 어떻게 산화적 탈카복실화 반응으로 아세틸-CoA가 되는가? = 569
19.4 어떻게 아세틸-CoA로부터 두 분자의 이산화탄소가 만들어지는가? = 569
19.5 TCA 회로를 완결시키기 위해 옥살로아세트산은 어떻게 재생되는가? = 576
19.6 TCA 회로에서 얻은 최종 에너지는 얼마나 되는가? = 579
19.7 TCA 회로가 생합성에 필요한 중간물질을 공급할 수 있는가? = 584
19.8 보충반응 혹은 '채워주기' 반응이란 무엇인가? = 585
19.9 TCA 회로는 어떻게 조절되는가? = 586
19.10 모든 생명체가 아세트산을 유일한 탄소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가? = 591
제 20장 전자절달과 산화적 인산화 반응 = 597
20.1 전자전달과 산화적 인산화 반응은 세포 내의 어디에서 수행되는가? = 597
20.2 환원전위란 무엇이며, 그것이 산화환원 반응에서 자유에너지 변화를 설명하는 데 어떻게 사용되는가? = 598
20.3 전자전달 사슬을 어떻게 조직되어 있는가? = 601
20.4 화학삼투 동반작용이 주는 열역학적 의미는 무엇인가? = 613
20.5 양성자 기울기가 어떻게 ATP합성을 추진하는가? = 615
20.6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과 산화적 인산화 반응에 대한 P/O비는 얼마인가? = 622
20.7 세포질 NADH의 전자가 어떻게 전자전달계로 들어가는가? = 623
제 21장 광합성 = 629
21.1 광합성의 일반적인 성질을 무엇인가? = 629
21.2 엽록소는 어떻게 태양에너지를 획득하는가?= 632
21.3 빛에너지를 받는 데 어떤 종류의 광시스템이 이용되는가? = 635
21.4 광합성 반응중심의 분자구조는 어떠한가? = 640
21.5 광합성의 양자 수율은 얼마인가? = 645
21.6 빛은 어떻게 ATP의 합성을 추진하는가? = 645
21.7 유기분자들을 만드는 데 이산화탄소가 어떻게 사용되는가? = 647
21.8 광호흡은 어떻게 CO2 고정을 제한하는가? = 654
제 22장 글루코오스 신생합성, 글리코겐 대사, 오탄당 인산 경로 = 661
22.1 글루코오스 신생합성은 무엇이며 어떻게 작용하는가? = 661
22.2 글루코오스 신생합성은 어떻게 조절되는가? = 669
22.3 동물에서 글리코겐과 녹말은 어떻게 분해되는가? = 672
22.4 글리코겐은 어떻게 합성되는가? = 674
22.5 글리코겐 대사작용은 어떻게 조절되는가? = 676
22.6 글루코오스는 생합성에 필요한 전자를 제공할 수 있는가? = 680
제 23장 지방산 대사 = 693
23.1 섭취한 음식이나 지방조직으로부터 어떻게 지방이 이동되는가? = 693
23.2 지방산은 어떻게 분해되는가? 696
23.3 탄소수가 홀수인 지방산은 어떻게 산화되는가? =707
23.4 불포화 지방산은 어떻게 산화되는가? = 710
23.5 지방산은 산화시키는 다른 경로는 없는가? = 710
23.6 케톤체란 무엇이며 대사과정에서 이들의 역할은 무엇인가? = 713
제 24장 지질 생합성 = 717
24.1 지방산은 어떻게 합성되는가? = 717
24.2 복잡한 구조의 지질은 어떻게 합성되는가? = 731
24.3 아이코사노이드는 어떻게 합성되며 그들의 기능은 무엇인가? = 738
24.4 콜레스테롤은 어떻게 합성되는가? =745
24.5 신체 구석구석까지 어떻게 지질이 전달되는가? = 748
24.6 담즙산은 어떻게 생합성되는가? = 752
24.7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어떻게 합성되고 이용되는가? = 753
제 25장 질소 획득과 아미노산 대사 = 761
25.1 생물체가 무기물 형태의 질소를 취해서 살아갈 수 있는 것은 어떤 대사경로 때문인가? = 761
25.2 암모늄의 대사 운명 = 766
25.3 대장균 글루타민 합성효소에 작용하는 조절 메커니즘 = 769
25.4 생물체들은 아미노산을 어떻게 합성하는가? = 772
25.5 에너지 생산경로로서의 아미노산 분해대사
제 26장 뉴클레오타이드의 합성과 분해 = 805
26.1 세포는 뉴클레오타이드를 합성할 수 있는가? = 805
26.2 세포는 퓨린 염기를 어떻게 합성하는가? = 806
26.3 세포는 퓨린을 회수하여 사용할 수 있는가? = 813
26.4 퓨린은 어떻게 분해되는가? = 813
26.5 세포는 피라미딘을 어떻게 합성하는가? = 818
26.6 피리미딘은 어떻게 분해되는가? = 822
26.7 세포는 DNA 합성에 필요한 디옥시라이보뉴클레오타이드를 어떻게 만드는가? = 822
26.8 타이민 뉴클레오타이드는 어떻게 합성되는가? = 826
제 27장 대사 통합과 기관의 전문화 = 833
27.1 시스템 분석으로 대사의 복잡성을 단순화 시킬 수 있는가? = 833
27.2 대사과정에서 ATP동반작용과 열역학을 관련시켜서 설명해주는 기초 원리는 무엇인가? = 835
27.3 세포의 에너지 상태는 정략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가? = 837
27.4 다세포 생물체에서의 대사는 어떻게 통합되는가?
제 4부 정보전달 = 850
제 28장 DNA 대사: 복제, 재조합 그리고 수선 = 851
28.1 DNA는 어떻게 복제되는가? = 851
28.2 DNA 중합효소의 특성은 무엇인가? = 856
28.3 진핵세포에서 DNA는 어떻게 복제되는가? = 861
28.4 염색체 말단은 어떻게 복제되는가? = 863
28.5 RNA 유전체는 어떻게 복제되는가? = 864
28.6 유전자 재조합에 의해 유전정보는 어떻게 섞이는가? = 867
28.7 DNA는 수선될 수 있는가? = 875
28.8 돌연변이의 분자적 원리는 무엇인가? = 881
특별 집중논의 : 유전자 재배열과 면역학 - 유전자 재조합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다양성을 이루어내는 것이 가능한가? = 884
제 29장 전사와 유전자 발현의 조절 = 893
29.1 원핵생물에서는 유전자가 어떻게 전사되는가? = 894
29.2 원핵생물에서는 전사가 어떻게 조절되는가? = 900
29.3 진핵생물에서는 유전자가 어떻게 전사되는가? = 910
29.4 유전자 조절 단백질들은 특정한 DNA 염기서열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 920
29.5 진핵생물의 전사체는 번역되기 위해서 어떻게 가공되어 라이보솜으로 전달되는가? = 923
29.6 우리는 유전자 발현에 관한 통합된 가설을 제안할 수 있는가? = 929
제 30장 단백질 합성 = 935
30.1 유전 암호란 무엇인가? = 935
30.2 아미노산은 자신의 올바른 tRNA와 어떻게 짝을 이루는가? = 938
30.3 코돈-안티코돈 쌍을 형성하는 규칙은 무엇인가? = 942
30.4 라이보솜은 어떤 구조이며, 이것들은 어떻게 조립되는가? = 944
30.5 mRNA 번역의 역학은 무엇인가? = 948
30.6 진핵세포에서 단백질은 어떻게 합성되는가? = 958
제 31장 단백질 생활주기의 완성: 접힘, 가공 및 분해 = 969
31.1 새로 합성된 단백질들은 어떻게 접히는가? = 970
31.2 번역 후 단백질들은 어떻게 가공되는가? = 973
31.3 단백질은 세포 내에서 어떻게 자신의 올바른 위치를 찾는가? = 974
31.4 단백질 분해는 어떻게 특정한 단백질의 세포 내 농도를 조절하는가? = 978
제 32장 세포 밖 정보의 수용과 전달 = 987
32.1 호르몬이란 무엇인가? = 987
32.2 신호전달 경로란 무엇인가? = 989
32.3 신호전달 수용체는 어떻게 호르몬 메시지에 반응하는가? = 992
32.4 수용체의 신호는 어떻게 전달되는가? = 997
32.5 영향인자는 어떻게 신호를 세포 내의 작용으로 변환하는가? = 1007
32.6 신호전달에 있어서 단백질 모듈의 역할을 무엇인가? = 1010
32.7 신경신호전달 경로는 감각계의 기능을 어떻게 조절하는가? = 1012
용어풀이 = 1029
찾아보기 = 105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