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부 진로상담의 기초
1장 진로상담의 기초
1. 진로상담의 정의 = 15
2. 진로상담의 필요성 = 18
3. 진로상담의 목표 = 20
1) 자신에 대한 이해 증진 = 22
2)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증진 = 22
3)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의 증진 = 23
4) 정보탐색 및 활용능력의 함양 = 24
5) 일과...
목차 전체
목차
제1부 진로상담의 기초
1장 진로상담의 기초
1. 진로상담의 정의 = 15
2. 진로상담의 필요성 = 18
3. 진로상담의 목표 = 20
1) 자신에 대한 이해 증진 = 22
2)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증진 = 22
3)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의 증진 = 23
4) 정보탐색 및 활용능력의 함양 = 24
5) 일과 직업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및 태도 형성 = 25
4. 진로상담 관련 개념의 이해 = 25
1) 진로지도 = 25
2) 진학지도 = 26
3) 직업지도 = 26
4) 진로수정 = 29
5) 진학상담 = 30
2장 진로상담에 대한 이론적 접근
1. 특성요인이론 = 33
2. 발달이론 = 36
1) Ginzberg의 진로발달이론 = 37
2) Super의 진로발달이론 = 41
3) Super의 진로에 대한 시ㆍ공적 접근이론 = 45
4) Tideman과 O'Hara의 진로발달이론 = 48
5) Tuckman의 진로개발 교육이론 = 50
6) Crites의 직업발달 연구 = 52
7) Gottfredson의 직업포부 발달이론 = 53
3. 욕구이론 = 54
1) Roe의 욕구이론 = 55
2) Holland의 인성이론 = 57
3) Hoppock의 구성이론 = 62
4. 정신분석이론 = 62
5. 사회학적이론 = 64
6. 의사결정이론 = 65
1) Gelatt의 이론 = 65
2) Hershenson과 Roth의 이론 = 67
3) 인지발달모형 = 68
7. 사회학습이론 = 68
8. 최근의 진로발달이론 = 69
1) 인지적 정보처리 접근 = 69
2) 사회인지적 진로발달 = 70
3) 가치중심적 진로접근 모형 = 71
4) 맥락접 관점 = 72
5) 자기 효능감이론 = 72
3장 진로상담이론
1. 특성요인 진로상담 = 73
1) 모형 = 74
2) 방법 = 77
3) 자료 = 81
2. 인간중심 진로상담 = 84
1) 모형 = 85
2) 방법 = 86
3) 자료 = 90
3. 정신역동적 진로상담 = 95
1) 모형 = 96
2) 방법 = 103
3) 자료 = 104
4. 발달적 진로상담 = 107
1) 모형 = 107
2) 방법 = 114
3) 자료 = 116
5. 행동주의 진로상담 = 120
1) 모형 = 121
2) 방법 = 126
3) 자료 = 129
6. 포괄적 진로상담 = 132
1) 모형 = 132
2) 방법 = 134
3) 자료 = 136
7. 진로상담이론의 요약 비교 = 142
제2부 진로정보와 검사의 활용
4장 진로정보의 활용
1. 진로정보 = 148
1) 진로정보의 의미 = 148
2) 진로정보의 필요성 및 목적 = 152
3) 진로정보 활동의 기대 효과 = 154
4) 진로정보 프로그램 = 155
2. 진로정보의 영역 = 158
1) 교육정보 = 158
2) 직업정보 = 161
3) 개인ㆍ사회적 정보 = 164
3. 진로정보 센터 = 165
1) 진로정보 센터의 필요 = 165
2) 진로정보 센터의 기능 = 166
3) 진로정보 센터의 원리 = 170
4. 진로정보 센티의 조직 = 171
1) 설치 목적 = 174
2) 기능 = 174
3) 사업내용 = 174
4) 진로정보의 전달방법과 자료 = 178
5) 진로정보 자료 = 182
5. 진로정보 센터의 실제 = 186
1) 자녀의 진로지도 = 186
2) 중학생을 위한 고교진학 준비요령 = 188
3) 실업계 고등학생을 위한 취업준비 요령 = 196
5장 검사의 활용
1. 진로성숙검사 = 205
1) 진로발달 검사도구 = 206
2) 진로성숙도 검사 = 208
2. 적성검사 = 211
1) 일반적성검사 = 212
2) 일반직업 적성검사 = 212
3) 적성진단 검사 = 215
4) 기초적성 검사 = 218
5) 학과와 직업선택을 위한 적성검사 = 219
6) 직업선호도 조사 = 223
7) 종합적성 및 진로검사 = 227
8) 진로성향 종합검사 = 228
9) 직업진학 적성검사 = 230
10) 진로 및 적성탐색검사 = 231
11) 진로흥미 적성검사 = 233
12) 진로적성 진단검사 = 234
13) 진로적성검사 = 236
14) 스트롱 흥미검사 = 237
15) 진로직업 선호체계 검사 = 238
16) 직업적성검사 = 239
17) 간편(MMPI) 성격검사 = 240
18) 다면적 인성검사(MMPI) = 242
3. 검사정보의 자원 = 243
1) 적성검사의 종류 = 245
2) 성격ㆍ인성검사의 종류 = 246
3) 최신 적성검사의 종류 = 247
제3부 진로상담의 방법
6장 진로상담의 과정
1. 진로상담의 최근 동향 = 251
1) 진로상담의 과정 = 255
2) 상담기술 = 258
3) 진로상담자가 되는 길 = 259
2. 첫면접 = 260
1) 면담준비 = 261
2) 내담자와의 만남과 관계형성 = 262
3) 구조화 : 초기계약의 설정 = 262
4) 구조화 : 비공식적 역할 설정 = 268
5) 비밀유지의 한계 설정 = 270
6) 평가 고려사항의 확인 = 271
7) 상담비용 등 기타 문제 = 273
8) 첫면담의 종결 = 273
9) 첫면담 요약 = 275
10) 첫면담 실습에 대한 학습 = 275
3. 진로상담의 기본원리 = 276
4. 진로상담시 고려해야 할 사항 = 279
1) 자기이해 = 279
2) 직업세계의 이해 = 279
3) 가치관의 확립 = 280
4) 진로정보 활동의 전개 = 280
5) 표준화검사의 실시 = 281
6) 단계적 원리의 적용 = 281
7) 직업윤리의 적용 = 281
8) 진로상담의 실시 = 282
5. 효율적인 진로상담을 위한 제언 = 284
1) 상담자의 능력 = 284
2) 상담자의 기대 = 286
3) 내담자의 수준 = 287
7장 진로 집단프로그램
1. 진로 집단프로그램의 필요성 = 291
2. 진로 집단프로그램의 목표 = 292
3. 진로 집단프로그램의 구조화 및 원칙 = 293
4.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구성 내용 = 294
1) 자기소개 = 295
2) 나의 생애 역할 알아보기 = 295
3) 15년 후의나의 모습 = 296
4) 흥미에 대한 점검 및 이해 = 296
5) 적성에 대한 점검 및 이해 = 296
6) 기술에 대한 점검 및 이해 = 296
7) 성격에 대한 점검 및 이해 = 297
8) 삶의 가치에 대한 점검 및 이해 = 297
9) 직업 가치에 대한 점검 및 이해 = 297
10) 자기 이해 요약 및 종합 = 297
11) 직업ㆍ진학 정보수집을 위한 준비 = 298
12) 직업세계 이해하기 = 298
13) 의사결정 연습하기 = 298
5.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실제 = 299
1) 나의 생애 역할 알아보기 = 299
2) 15년 후 나의 모습 = 300
3) 나의 흥미 = 302
4) 나의 적성 = 304
5) 나의 기술 = 305
6) 나의 성격 = 308
7) 나의 삶의 가치 = 310
8) 나의 직업 가치 = 312
9) 자기이해 요약 및 종합 = 314
10) 직업ㆍ진학 정보수집을 위한 준비 = 316
11) 직업세계 이해하기 = 318
12) 의사결정 연습하기 = 320
8장 특수아동을 위한 진로상담
1. 특수아동 진로교육 = 323
1) 특수아동 진로교육 역사 = 323
2) 특수아동을 위한 직업재활 = 326
3) 전환교육 = 328
2. 특수아동을 위한 진로개발 과정 = 332
1) 진로인식과 진로탐색 = 332
2) 진로준비 : 직업흥미와 직업적성 평가 = 334
3) 진로배치와 교육배치 = 336
4) 고용가능성 기능 개발하기 = 337
5) 학생의 대학 선택을 돕기 = 338
3. 특수아동 진로상담 = 339
1) 행동적 진로상담 = 339
2) 전환 서비스에서의 진로상담 = 341
3) 장애영역별 진로상담 = 343
4. 컴퓨터를 활용한 진로상담 = 348
9장 컴퓨터를 이용한 진로상담
1. 진로상담의 컴퓨터 적용 = 349
1) 진로상담과 컴퓨터 = 350
2) 컴퓨터 보조 진로상담지도 체계 = 352
3) 직업상담지도 체계의 장ㆍ단점 = 353
4) 컴퓨터 정보자료 = 353
5) 직업상담을 위한 소프트웨어 = 355
6) 컴퓨터 정보시스템 = 357
2. 컴퓨터시스템의 유의점 = 371
1) 검사에 대한 정확한 평가 = 371
2) 데이터 베이스 탐색 = 372
3) 정보수집 = 372
4) 필요한 능력 = 374
제4부 의사결정과 직업세계
10장 의사결정의 이해
1. 기술적 진로 의사결정 모델 = 377
1) Vroom의 기대모델 = 377
2) Janis와 Mann의 갈등모델 = 380
2. 처방적 진로 의사결정 모델 = 384
1) Mitchell의 재개념화된 선택모델 = 384
2) Mitchell과 Beach의 주관적 기대효용 모델 = 387
3) Tversky의 관점에 따른 배제모델 = 391
3. 의사결정 유형 = 393
11장 직업세계의 이해
1. 직업의 의미 = 397
1) 경제성 = 399
2) 사회성 = 400
3) 개인성 = 400
2. 직업관 = 401
3. 직업관의 사회적 변천 = 404
1) 역사적 배경 = 406
2) 산업화 과정에서의 요인 = 408
4. 한국인의 직업관 = 411
1) 자리와 일 = 411
2) 내 사람과 네 사람 = 412
3) 일의 보람 = 412
4) 일과 체면 = 413
5) 팔자소관 = 414
5. 바람직한 직업관 = 414
참고 문헌 = 417
부록 = 429
1. 진로상담의 역사적 배경 = 431
2. 우리나라의 진로상담 발전현황 = 44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