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문 = xi
세포의 구조 및 특징. 분자적 접근 = xiii
역자 서문 = xv
PARTⅠ 서론
1 세포와 세포연구의 개관 = 3
세포의 기원과 진화 = 3
최초의 세포 = 4
대사과정의 진화 = 6
현재의 원핵세포 = 7
진핵세포 = 7
다세포 생물의 진화 = 10
실험모델로서의 세포 = 11
대장균(Esc...
목차 전체
목차
서문 = xi
세포의 구조 및 특징. 분자적 접근 = xiii
역자 서문 = xv
PARTⅠ 서론
1 세포와 세포연구의 개관 = 3
세포의 기원과 진화 = 3
최초의 세포 = 4
대사과정의 진화 = 6
현재의 원핵세포 = 7
진핵세포 = 7
다세포 생물의 진화 = 10
실험모델로서의 세포 = 11
대장균(Escherichia coli) = 12
효모(Yeasts) = 13
점균류(Dictyostelium discoideum) = 14
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 = 14
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 = 14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 = 15
척추동물 = 15
세포생물학 연구방법 = 17
광학현미경(Light Microscopy) = 17
전자현미경(Electron microscope) = 22
세포성분의 분획 = 22
동물세포 배양 = 26
식물세포 배양 = 27
바이러스(virus) = 28
핵심 연구: 동물세포배양 = 25
분자 의학: 바이러스와 암 = 28
핵심용어 및 단원요약 = 30
Questions = 31
2 세포의 화학적 접근 = 33
세포의 구성분자 = 33
탄수화물 = 33
지질 = 36
핵산 = 38
단백질 = 40
생체 촉매로서 효소의 역할 = 46
효소의 촉매 활성 = 46
효소 촉매작용의 기전 = 46
조효소 = 48
효소활성의 조절 = 49
대사 에너지 = 51
자유 에너지와 ATP = 51
포도당으로부터의 ATP 생성 = 53
기타 유기물로부터의 에너지의 생성 = 58
광합성 = 58
세포 구성성분의 생합성 = 60
탄수화물 = 60
지질 = 61
단백질 = 62
핵산 = 63
세포막 = 64
막 지질 = 64
막 단백질 = 65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수송 = 68
핵심연구: 폴리펩티드 사슬의 접힘 = 42
분자의학: 페닐케톤뇨증 = 64
핵심용어 및 단원요약 = 70
Questions = 71
3 분자생물학의 기초 = 73
유전, 유전자, DNA = 73
유전자와 염색체 = 73
유전자와 효소 = 74
유전물질로서의 DNA 확인 = 76
DNA 구조 = 76
DNA 복제 = 77
유전 정보의 발현 = 78
유전자와 단백질의 상관성 = 79
mRNA의 기능 = 79
유전암호 = 80
RNA 바이러스와 역전사 = 81
재조합 DNA = 83
제한효소 = 84
재조합 DNA 분자의 생산 = 85
재조합 DNA의 운반체 = 88
DNA 염기서열 분석 = 89
클론 된 유전자의 발현 = 90
중합효소 연쇄반응에 의한 DNA의 증폭 = 92
핵산과 단백질의 검출 = 94
핵산 혼성화 = 94
PCR에 의한 소량의 DNA 및 RNA 검출 = 98
단백질 탐침으로서 항체 = 98
재조합 DNA 장서 선별용 탐침 = 100
진핵생물의 유전자 기능 = 102
효모에서 유전적 분석 = 103
동물과 식물에서 유전자 전달 = 104
클로닝된 DNA의 돌연변이 유발 = 106
세포 유전자에 돌연변이 도입 = 106
핵심연구: DNA 프로바이러스 가설 = 83
분자의학: HIV와 AIDS = 87
핵심용어 및 단원요약 = 110
Questions = 112
PART Ⅱ 유전정보의 전달
4 다양한 세포들의 유전체 구성과 염기서열 = 115
진핵생물 유전체의 복잡성 = 115
인트론(intron)과 엑손(exon) = 115
반복적인 DNA 서열 = 120
유전자 중복 및 유사유전자 = 122
고등 진핵세포 유전체의 구성 = 123
염색체와 염색질 = 124
염색질 = 125
동원체 = 127
말단소체 = 128
전체 유전체의 염기서열 = 129
원핵세포의 유전체 = 131
효모의 유전체 = 132
꼬마선충과 초파리의 유전체 = 133
식물의 유전체 = 137
인간의 유전체 = 139
핵심연구: 인트론의 발견 = 118
핵심연구: 인간유전체 = 138
핵심용어 및 단원요약 = 141
Questions = 143
5 유전체 DNA의 복제, 유지 및 재배열 = 145
DNA 복제 = 145
DNA 중합효소 = 145
복제분기점 = 147
복제의 정확성 = 153
복제기점과 개시 = 154
말단소립과 말단소립중합효소: 염색체의 말단 복제 = 155
DNA 회복 = 157
DNA 손상의 직접회복 = 157
절단회복 = 159
오류-빈발 회복 = 166
재조합회복 = 166
상동 DNA 염기서열 사이의 재조합 = 167
DNA 분자는 절단과 재결합에 의해 재조합된다 = 168
상동성 재조합 모델 = 169
상동재조합에 관여하는 효소 = 172
DNA 재배열 = 174
부위-특이적 재조합 = 174
DNA 중간체를 통한 전위 = 183
RNA 중간체를 통한 전위 = 184
유전자 증폭 = 189
분자의학: 결장암과 DNA 회복 = 168
핵심연구: 면역글로블린 유전자의 재배열 = 182
핵심용어 및 단원요약 = 190
Questions = 192
6 RNA 합성과 합성 후 가공과정 = 193
원핵세포에서의 전사 = 193
RNA 중합효소와 전사 = 193
억제인자와 전사의 억제 조절 = 195
전사의 촉진 조절 = 198
중합효소의 RNA 중합효소와 일반전사 인자 = 199
진핵 세포의 RNA 중합 효소 = 200
일반 전사인자와 RNA 중합효소 Ⅱ에 의한 전사개시 = 200
RNA 중합효소 Ⅰ과 Ⅲ에 의한 전사 = 202
진핵세포의 전사 조절 = 204
cis-Acting 조절 염기서열: 프로모터와 증폭자 = 205
전사조절 단백질 = 208
전사 활성인자의 구조와 기능 = 211
진핵세포의 억제 인자 = 214
전사와 염색질 구조의 관계 = 215
비 암호화 RNA (Noncoding RNA)에 의한 전사조절 = 217
DNA 메틸화 과정 = 218
RNA 가공과 전환과정 = 219
rRNA와 tRNA의 가공 = 220
진핵세포의 mRNA 가공 = 222
스플라이싱 기전 = 223
선택적 스플라이싱 = 227
RNA 편집 = 228
RNA 분해 = 229
핵심연구: 진핵세포 전사인자의 분리 = 210
핵심연구: SnRNP의 발견 = 226
핵심용어 및 단원요약 = 231
Questions = 233
7 단백질의 합성, 변환 및 조절 = 235
mRNA의 번역 = 235
tRNA = 235
리보솜 = 236
mRNA의 구성과 번역과정의 시작 = 239
번역과정의 시작 = 241
번역과정의 조절 = 246
단백질접힘과 변환 = 249
샤페론과 단백질접힘 = 249
단백질접힘에 관련된 효소들 = 252
단백질의 절단 = 253
당질화 (Glycosylation) = 255
지질의 결합 = 257
단백질기능의 조절 = 258
저분자물질에 의한 조절 = 258
단백질인산화에 의한 조절 = 260
단백질-단백질간의 상호작용 = 262
단백질의 분해 = 263
Ubiquitin-Proteasome경로 = 264
라이소솜에 의한 단백질분해 = 265
핵심연구: 리보솜RNA의 촉매역활 = 242
분자의학: 항생제와 단백질합성 = 245
핵심용어 및 단원요약 = 266
Questions = 268
PART Ⅲ 세포의 구조와 기능
8 핵 = 271
핵막 및 핵과 세포질간의 물질수송 = 271
핵막의 구조 = 271
핵공 복합체 = 273
핵막을 통한 단백질의 선택적 수송 = 274
핵단백질 유입의 조절 = 278
RNA 수송 = 279
핵의 내부구조 = 280
염색체와 염색질의 구조 = 280
핵 안에서의 기능적 영역 = 281
인 = 283
rRNA 유전자와 인의 구조 = 283
rRNA 전사 및 가공 = 285
리보솜 조립 = 287
유사분열 과정의 핵 = 288
핵막의 소실 = 290
염색체 응축 = 291
간기 핵의 재형성 = 291
핵심연구: 핵 위치 신호의 발견 = 276
분자의학: 핵 라미나 질병 = 286
핵심용어 및 단원요약 = 294
Questions = 295
9 단백질의 선별분류와 그 수송 :소포체, 골지체, 그리고 리소좀 = 297
소포체 = 297
소포체와 단백질 분비 = 297
단백질을 소포체로 표적하여 보내기 = 299
소포체 막으로 단백질의 삽입 = 303
소포체에서 단백질 접힘과 가공 = 306
활면 소포체와 지질 생합성 = 308
소포체로부터 단백질과 지질을 내보내기 = 312
골지장치 = 313
골지의 구성 = 314
골지 내에서 단백질의 당화 = 314
골지에서 지질과 탄수화물 대사 = 317
골지장치에서 단백질 선별과 방출 = 318
소포 수송의 기작 = 322
소포 수송을 이해하기 위한 실험 연구 = 322
짐 꾸러미의 선택, 피복 단백질, 그리고 소포 싹 트임 = 324
소포 융합 = 325
리소좀 = 326
리소좀 산 가수분해 효소들 = 326
내포 작용과 리소좀 형성 = 327
식세포 작용과 자식 작용 = 328
핵심연구: 신호 가설 = 302
분자의학: Gaucher 병 = 330
핵심용어 및 단원요약 = 332
Questions = 334
10 생체에너지론과 대사과정: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퍼옥시솜 = 335
미토콘드리아 = 335
미토콘드리아의 구조와 기능 = 335
미토콘드리아의 유전체계 = 336
단백질 유입과 미토콘드리아 구성 = 338
산화적 인산화 기작 = 342
전자전달계 = 342
화학삼투 = 343
내막을 통한 대사산물의 수송 = 345
엽록체와 색소체 = 347
엽록체의 구조와 기능 = 348
엽록체의 유전체 = 349
엽록체 단백질의 유입과 선별 = 349
기타 색소체 = 350
광합성 = 351
광계 Ⅰ과 Ⅱ를 통한 전자전달 = 352
순환적 전자전달 = 355
ATP 합성 = 356
퍼옥시솜 = 357
퍼옥시솜의 기능 = 357
퍼옥시솜의 형성 = 359
분자의학: 미토콘드리아와 연관된 질병: 레버 유전성 시신경 질환 = 340
핵심연구: 화학삼투설 = 346
핵심용어 및 단원요약 = 360
Questions = 362
11 세포골격과 세포운동 = 363
액틴 섬유의 구조와 체제 = 363
액틴섬유의 조립과 분해 = 363
액틴섬유의 구성 = 367
액틴섬유와 원형질막의 연결 = 369
세포표면의 돌기 = 372
액틴, 미오신, 그리고 세포운동 = 373
근육수축 = 374
비근육세포에서 액틴과 미오신의 조립 = 377
비전형적인 미오 = 378
세포의 이동과 포복운동 = 379
중간섬유 = 381
중간섬유단백질 = 381
중간섬유의 조립 = 382
중간섬유의 세포내 체제 = 383
Keratin과 신경섬유의 기능: 피부와 신경계의 질환 = 384
미세소관 = 387
미세소관의 구조, 조립, 및 동적 불안정성 = 387
중심체, 중심립, 그리고 미세소관 체제 = 390
체세포분열 동안 미세소관의 재구성 = 390
미세소관의 안정화와 세포 극성 = 391
미세소관 모터 및 운동 = 392
미세소관 운동성 모터단백질의 확인 = 392
세포소기관의 이동과 세포내 체제 = 394
체세포분열기 염색체의 분리 = 396
섬모와 편모 = 398
핵심연구: 비정상적인 피부 발달은 돌연변이 keratin의 발현에 기인한다 = 386
핵심연구: Kinesin 분리 = 394
핵심용어 및 단원요약 = 400
Questions = 402
12 세포 표면 = 403
원형질막의 구조 = 403
인지질 이중막 = 403
막단백질 = 405
막단백질의 이동 = 408
The Glycocalyx = 411
작은 분자의 이동 = 412
수동적 확산 = 412
촉진 확산과 운반 단백질 = 412
이온통로 = 413
ATP 가수분해에 의한 능동수송 = 420
이온 구배에 의한 능동 수송 = 423
ENDOCYTOSIS = 424
식세포작용 = 426
수용체 매개 endocytosis = 427
Endocytosis 과정에서의 단백질 유통 = 431
세포벽과 세포외 기질 = 433
박테리아의 세포벽 = 433
식물의 세포벽 = 433
세포외 기질 = 437
세포 사이의 상호작용 = 442
세포부착단백질 = 442
밀착 연접 = 445
간극 연접 = 445
식물세포 사이의 부착과 원형질연락사 = 446
분자의학: 낭포성 섬유증 = 423
핵심연구: LDL 수용체 = 428
핵심용어 및 단원요약 = 447
Questions = 448
PART Ⅳ 세포의 조절
13 세포의 신호전달 = 451
신호전달 분자들과 그들의 수용체 = 451
세포-세포간 신호전달 양상 = 451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핵의 수용체 거대족 = 453
산화질소와 일산화탄소 = 454
신경전달물질 = 455
펩티드 호르몬과 성장인자 = 455
Eicosanoids = 457
Plant Hormones = 457
세포 표면 수용체들의 기능들 = 458
G-단백질과 연계된 수용체들 = 458
수용체 단백질 - 타이로신 키나아제 = 461
사이토카인 수용체와 비수용체 단백질-타이로신 키나제 = 464
다른 효소활성과 연계된 수용체 = 465
세포내 신호전달 경로 = 466
cAMP 경로: 2차 전령과 단백질 인산화 = 466
Cyclic GMP = 468
인지질과 C$$a^{2+}$$ = 468
Ras, Raf, 그리고 MAP kinase경로 = 473
JAK/STAT 경로 = 477
신호전달과 세포골격 = 478
인테그린과 신호전달 = 478
엑틴 세포골격의 조절 = 479
발생과 분화에 관련된 신호 = 483
초파리(Drosophila)와 선충(C.elegans)의 타이로신 키나제 수용체/Ras/Raf/ERk 경로 = 483
Hedgehog 와 Wnt = 484
Notch 신호 = 486
세포 예정사의 조절 = 486
케스페이즈(Caspases)와 세포사멸 = 487
세포 사멸 수용체와 케스페이즈 활성 = 489
세포 생존 신호 = 490
핵심연구: The Src Protein-Tyrosine Kinase = 462
분자의학: 암: 신호전달과 ras 암발생유전자 = 480
핵심용어 및 단원요약 = 490
Questions = 493
14 세포 주기 = 495
진핵세포의 세포주기 = 495
세포주기의 단계 = 495
세포성장과 세포외 신호에 의한 세포주기 조절 = 496
세포주기의 검사점 = 498
세포주기시 DNA복제를 1회로 조절 = 500
세포주기 진행의 조절인자 = 500
MPF: Cdc2와 cyclin의 이량체 = 501
Cyclin계열과 사이클린 의존 산화효소 = 504
성장 인자와 D형 cyclin = 506
세포주기 진행의 저해제 = 507
M기에서 일련의 과정 = 508
유사분열 단계 = 509
MPF와 중기로 진행 = 510
단백질 분해와 MPF의 미활성화: 후기와 말기 = 511
세포질 분열 = 513
감수분열과 수정 = 513
감수분열 과정 = 515
난모세포에서 감수분열 조절 = 516
수정 = 518
줄기세포와 성체조직의 유지 = 518
분화된 세포의 증식 = 519
줄기세포 = 519
줄기세포의 의학적응용 = 521
핵심연구: 성숙 촉진 인자(MPF) 발견 = 502
핵심연구: 배아줄기세포의 배양 = 520
핵심용어 및 단원요약 = 522
Questions = 524
15 암 = 525
암의 발생과 원인 = 525
암의 종류 = 525
암의 발생 = 526
암의 원인 = 527
암세포의 특성 = 528
배양세포의 형질전환 = 532
종양 바이러스 = 533
B형 및 C형 간염 바이러스 = 533
SV4O과 폴리오마 바이러스 = 533
유두종 바이러스 = 535
아데노 바이러스 = 535
헤르페스 바이러스 = 535
레트로 바이러스 = 536
암 유전자 = 536
레트로 바이러스성 암 유전자 = 536
원암 유전자 = 537
인간 암의 암 유전자 = 539
암 유전자 산물의 기능 = 542
종양억제자 유전자 = 545
종양억제자 유전자의 확인 = 545
종양억제자 유전자 산물의 기능 = 547
종양 발생에서 암 유전자와 종양억제자 유전자의 역할 = 550
암 예방 및 치료에 대한 분자생물학의 적용 = 551
예방과 조기 진단 = 551
분자수준의 진단 = 552
치료 = 553
핵심연구: 원암 유전자의 발견 = 540
분자의학: bcr/abl 암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암 치료제 STI-571 = 555
핵심용어 및 단원요약 = 556
Questions = 558
Answers to Questions = 559
Index = 56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