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지은이 머리말 = ⅲ
옮긴이 머리말 = ⅷ
1부 도전
1장 도전 확인하기 = 3
1. 도전 = 3
2. 출현성 감염들에 부합하는 요인들 = 8
2-1. 세계 인구의 증가 = 8
2-2. 도시화 = 10
2-3. 생태계의 혼란 = 13
2-4. 기술적 진보 = 18
2-5. 미생물의 진보와 적응 = 20
2-6....
목차 전체
목차
지은이 머리말 = ⅲ
옮긴이 머리말 = ⅷ
1부 도전
1장 도전 확인하기 = 3
1. 도전 = 3
2. 출현성 감염들에 부합하는 요인들 = 8
2-1. 세계 인구의 증가 = 8
2-2. 도시화 = 10
2-3. 생태계의 혼란 = 13
2-4. 기술적 진보 = 18
2-5. 미생물의 진보와 적응 = 20
2-6. 사람의 행위와 태도 = 23
2장 미생물의 세계 = 29
1. 몇몇 기본적인 생물학적 원리 = 29
1-1. 세포이론 = 29
1-2. 대사적 다양성 = 30
1-3. 산소 요구 = 31
1-4. 유전정보 = 31
2. 무엇이 미생물을 만드는가? = 31
3. 원핵세포와 진핵세포 = 34
4. 미생물의 진화와 다양성 = 35
5. 미생물 소개 = 41
5-1. 세균 = 41
5-2. 진균류 = 42
5-3. 조류 = 43
5-4. 원충류 = 43
5-5. 바이러스 = 43
3장 미생물의 유익한 면 : 동전의 다른 면 = 47
1. 환경 속의 미생물 = 48
1-1. 분해자 역할의 미생물 = 48
1-2. 미생물과 생물지구화학적 순환 = 48
2. 식량 생산 관련 미생물 = 51
2-1. 유제품 = 52
2-2. 포도주, 맥주 그 밖의 주류 = 54
3. 연구 도구로서 미생물의 이용 = 57
4. 산업에서 미생물의 이용 = 59
5.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정화법 = 60
4장 세균 = 65
1. 세포의 모양과 배열양식 = 66
2. 세균의 명명법 = 66
3. 세균 세포의 해부학적 구조 = 67
3-1. 외피 = 67
3-2. 세포질 = 70
3-3. 부속기관들 = 73
4. 증식곡선 = 73
4-1. 유도기 = 75
4-2. 지수기 = 75
4-3. 정지기 = 76
4-4. 사멸기 = 70
5. 세균 배양 :진단 = 76
6. 비정형 세균 = 78
6-1. 마이코플라스마 = 79
6-2. 클라미디아 = 79
6-3. 리케치아 = 79
5장 바이러스 = 83
1. 감염체로서의 바이러스 = 83
2. 바이러스의 구조 = 86
2-1. 핵산 = 86
2-2. 단백질 껍질 = 87
2-3. 바이러스 외피 = 88
3. 바이러스의 분류 = 88
4. 바이러스 증식 = 89
4-1. 흡착 = 89
4-2. 침투 = 90
4-3. 증식 = 90
4-4. 조립 = 92
4-5. 방출 = 92
5. 숙주세포의 손상 = 93
6. 바이러스 배양 = 94
6-1. 발육란(수정란) = 94
6-2. 세포 배양 = 95
7. 바이러스 감염의 진단 = 97
8. 파지치료법 = 98
6장 미생물성 감염질환의 개념 = 101
1. 생물학적 연합 = 101
2. 기생생활 : 삶의 한 방식 = 103
3. 질병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 = 105
4. 질병에서의 미생물 기전 = 106
4-1. 병원성과 독력 = 107
4-2. 방어 전략들 = 109
4-3. 공격 단계: 세포외 생성물 = 111
4-4. 비세균성 병원균들의 독력기전 = 114
4-5. 미생물 감염 질환의 단계 = 115
7장 미생물성 질병의 역학과 주기 = 119
1. 역학의 개념 = 119
2. 미생물성 질병의 주기 = 124
2-1. 감염의 보충숙주 = 125
2-2. 전파 = 127
2-3. 침입 부위 = 132
2-4. 방출 부위 = 133
3. 병원내(병원에서 획득되는) 감염 = 133
3-1. 병원내 감염의 출처인 병원환경 = 134
3-2. 조절 방법 = 135
4. 두려움에 대한 역학 = 135
8장 세균성 질병 = 139
1. 식품매개 및 수인성 세균성 질병 = 139
1-1. 식중독 = 141
1-2. 식품매개성 감염 = 143
2. 공기매개 세균성 질병 = 150
2-1. 상기도감염 = 152
2-2. 하기도감염 = 156
3. 성적 전파성 질병 = 158
3-1. 매독 = 159
3-2. 임질 = 161
3-3. 클라미디아 = 161
3-4. 성병림프육아종과 Haemophilus ducreyi병 = 162
4. 접촉성 질병(성병 제외) = 162
4-1. 소화궤양 = 162
4-2. 한센병 = 165
4-3. 포도알균감염 = 166
5. 토양매개 질병 = 168
5-1. 탄저병 = 168
5-2. 파상풍 = 168
5-3. 렙토스피라병 = 170
6. 절지동물매개 질병 = 170
6-1. 페스트 = 171
6-2. 라임병 = 174
6-3. 재귀열 = 176
6-4. 리케치아성 질병 = 176
9장 바이러스성 질병 = 181
1. 공기매개 바이러스성 질병 = 182
1-1. 독감(인플루엔자) = 183
1-2.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 188
1-3. 감기 = 188
1-4. 홍역과 유행성이하선염 그리고 풍진 = 189
1-5. 수두와 대상포진 = 191
1-6. 한타바이러스 허파증후군 = 193
1-7. 천연두 = 194
2. 절지동물매개 바이러스성 질병 = 194
2-1. 뎅기열 = 194
2-2. 황열 = 195
2-3. 아보바이러스 = 197
3. 식품매개 및 수인성 바이러스성 질병 = 199
3-1. 위소장염 = 199
3-2. A형과 E형 간염 = 200
3-3. 회색질척수염 = 200
4. 바이러스성 성병 = 203
4-1. 생식기허피스 = 203
4-2. 생식기사마귀 = 204
5. 접촉성 질병(성병 제외)과 혈액매개 질병 = 204
5-1. 전염성단핵구증 = 205
5-2. B형, C형 및 D형 간염 = 205
5-3. 광견병, "죽음의 입맞춤" = 207
5-4. 에볼라바이러스 = 209
10장 원생동물, 연충류와 관련한 질병들 = 215
1. 원생동물의 생물학 = 215
2. 원생동물성 질병들 = 217
2-1. 식품매개 및 수인성 질병들 = 217
2-2. 절지동물매개 질병들 = 222
2-3. 성관계에 의해 전염되는 질병들 = 229
2-4. 진단과 치료들 = 230
3. 연충류의 생물학 = 230
4. 연충류 질병들 = 231
4-1. 식품매개 및 수인성 질병들 = 231
4-2. 절지동물매개 질병들 = 238
4-3. 직접적인 접촉성 질병들 = 242
5. 애완동물로부터 연충류의 전파 = 246
2부 도전과 맞서기
11장 면역반응 = 251
1. 기본절 개념 = 252
2. 해부학과 생리학 = 253
2-1. 혈액 = 253
2-2. 림프계 = 256
2-3. 1차 면역기관 = 257
2-4. 2차 면역기관 = 258
3. 면역 기능의 이원성: 비특이면역과 특이면역 = 259
3-1. 비특이면역 = 259
3-2. 특이면역 = 260
4. 임상적 상호관계 = 266
12장 미생물 감염질병의 억제 = 269
1. 공중위생과 청결 = 270
2. 식품 안전 = 276
3. 깨끗한 물 = 278
4. 예방접종 = 281
4-1. 배경 = 281
4-2. 능동면역 = 284
4-3. 능동면역의 종류 = 284
4-4. 백신 안전성 = 285
4-5. 소아기 예방접종 = 288
4-6. 수동면역 = 289
5. 항생제 = 290
5-1. 역사적 배경 = 290
5-2. 항미생물 작용기전 = 291
5-3. 항생제 내성 획득 = 293
5-4. 항생제 오용 = 295
5-5. 해결 노력 = 296
6. 항바이러스 약물 = 297
13장 전염병 관리에서의 협력관계 = 299
1. 배경과 목표 = 299
2. 전염성 질병 관리에 있어서의 공조 = 301
2-1. 지역적 단계 = 302
2-2. 국가적 단계 = 305
2-3. 국제적 단계 = 310
2-4. 사설 분야 = 313
3. 공조(협력자 관계): 가야할 길 = 313
3부 현재의 도전
14장 생물학적 무기 = 319
1. 생물학적 전쟁과 테러 = 320
2. 생물학적 무기의 역사 = 321
2-1. 2차 세계대전 초기 역사 = 321
2-2. 2차 세계대전~1972년까지 = 324
2-3. 1972~2001년 9월 11일까지 = 325
3. 생물학적 테러의 출현 = 327
4. 생물학적 무기의 위협 평가 = 329
5. 생물학적 위협의 범주 = 330
5-1. 탄저병 = 330
5-2. 천연두 = 334
6. 생물학적 무기에 대한 대책 = 334
7. 2001. 9. 11의 여파 = 336
15장 현재의 "역병" = 343
1. 역병의 특성 = 343
2. 프리온: 광우병과 변형 크로이츠펠트 - 야콥병 = 345
2-1. 프리온의 생물학 : 새로운 감염성 입자들 = 345
2-2. 광우병 = 347
2-3. 사람의 전파성 해면상 뇌증(Human TSEs) = 348
2-4. 광우병-변형야콥병의 연계 = 348
2-5. 억제 수단: 전파 주기의 파괴 = 350
3. 에이즈(AIDS, 후천성면역결핍증) = 352
3-1. 에이즈의 생물학 = 353
3-2. 에이즈의 기원 = 354
3-3. 에이즈의 전파 = 355
3-4. 에이즈: 질병 = 357
3-5. 에이즈의 원인 = 360
3-6. 에이즈 치료와 예방 = 361
3-7. 에이즈의 결말 = 366
3-8. 아프리카에서의 에이즈 = 366
3-9. 에이즈의 미래 = 368
4. 결핵(TB) = 368
4-1. 역사 = 368
4-2. 현재 상황 = 369
4-3. 결핵: 질병 = 369
4-5. 진단 = 370
4-6. 항생제 치료 = 373
4-7. 직접 관찰치료 단기과정 = 373
4-8. 재출현에 기여하는 요소들 = 374
4-9. 예방 = 376
16장 미완성의 억제 = 379
1. 본문 다시보기 = 380
2. 진행중인 싸움 = 381
3. 만성 질병 = 382
4. 연구 = 383
5. 모든 사람을 위한 건강 = 383
용어풀이 = 387
찾아보기 = 40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