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부 프로그램 기초
제1장 중등특수교육에 대한 관점 = 1
역사적 개관 = 3
결론 = 29
제2장 전환교육 및 서비스 모델 = 31
철학적 기초 = 31
종합적 전환교육 및 서비스 모델의 제안 = 35
결론 = 48
제3장 전환교육 및 서비스의 지침 = 51
법 = 52
고등학교 졸업 요건의 이해 = 81
중등특수...
목차 전체
목차
제1부 프로그램 기초
제1장 중등특수교육에 대한 관점 = 1
역사적 개관 = 3
결론 = 29
제2장 전환교육 및 서비스 모델 = 31
철학적 기초 = 31
종합적 전환교육 및 서비스 모델의 제안 = 35
결론 = 48
제3장 전환교육 및 서비스의 지침 = 51
법 = 52
고등학교 졸업 요건의 이해 = 81
중등특수교육 및 전환 프로그램에서 추천되는 교육 실제 = 87
결론 = 91
제4장 학생과 가족 = 93
청소년기 = 93
장애청소년 = 96
인구특성 상에서의 다양성 = 121
참여자로서의 가족 = 132
참여자로서의 학생 = 133
결론 = 133
제2부 프로그램 요소들
제5장 전환 평가 = 135
전환 평가의 개관 = 135
평가 정보의 수집 방법 = 143
평가와 전환계획의 연계 = 160
평가 실시 시 고려해야 할 쟁점 = 164
전환 평가 과정에 관련되는 인사 = 168
참고문헌 = 171
전환 평가를 위한 권고사항 = 173
결론 = 176
제6장 고용으로의 전환 = 179
교수내용 = 181
직업에 기반을 둔 학습의 원칙과 특성 = 194
직업에 기반을 둔 학습을 전달하는 프로그램 모델 = 201
참고문헌 = 218
학생을 고용으로 전환하도록 준비하는 데에 있어 쟁점 = 220
고용으로의 전환을 위한 개별화된 계획 = 222
결론 = 224
제7장 직무배치, 훈련, 지도관리 = 225
직무배치 = 228
직업에 기반을 둔 학습의 법적 측면 = 244
배치와 지도관리 단계 = 246
직무훈련 = 254
참고문헌 = 260
결론 = 261
제8장 중등이후 교육으로의 전환 = 263
장애학생의 중등이후 교육에 관한 일반적 정보 = 264
중등이후 교육 프로그램에 요구되는 기술들 = 270
중등과 중등이후 단계에서의 교수전략 = 276
참고문헌 = 282
중등이후 교육기관에 관한 법 규정 = 283
중등이후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정보와 문서화 = 285
결론 = 289
제9장 독립적 및 상호의존적 성인생활로의 전환 = 291
독립적 및 상호의존적 일상생활 기술 훈련 = 292
체계적인 계획 = 318
학생과 가족과의 의사소통 = 320
학교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의사소통 = 322
참고문헌 = 323
일반적 지역사회 서비스 = 326
결론 = 330
제3부 프로그램 실행
제10장 교수 전략 = 331
전환목표와 IEP의 통합 = 331
자기결정 교수하기 = 333
통합 환경에서의 교수 = 339
참고문헌 = 365
결론 = 370
제11장 학교와 지역사회 자원: 연계와 의뢰 = 371
특수교육 프로그램 대상 고등학교 학생의 의뢰 필요성 = 372
학교 기반 연계와 의뢰 자원 = 374
주요 서비스 제공자 = 385
지역사회 기반 연계와 의뢰 자원 = 406
의뢰를 위한 지침 = 406
기관간 협동 = 408
결론 = 419
제12장 전환교육 및 전환 서비스 제공에 대한 논점들 = 421
논쟁점 = 422
결론 = 440
부록 : 전환계획을 위해 상업적으로 유용한 평가도구들 = 441
용어정의 = 457
참고문헌 = 469
찾아보기 = 49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