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3
문명의 재구성 그리고 동양 전통 담론의 재해석/ 길진숙 = 13
동포와 역사적 감각/ 권보드래 = 51
근대적 정치운동 또는 국민 발견의 시공간/ 정선태 = 77
1900년대 초반 단행본과 교과서 텍스트에 나타난 사회 담론의 특성/ 박주원 = 117
근대 계몽기 신문에서 영토적 공간 개념의 형성/ 박태호 = 145
독립신문의 근대국가 건설론...
목차 전체
책머리에 = 3
문명의 재구성 그리고 동양 전통 담론의 재해석/ 길진숙 = 13
동포와 역사적 감각/ 권보드래 = 51
근대적 정치운동 또는 국민 발견의 시공간/ 정선태 = 77
1900년대 초반 단행본과 교과서 텍스트에 나타난 사회 담론의 특성/ 박주원 = 117
근대 계몽기 신문에서 영토적 공간 개념의 형성/ 박태호 = 145
독립신문의 근대국가 건설론/ 김동택 = 189
황성신문에 나타난 위생 개념의 담론적 배치/ 고미숙 = 227
러일전쟁 직후 일본의 한국식민론과 문명/ 함동주 = 259
청말 양계초의 대한제국기 한국 인식/ 전동현 = 289
한독 관계 초기 독일인의 한국인식에 나타난 근대의 시선/ 고유경 = 327
필자소개 = 36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