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편 미생물학 일반
1. 미생물학
1.1 화장품과 미생물 = 12
1.2 미생물의 분류 = 13
2. 미생물의 구조와 기능
2.1 세균 = 15
2.1.1 세균의 크기 및 형태 = 15
2.1.2 세균 세포의 구조와 기능 = 17
(1) 세포막 = 17
(2) 세포벽 = 18
(3) 세포질ㆍ메소솜ㆍ리보솜...
목차 전체
목차
제1편 미생물학 일반
1. 미생물학
1.1 화장품과 미생물 = 12
1.2 미생물의 분류 = 13
2. 미생물의 구조와 기능
2.1 세균 = 15
2.1.1 세균의 크기 및 형태 = 15
2.1.2 세균 세포의 구조와 기능 = 17
(1) 세포막 = 17
(2) 세포벽 = 18
(3) 세포질ㆍ메소솜ㆍ리보솜 = 21
(4) 핵 = 22
(5) 세포벽 외부기관 = 22
2.2 진균 = 25
2.2.1 진균의 크기 및 형태 = 25
2.2.2 진균의 형태적 구조 = 26
(1) 효모 = 26
(2) 균사 = 27
(3) 균사체 = 27
(4) 포자 = 27
2.2.3 진균세포의 구조 = 28
(1) 원형질막 및 세포내 소기관 = 28
(2) 세포외 기관 = 31
2.2.4 진균의 증식 = 33
(1) 곰팡이의 증식 = 33
(2) 효모의 증식 = 37
3. 대사와 증식 = 38
3.1 대사의 개요 = 38
(1) 이화작용 = 38
(2) 동화작용 = 39
(3) 해당작용 = 39
3.2 호흡과 발효 = 39
(1) 호흡 = 40
(2) 발효 = 42
3.3 증식 = 43
(1) 증식곡선 = 43
(2) 미생물 증식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 45
4. 미생물실험을 위한 기초 = 53
4.1 미생물 실험에 필요한 기구 및 기본 조작 = 53
4.1.1 백금이 = 53
(1) 백금이 = 53
(2) 백금선 = 53
(3) 백금이ㆍ백금선 조작법 = 53
4.1.2 세척과 멸균 = 55
(1) 초자기구 세척법 = 55
(2) 멸균법 = 55
4.2 미생물의 배양 = 60
4.2.1 배지 = 60
(1) 배지의 물리적 성상에 따른 분류 = 61
(2)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 62
4.3 미생물의 접종법 및 순수배양 = 63
4.3.1 미생물의 배지 접종법 = 63
(1) 사면배지 접종법 = 63
(2) 고층배지 접종법 = 63
(3) 액체배지 접종법 = 64
4.3.2 미생물의 순수배양 = 64
(1) 획선 평판법 = 65
(2) 도말 평판법 = 66
(3) 혼합 평판법 = 66
4.4 배지 폐기방법 = 67
4.5 화장품 미생물 시험에 사용되는 시험장비 = 69
5. 화장품 산업에서 중요한 미생물들 = 72
(1) Pseudomonas 속 = 72
(2) Serratia 속 = 73
(3) Escherichia 속 = 74
(4) Enterobacter 속 = 74
(5) Klebsiella 속 = 75
(6) Proteus 속 = 75
(7) Staphylococcus 속 = 76
(8) Streptococcus 속 = 76
(9) Bacillus 속 = 77
(10) Clostridium 속 = 78
(11) Candida albicans = 79
제2편 화장품에서 미생물 관리
6. 원료ㆍ제조환경 및 화장품에서의 미생물 발현 = 81
6.1 미생물 오염의 중요성 = 81
6.2 원료에서의 미생물 발현 = 83
6.2.1 미생물의 증식 = 83
6.2.2 원료와 연관된 미생물 오염 = 84
(1) 정제수 = 84
(2) 산ㆍ알칼리와 염 = 85
(3) 오일ㆍ왁스와 파라핀 = 86
(4) 지방산ㆍ알코올과 에스터 = 86
(5) 계면활성제 = 88
(6) 보습제 = 88
(7) 탈크(Talc)와 점토(Clay) = 88
(8) 단백질 가수분해물ㆍ전분ㆍ식물성 원료ㆍGums and Resins = 88
(9) 색속 = 89
(10) 방부제ㆍ항산화제ㆍ금속이온 봉쇄제 = 89
(11) 향료와 에센셜 오일 = 90
6.2.3 원료의 미생물 오염 가능성 평가 = 90
6.3 제조환경에서의 미생물 발현 = 91
6.3.1 미생물 관리 필요성 = 91
6.3.2 제조장 = 92
6.3.3 제조설비 = 94
6.3.4 작업자 교육 = 95
6.3.5 세척ㆍ멸균 프로그램의 관리유지 = 98
6.4 화장품에서 미생물 발현 = 98
6.4.1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 사례 = 99
6.4.2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101
6.4.3 미생물 오염으로 인한 화장품의 변질 = 101
6.4.4 화장품에 오염되는 미생물의 종류 = 102
6.5 화장품의 미생물 오염원과 대책 = 103
6.5.1 미생물 오염의 원인 = 104
(1) 1차 오염 = 104
(2) 2차 오염 = 108
6.5.2 미생물 오염 대책 = 110
(1) 제조수의 미생물 문제 = 111
(2) 제조수 미생물 오염 대책 = 112
(3) 환경 미생물 제어법 = 115
(4) 분체 메이크업 제품의 미생물 대책 = 116
7. 제조관리 = 119
7.1 제조환경의 미생물 평가 = 120
7.1.1 제조환경의 영향 = 120
(1) 건물 = 120
(2) 장비 = 121
(3) 사람 = 121
(4) 살균 소독 및 관리 = 121
7.1.2 제조설비 표면의 미생물 측정법 = 121
(1) 면봉법 = 121
(2) 접촉평판법 = 122
(3) 출구 모니터링 = 122
7.1.3 공기중의 미생물 측정법 = 122
(1) 평판방치 = 122
(2) 막 여과법 = 124
(3) 유리공기 포집기 = 124
(4) 앤더슨 시브 = 124
(5) 원심분리형 공기 채취기 = 124
7.2 제조환경의 미생물 제어 = 127
7.2.1 세정 = 128
7.2.2 살균ㆍ소독 = 130
(1) 물리적인 방법 = 130
(2) 화학적인 방법 = 131
(3) 소독제의 특징 = 133
(4) 소독제 선택의 유의점 = 133
(5) 살균ㆍ소독제의 종류와 특징 = 135
(6) 살균ㆍ소독 방법 = 139
7.2.3 제조환경 청정화 프로그램 = 142
8. 화장품의 방부 = 142
8.1 화장품의 방부제 필요성 = 144
8.2 화장품에 사용되는 방부제 = 145
8.2.1 이상적인 방부제 = 147
8.2.2 방부제의 분류 = 149
(1) 파라옥시 안식향산에스텔 = 149
(2) 알코올류 = 150
(3) 유기산과 염들 = 151
(4) 이소치아졸 화합물 = 152
(5) 기타 = 153
8.2.3 방부제의 상승효과 = 158
8.2.4 손상된 미생물에 대한 방부제 효과 = 159
8.2.5 방부제의 안전성 = 159
8.3 화장품의 방부시스템 = 160
8.3.1 방부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61
(1) 물리적 요인 = 162
(2) 원료 = 163
8.3.2 방부시스템 결정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 = 167
(1) 물리적 형태 = 167
(2) 포장 = 167
(3) 사용원료 = 169
(4) 부재료 = 169
(5) 제조환경 = 169
제3편 화장품 미생물 시험법
9. 화장품에 대한 미생물 시험법 = 171
9.1 미생물 오염도 시험 = 171
9.1.1 총 호기성 생균수 시험법(APC) = 173
(1) 검체 전처리 = 173
(2) 조작 = 175
(3) 결과 = 176
9.1.2 특정세균 시험법 = 176
(1) 대장균 = 177
(2) 녹농균 = 179
(3) 황색 포도상구균 = 181
9.1.3 시험법의 신뢰도 = 182
9.2 방부력 시험(PET) = 182
9.2.1 방부력 시험의 필요성 = 183
9.2.2 방부력 시험법 종류 = 184
9.2.3 시험법의 신뢰도 = 185
9.2.4 시험 제품의 유형 = 185
9.2.5 방부력 시험에 사용되는 시험 균주 = 186
9.2.6 허용 기준 = 187
(1) USP 25 = 188
(2) CTFA Microbiology Guidelines = 188
(3) Linear regression method = 188
10. 화장품 미생물 신속 측정법 = 189
10.1 임피던스법에 의한 미생물 검출 = 190
(1) 원리 = 190
(2) 응용 = 191
10.2 이산화탄소 측정에 의한 미생물 검출 = 192
(1) 원리 = 193
(2) 응용 = 193
10.3 ATP bioluminicence법 = 194
(1) 원리 = 194
(2) 응용 = 195
10.4 형광염색법 = 195
(1) 원리 = 196
(2) PCR법의 특징 = 196
(3) 응용 = 196
별첨 1. 방부제의 미생물에 대한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 197
별첨 2. 국내 화장품에 배합한도가 지정되어 있는 원료(식약청 고시 제2003-23호) = 206
별첨 3. 국내 의약품용 보존제 및 그 사용범위(제9주 제5항 제4호 관련) = 210
별첨 4. 일본 화장품 기준 중 방부제의 배합 한도 = 213
별첨 5. 화장품 미생물 허용 기준 및 시험법(국내 미생물 TFT안) = 218
별첨 6. CTFA Technical Guideliness - Microbiology Guidelines = 236
〈1〉Raw material microbial content = 237
〈2〉Microbiological limits for cosmetics and toiletries = 241
〈3〉Determination of preservative adequacy in cosmetic formulations = 245
〈4〉Preservation testing of eye area cosmetics = 248
〈5〉Determination of the microbial content of cosmetic products = 252
〈6〉Eramination for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and Pseudomonas aeruginosa = 256
〈7〉Determination of preservation adequacy of water-miscible cosmetic and toiletry formulations = 262
별첨 7. USP 26 Microbiological Tests = 270
〈51〉Antimicrobial effectiveness testing = 271
〈61〉Microbial Limit tests = 273
별첨 8. European pharmacopoeia = 279
2.6.12.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non-sterile products(total viable aerobic count) = 280
2.6.13.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non-sterile products(test for specifiedmicro-organisms) = 28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