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울문화예술총서 발간에 부쳐 = 7
들어가는 말 = 9
[1부] 근대 서울의 밤문화
구한말~1930년대
한국적 향락의 메인 스테이지 '기생문화' = 17
요릿집 1호 명월관, 한국 밤문화의 새 페이지를 열다 = 37
1930년대
경성의 밤에 싹튼 카페문화, 그리고 모던 바람 = 47
1945년 광복 그 후
밤늦게는 아무것도 할 ...
목차 전체
서울문화예술총서 발간에 부쳐 = 7
들어가는 말 = 9
[1부] 근대 서울의 밤문화
구한말~1930년대
한국적 향락의 메인 스테이지 '기생문화' = 17
요릿집 1호 명월관, 한국 밤문화의 새 페이지를 열다 = 37
1930년대
경성의 밤에 싹튼 카페문화, 그리고 모던 바람 = 47
1945년 광복 그 후
밤늦게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37년의 세월_ '야간통금 이전과 이후' = 58
1960년대
경제 개발 붐을 타고 새롭게 변모한 서울의 밤 = 72
[인터뷰] '삐어홀 오비스캐빈'의 고왔던 그 아가씨_ 임영웅 = 76
1960~70년대
'카바레와 고고클럽'의 휘황찬란한 밤 = 80
[인터뷰] 선술집에서 카바레까지 휘젓고 다녔던 나의 20대_ 정일성 = 96
1970년대
'삼류극장'그리고 추억의 '동네 공용 TV' = 100
[인터뷰] 1960~70년대 사창가의 체험적 회고담_ 70대 어느 예술가의 고백 = 131
1부를 마치며 = 134
[2부] 현대 서울의 밤문화
서울 밤의 근경과 원경
서울 밤의 근경(近景) = 139
서울 밤의 원경(遠景) = 144
밀실과 광장
밝디 밝은 서울의 밤거리 = 154
서울 밤의 밀실들 = 166
서울 밤의 술문화 = 182
'문화지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 190
[인터뷰] "1년에 365번쯤 술을 마십니다"_ 오달수 = 220
[인터뷰] "크리스마스에 쉬어본 적이 없어요"_ 김주원 = 222
광장의 밤문화
'예술과 교양이 있는 서울의 밤'으로 = 224
천변 풍경
청계천의 연인들 혹은 시민들 = 234
2부를 마치며 = 250
찾아보기 = 254
사진출처 = 25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