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좋은 소리의 정의 = 11
1. 청감의 중요성 = 12
2. 음질 평가 기준 = 13
2.1 팝 음악의 음질 = 14
2.2 클래식 음악의 음질 = 16
3. 물리량과 청감 = 18
4. 음질 체크 방법 = 19
5. 음질 평가 기준의 다양성 = 20
6. 청능 훈련 = 22
7. 청각의 피로 = 24
제2장 음원의 레벨과 ...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좋은 소리의 정의 = 11
1. 청감의 중요성 = 12
2. 음질 평가 기준 = 13
2.1 팝 음악의 음질 = 14
2.2 클래식 음악의 음질 = 16
3. 물리량과 청감 = 18
4. 음질 체크 방법 = 19
5. 음질 평가 기준의 다양성 = 20
6. 청능 훈련 = 22
7. 청각의 피로 = 24
제2장 음원의 레벨과 스펙트럼 = 25
1. 레벨 = 25
1.1 다이나믹 레인지 = 25
1.2 엔벨롭 = 29
2. 스펙트럼 = 31
2.1 스펙트럼 = 31
2.2 보컬과 음악의 주파수 대역 특징 = 36
2.3 음색 조정 = 38
2.4 주파수 대역 = 40
제3장 음향 특성 파라메터 = 41
1. 왜곡 = 42
1.1 고조파 왜곡 = 42
1.2 콤필터 왜곡 = 44
2. 신호 대 잡음 비 = 48
3. 다이나믹 레인지 = 49
4. 주파수 특성 = 52
5. 과도 특성 = 54
제4장 소리의 지각 = 55
1. 음의 크기 = 56
2. 음의 높이 = 57
3. 음색 = 57
4. 마스킹 = 60
5. 음상 = 63
제5장 마이킹 = 65
1. 마이크의 사용법 = 66
1.1 마이크의 종류 = 66
1.2 마이크의 지향성 = 70
1.3 마이크의 사용 거리 = 70
2. 마이킹 = 72
2.1 보컬 = 73
2.2 타악기 = 76
2.3 기타 = 82
2.4 현악기 = 83
2.5 관악기 = 85
3. 합창 음악의 픽업 = 87
4. 클래식 음악의 마이킹 = 88
제6장 음색 보정 = 91
1. 이퀄라이저의 종류 = 92
1.1 쉘빙 이퀄라이저 = 93
1.2 피킹 이퀄라이저 = 93
1.3 그래픽 이퀄라이저 = 94
1.4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 96
1.5 필터 = 97
2. 대역별 음색의 특징 = 98
3. 음색 보정 방법 = 103
4. 그래픽 이퀄라이저의 활용 = 108
4.1 음장 보정 = 108
4.2 이퀄라이저 사용시 주의사항 = 109
5. 익사이터 = 112
제7장 다이나믹스 처리 = 113
1. 컴프레서 = 114
1.1 원리 = 114
1.2 활용 = 118
2. 리미터 = 126
3. 익스팬더 = 128
4. 노이즈 게이터 = 129
4.1 원리 = 129
4.2 활용 = 132
제8장 지연 및 잔향 처리 = 135
1. 지연기 = 136
2. 플렌저 = 141
3. 코러스 = 143
4. 피치 쉬프터 = 144
5. 잔향기 = 144
5.1 기능 = 146
5.2 잔향음의 부가 = 149
제9장 믹싱 처리 = 151
1. 악기 음간의 마스킹 = 152
2. 악기 음간의 마스킹을 피하는 기법 = 154
3. 킥 드럼과 베이스의 믹싱 = 157
4. 보컬과 오케스트라 믹싱 = 159
5. 여러 악기의 믹싱 = 160
6. 칵테일 파티 효과 = 161
7. 음상 정위 = 161
8. 효과기의 연결 순서 = 163
9. 마스터링 = 164
제10장 모니터 = 165
1. 모니터 스피커 = 166
1.1 요구 음색 = 166
1.2 요구 성능 = 167
2. 스피커 설치와 전송 주파수 특성 = 171
3. 모니터 룸의 음향 = 173
부록 Ⅰ ; 용어 해설 = 177
부록 Ⅱ ; 종합 문제집 = 189
참고 문헌 = 217
색인 = 222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