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Ⅰ. 시험과 민주적 제 제도 = 13
1. 시험만능주의 - 점수만능주의의 연원과 결과 = 15
2. 시험점수의 본질 및 학습평가의 기능과 교육제도 = 19
3. 교육의 형평과 학생의 학습성취 = 37
Ⅱ. 교육과정 개혁과 새로운 학습평가 = 49
1. 학교교육과정 개혁의 세계적 동향 = 50
2. 평가의 새로운 양상: 수행평가 = 65
3....
목차 전체
목차
Ⅰ. 시험과 민주적 제 제도 = 13
1. 시험만능주의 - 점수만능주의의 연원과 결과 = 15
2. 시험점수의 본질 및 학습평가의 기능과 교육제도 = 19
3. 교육의 형평과 학생의 학습성취 = 37
Ⅱ. 교육과정 개혁과 새로운 학습평가 = 49
1. 학교교육과정 개혁의 세계적 동향 = 50
2. 평가의 새로운 양상: 수행평가 = 65
3. 수행평가와 교수-학습과정 = 76
4. 한국의 교육개혁과 수행평가 = 80
Ⅲ. 학습성취의 다양성과 이질성 = 101
1. OECD 국제학생성취도 평가(PISA)와 한국의 학생성적 = 102
2. PISA 성적과 학교성적의 이질성 = 116
Ⅳ. 학교수행평가와 교육의 형평 = 133
1. 문제 제기 = 135
2. 우리나라의 수행평가와 교육의 형평 = 144
3. 학습성취와 부모의 영향 = 148
4. 수행평가와 지역의 영향 = 154
5. 대규모수행평가와 교육의 형평 = 157
Ⅴ.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의 실체 = 161
1. 자기주도성 및 유사 개념들 = 161
2. 자기주도성과 학습자의 사회경제적 배경 = 164
3. 자기주도성 등과 평가점수와의 관계 = 165
4.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의 검증 = 168
5. 현실적 자기주도성 = 176
Ⅵ. 종합: 학생의 성취도와 교육에서의 진보와 보수 = 179
1. 학교수행평가와 교육 형평의 문제 요약 = 179
2. 수행평가와 교육과정개혁의 문제 = 185
3. 민주주의와 학생성적, 대학입시, 그리고 공교육정상화 = 188
4. 학생생활기록부: 학생정보의 수집 공개와 학생ㆍ학부모의 권리 = 196
5. 진보-보수의 갈등과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 203
참고 문헌 = 209
부록 1. 연구조사방법 = 215
부록 2 = 22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