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Part1.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란?
Chap 1. 디지털 방송
1.1 디지털 방송 개요 = 2
1.2 디지털 TV 방송 = 7
1.3 디지털 라디오 방송 = 10
1.4 디지털 위성 방송 = 26
1.5 디지털 데이터 방송 = 29
Chap 2. DMB 개요 및 기술 동향
2.1...
목차 전체
목차
Part1.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란?
Chap 1. 디지털 방송
1.1 디지털 방송 개요 = 2
1.2 디지털 TV 방송 = 7
1.3 디지털 라디오 방송 = 10
1.4 디지털 위성 방송 = 26
1.5 디지털 데이터 방송 = 29
Chap 2. DMB 개요 및 기술 동향
2.1 DMB란? = 38
2.2 DMB 종류 = 40
2.3 DMB 추진 동향 = 41
2.4 우리나라의 DMB에 대한 정책 동향 = 45
2.5 DMB 기술 개요 = 48
2.6 기대 효과 = 61
Part2. DMB 부호화 기술
Chap 3. 오디오 코딩(Audio Coding) 기술
3.1 오디오 인코딩(Audio Coding) = 66
3.2 오디오 비트 스트림의 시멘틱 = 80
3.3 오디오 비트 스트림 신택스(Audio Bit Stream Syntax) = 93
3.4 PAD(Programme Associated Data) = 100
Chap 4. 비디오 코딩 기술
4.1 DMB 비디오 기술 = 120
4.2 국내 DMB 비디오 서비스 요구 사항 = 123
4.3 비디오 서비스 규격 = 125
4.4 오디오 객체와 비디오 객체만을 사용하는 경우의 IOD/OD/BIFS 예 = 147
Chap 5. 컨볼루션 코딩
5.1 컨볼루션 코딩 개요 = 164
5.2 컨볼루션 코딩 원리 = 167
5.3 FIC(Fast Information Channel,고속 정보채널)에서의 코딩 = 170
5.4 주 서비스 채널에서의 코딩 = 171
Part3. 데이터 구조 및 전송관련 기술
Chap 6. 다중화 구성 정보
6.1 소개 = 188
6.2 부 채널의 구조 = 190
6.3 서비스 구조 = 194
6.4 앙상블 정보 = 204
6.5 다중화 재구성(Multiplex Re-configuration) = 206
Chap 7. 전송 메커니즘
7.1 소개 = 208
7.2 고속 정보 채널(FIC,Fast Intormaton Channel) = 210
7.3 주 서비스 채널(MSC) = 218
7.4 보조 정보 채널에 포함된 서비스 정보 전송 = 226
Chap 8. 데이터 구조
8.1 시스템 정보(SI,System Information) = 228
8.2 FIDC(고속 정보 데이터 채널) = 283
Chap 9.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9.1 스크램블 오디오와 데이터 = 291
9.2 CA 시그널링 및 동기 데이터 = 301
9.3 ECM 및 EMM 전송 = 308
Chap 10. 기타 전송 관련 기술
10.1 에너지 분산(Energy Dispersal) = 316
10.2 시간 인터리빙(Time Interleaving) = 318
10.3 CIF(Common Interleaved Frame) = 325
10.4 RF 특성 = 326
Part4. 지상파 DMB
Chap 11. 지상파 DMB 시스템
11.1 지상파 DMB 시스템 개요 = 334
11.2 지상파 DMB 시스템 기술 = 363
Chap 12. 지상파 DMB 전송 기술
12.1 지상파 DMB의 전송 기술 = 382
12.2 DMB 전송 원리 = 387
12.3 주 신호(Main Signal) 구성 = 388
12.4 동기 채널(Synchronization Channel) = 392
12.5 블록 분할과 OFDM 심벌에 대한 블록의 연관성 = 395
12.6 QPSK 심벌 Mapper = 403
12.7 주파수 인터리빙(Frequency Interleaving) = 403
12.8 차분 변조(Differential Modulation) = 411
12.9 송신기 식별 정보(TII) 신호 = 411
Part5. 위성 DMB(Satellite-DMB)
Chap 13. 위성 DMB 시스템
13.1 개요 = 418
13.2 위성 DMB 기술 규격 = 419
13.3 시스템 구성 = 427
Chap 14. 위성 DMB 전송 기술
14.1 전송로 부호화 방식 = 440
14.2 베이스밴드 다중화 방식 = 472
14.3 한정 수신 방식 = 477
14.4 Gap-Filler = 488
Chap 15. 위성 DMB 단말기 기술
15.1 단말기 구조 및 요구사항 = 502
15.2 단말기 종류 = 505
15.3 단말기 시장 전망 및 핵심 부품의 국산화 실태 = 519
Part5. DMB 서비스
Chap 16. 지상파 DMB의 데이터 서비스 기술
16.1 지상파 DMB의 데이터 서비스 기술 = 524
16.2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 528
16.3 콘텐츠(Contents)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Application Service) = 546
16.4 데이터 방송 = 557
Chap 17. 위성 DMB 서비스
17.1 위성 DMB 서비스 개요 = 570
17.2 시스템 요구사항 = 576
17.3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 = 577
17.4 무선 인터넷 연동 서비스 기능 = 598
17.5 EPG(Electronic Program Guide) = 601
17.6 음악(Music) 관련 서비스 = 603
17.7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서비스 기능 = 604
17.8 IPPV(Impulse Pay Per View) 서비스를 위한 규격 = 612
17.9 시장전망 및 파급 효과 = 622
부록 : 용어해설 및 색인
용어해설 = 2
색인 = 20
참고문헌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