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권]
머리말 - 도를 논하며 천하를 경영하다 = 4
용을 낚은 위수의 현자 - 강태공
폭군 주왕과 서백 희창 = 16
곧은 낚시를 드리우고 용을 기다리다 = 23
사람이 천명을 만든다 = 30
천도에 부합하는 유학의 비조(鼻祖) = 38
◆ 재상의 기원 = 43
창고가 풍족해야 예절을 안다 - 관중
춘추 쟁패의 시대가 열리다...
목차 전체
[제1권]
머리말 - 도를 논하며 천하를 경영하다 = 4
용을 낚은 위수의 현자 - 강태공
폭군 주왕과 서백 희창 = 16
곧은 낚시를 드리우고 용을 기다리다 = 23
사람이 천명을 만든다 = 30
천도에 부합하는 유학의 비조(鼻祖) = 38
◆ 재상의 기원 = 43
창고가 풍족해야 예절을 안다 - 관중
춘추 쟁패의 시대가 열리다 = 46
주군을 따라 갈라진 두 친구 = 49
일발필살의 실수 = 53
패자의 길 = 59
재상의 눈물 = 65
중국은 『관자』가 움직인다 = 68
◆ 재상의 정의(定義) - 요리사와 돕는 자 = 73
동방의 주나라를 꿈꾼 큰 선비 - 공자
제사놀이를 즐기는 아이 = 76
동방의 주나라를 꿈꾸며 = 80
임시 재상의 활약과 고뇌 = 85
천하 유세 = 92
『춘추』로 나를 심판하라 = 100
◆ 재상의 명칭 = 107
와신상담 복수전의 두 책사 - 오자서, 범려
오자서의 남행 = 110
해는 저물고 갈 길은 멀다 = 113
쓰라린 와신의 세월 = 117
기나긴 상담의 세월 = 121
토사구팽에서 살아남는 법 = 132
◆ 도의 체득자들 - 재상의 자질 ① = 135
법치 천하의 비조 - 공손앙
중용이 아니면 죽음을 = 138
신법 천하 = 143
자신의 법이 족쇄가 되어 = 148
◆ 조화를 일구는 지휘자 - 재상의 자질 ② = 153
세치 혀로 천하를 경영하다 - 소진
고향에서는 인물을 몰라준다 = 156
천하 경영에 나서다 = 160
술책가의 종말 = 168
◆ 음양을 조화롭게 다스린다 - 재상의 책무 ① = 175
쓸모없는 사람은 없다 - 맹상군
단옷날 태어난 아이 = 180
토우의 충고와 계명구도 = 184
장검의 노래 = 189
지혜로운 토끼는 세 개의 굴을 만든다 = 195
◆ 제왕을 가르친다 - 재상의 책무 ② = 202
겸손이 권력보다 낫다 - 범휴
세뇨(洗尿)의 치욕 = 206
이 나라에 왕이 어디 있단 말이냐 = 211
복수는 철저하게 보은은 후덕하게 = 217
이제는 물러나야 할 때 = 222
◆ 인재를 추천한다 - 재상의 책무③ = 229
이기지는 못해도 지킬 수는 있다 - 인상여
완벽한 사신 = 232
장군 멍군 = 238
가시나무 회초리 = 241
추락하는 용 = 244
◆ 백관을 통솔하는 사직지신(社稷之臣) - 재상의 책무④ = 249
천하를 추수하는 씨를 뿌리다 - 여불위
한단의 기화 = 252
『여씨춘추』 = 260
물을 떠난 큰 물고기 = 269
◆ 백성을 따르게 하여 나라를 안정시킨다 - 재상의 책무 ⑤ = 273
풍족한 곳간의 생쥐 - 이사
맹수와 생쥐 = 276
천하 통일 = 283
분서갱유 = 290
사구의 야합 = 297
조고의 시대 = 303
◆ 나아갈 때보다 물러날 때를 잘 헤아려야 한다 - 재상의 길 ① = 312
장막에서 천리 밖의 승리를 결정짓다 - 장량
박랑사의 일격과 하비의 노인 = 316
항우와 유방 = 320
홍문의 회합 = 329
초한쟁패(楚漢爭覇) = 336
우미인이여 우미인이여! = 343
적송자를 따라 노닐고자 = 350
◆ 무치(無治)의 치(治) - 재상의 길 ② = 355
천하를 유자의 나라로 만들다 - 동중서
여태후에서 무제까지 = 360
썩은 나무로는 조각을 할 수 없다 = 366
누가 도를 밝히 알리오 = 376
◆ 권력과 결탁하지 않는다 - 재상의 길 ③ = 385
머리가 깨진 황룡 - 왕망
용꿈을 꾸는 위선 군자 = 388
금덕이 쇠하고 토덕이 일어선다 = 393
모래 위에 세운 꿈의 나라 = 397
◆ 청렴이 가장 큰 명예다 - 재상의 길 ④ = 405
하늘도 시기한 불후의 명재상 - 제갈량
되풀이되는 난세 = 408
와룡(臥龍), 몸을 일으키다 = 412
동남풍아 불어라! = 419
세 개의 태양 = 427
출사표, 읍참마속 = 432
오장원에 별이 지다 = 437
◆ 스승에서 신하로 - 재상의 변천 = 444
[제2권]
머리말 ― 재상의 눈으로 역사를 一貫하며 = 4
99세의 혁명가 ― 명림답부
호랑이 꼬리를 문 표범 = 20
독단과 반정 = 25
청야작전과 좌원대첩 = 33
◆ 최초의 재상 = 40
신시이화의 정교를 되살리다 ― 을파소
좌가려의 난을 평정하다 = 44
서압록곡의 은자隱者 = 47
참 인간이 되는 법 = 55
◆ 고구려의 재상 = 62
신라 중흥의 기반을 닦다 ― 거칠부
마음을 씻어라 = 66
파약破約의 결단 = 70
◆ 신라의 재상 = 77
백제의 마지막 등불 ― 성충
대야성을 공략하라 = 80
한 자리에 모인 세 호걸 = 86
충신 형제를 죽여라 = 90
제국의 몰락 = 97
◆ 백제의 재상 = 102
천세무비千世無比의 풍운아 ― 연개소문
갓쉰둥이 이야기 = 106
대반정大反政 = 115
꺼지지 않는 안시성의 횃불 = 124
개소문 비상인 = 132
◆ 충신은 죽어서도 말한다 - 재상 유사① = 139
40년의 침묵, 5년의 개화 ― 최승로
관음보살이 지킨 아이 = 142
송악으로 가다 = 148
유국儒國의 청사진 시무28조 = 154
◆ 고려의 재상 = 162
지상에 하강한 문곡성 ― 강감찬
땅으로 내려온 별 = 166
강조의 정변과 거란의 침공 = 170
구주 들판의 비바람 = 177
◆ 중서문하성 = 184
배짱과 패기의 독불 재상 ― 김부식
조선국공 이자겸과 대결하다 = 188
개경파와 서경파의 대립 = 195
조선 역사 제1대 사건, 묘청의 난 = 200
『삼국사기』, 그리고 달팽이의 노래 = 207
◆ 중추원 = 217
칼을 든 공작새 ― 최충헌
태평성대의 말로 = 220
난새의 비상 = 226
은문상국 진강후 = 230
◆ 도병마사와 도평의사사 = 238
홀로 원나라와 싸운 민족의 자존심 ― 이제현
스승 복이 많은 선비 = 240
닭 울음과 버드나무 = 245
몸뚱이보다 간이 더 큰 사람 .. 249
◆ 전쟁에는 져도 외교에는 이긴다 - 재상 유사② = 282
대나무로 피어난 일편단심 ― 정몽주
난초, 황룡, 그리고 주공 = 286
효와 의와 학풍을 세우다 = 262
침몰하는 배의 조타수 = 266
넋이라도 있고 없고 = 272
◆ 하륜의 지감 - 재상 유사③ = 282
재상의 나라를 꿈꾼 해동 장량 ― 정도전
노송에 새긴 맹세 = 286
삼봉의 그리는 재상의 나라 = 292
무인정사 = 299
승리한 패배자 = 305
◆ 조선의 재상 = 310
태평성대를 꽃피운 조선의 용광로 ― 황희
두문동 골짜기의 맹세 = 314
꺾일 수는 있어도 굽히지는 않는다 = 319
세종 같은 임금에 황희 같은 정승 = 323
옳다 옳다 모두 다 옳다 = 328
◆ 의정부議政府 = 336
선비는 변명하지 않는다 ― 신숙주
통역이 필요없는 언어의 귀재 .. 340
계유정난과 변절의 세월 = 345
생사의 갈림길 = 351
선비는 변명하지 않는다 = 357
◆ 이준경의 선견 - 재상유사④ = 364
하늘이 준비한 재상 ― 유성룡
대란의 징조 = 368
국수와 치숙痴叔 = 372
두 개의 포석 = 377
7년 대란과 더불어 = 383
백락의 눈을 가진 사람 = 396
◆ 이항복의 해학 - 재상 유사⑤ = 401
길은 달라도 마음은 하나 ― 최명길
인조 반정과 서인의 득세 = 406
남한산성의 겨울 = 411
돌 같은 마음, 고리 같은 마음 = 421
◆ 심희수의 사랑 - 재상 유사⑥ = 430
꽃 진 자리에 다시 피는 꽃 ― 채제공
눈 내린 산의 호랑이 = 434
험난한 탕평의 세월 = 438
다시 피는 꽃, 화부화花復花 = 446
◆ 상징의 도량 - 재상 유사⑦ = 452
황혼녘의 마지막 영의정 ― 김홍집
폭풍과 해일의 세월 = 456
갑신정변과 동학농민항쟁 = 464
나는 조선의 총리 대신이다 = 468
◆ 오늘날의 재상 = 47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