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ⅴ
서론 = ⅶ
제1편 광동지역의 언어
제1장 광동지역 방언의 형성과 발전
Ⅰ. 월방언의 형성과 발전 = 4
Ⅱ. 潮汕방언의 형성과 발전 = 9
Ⅲ. 客家방언의 형성과 발전 = 13
제2장 광동지역 방언의 문법 특징
Ⅰ. 월 방언의 문법 특징 = 19
Ⅱ. 조산 방언의 문법 특징 = 27
Ⅲ. 객가 방언의 문법 특징 = 32
제3장 중국 표...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ⅴ
서론 = ⅶ
제1편 광동지역의 언어
제1장 광동지역 방언의 형성과 발전
Ⅰ. 월방언의 형성과 발전 = 4
Ⅱ. 潮汕방언의 형성과 발전 = 9
Ⅲ. 客家방언의 형성과 발전 = 13
제2장 광동지역 방언의 문법 특징
Ⅰ. 월 방언의 문법 특징 = 19
Ⅱ. 조산 방언의 문법 특징 = 27
Ⅲ. 객가 방언의 문법 특징 = 32
제3장 중국 표준어에 수용된 월방언 어휘
Ⅰ. 중국의 사회 변화와 월방언 어휘의 수용 = 35
Ⅱ. 구어 어휘에서 문화 부호로의 전환 = 44
제2편 광동지역의 문화
제4장 嶺南문학의 형성과 발전
Ⅰ. 영남문학의 형성 = 54
Ⅱ. 영남문학의 특징 = 56
Ⅲ. 영남문학의 전망 = 58
제5장 광동희곡
Ⅰ. 월劇의 형성과 공연 형식 = 63
Ⅱ. 潮劇의 형성과 공연 형식 = 71
Ⅲ. 廣東漢劇의 형성과 공연 형식 = 77
제6장 中國畵革新論을 통해 본 광동미술의 특징
Ⅰ.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기(1840-1949년)의 미술운동 = 82
Ⅱ. 광동의 현대중국화운동 = 85
제7장 광동지역의 전통 민속
Ⅰ. 전통 명절과 풍속 = 94
Ⅱ. 민간 誕會 = 108
제8장 광동지역의 전통 민가
Ⅰ. 광주의 전통 민가 = 115
Ⅱ. 조산의 전통 민가 = 120
Ⅲ. 객가의 전통 민가 = 123
제9장 광동지역의 음식 문화
Ⅰ. 광동요리의 형성과 발전 = 129
Ⅱ. 광주의 음식 문화 = 132
Ⅲ. 조주의 음식 문화 = 138
Ⅳ. 객가의 음식 문화 = 142
제3편 광동지역의 사회
제10장 광동지역의 사회변천과정
Ⅰ. 고대 광동지역의 사회경제적 인식 = 147
Ⅱ. 춘추전국시대 이후 광동지역의 사회 발전 = 151
Ⅲ. 광동과 중원간의 통상과 산업사회의 발전 = 155
제11장 광동지역의 정치 환경과 변화
Ⅰ. 고대 백월 시기의 정치력 = 162
Ⅱ. 정치공백에 대한 중원 세력의 대응 = 164
Ⅲ. 광동지역과 중원의 결속 = 169
제12장 광동지역의 산업경제
Ⅰ. 청동시기 광동지역 산업경제의 발전 = 177
Ⅱ. 봉건경제제 진입과 산업 규모의 확대 = 181
Ⅲ. 중원화 이후 광동지역 산업경제의 발전 = 185
제13장 광동지역과 초기 중국혁명
Ⅰ. 18세기 이후 중국의 정세 변화 = 193
Ⅱ. 광동과 중국혁명 = 197
Ⅲ. 혁명의지와 여론의 변화 = 201
Ⅳ. 미완의 혁명과 계속된 혁명 = 204
참고문헌 = 211
후기 = 21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