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추천사 = 3
저자의 말 = 5
감사의 말 = 8
프롤로그 = 15
1장 데이터의 정의 : 본질에 충실하라 = 22
2장 데이터 2.0 : 데이터의 개념을 확장하라 = 26
01 새로운 데이터가 새로운 서비스를 만든다 = 27
02 데이터 1.0: 종류를 늘리면 서비스는 팽창한다 = 29
03 데이터 2.0: 개념을 확장하면 서비스는 진화한다 =...
목차 전체
목차
추천사 = 3
저자의 말 = 5
감사의 말 = 8
프롤로그 = 15
1장 데이터의 정의 : 본질에 충실하라 = 22
2장 데이터 2.0 : 데이터의 개념을 확장하라 = 26
01 새로운 데이터가 새로운 서비스를 만든다 = 27
02 데이터 1.0: 종류를 늘리면 서비스는 팽창한다 = 29
03 데이터 2.0: 개념을 확장하면 서비스는 진화한다 = 31
성공한 대표적인 웹 2.0 서비스-이들은 무엇을 찾았는가? = 31
〈box〉 플랫폼으로서의 웹: 데이터를 배포하고, 처리하는 방법의 확장 = 35
04 좋은 데이터가 좋은 서비스를 만든다 = 37
3장 데이터 생산 : 만들어야 할 이유를 제공하라 = 42
01 사용자의 1차 컨텐츠 생산: 개인 미디어 혁명과 UCC = 43
02 사용자의 메타데이터 생산: 태깅 = 45
03 사용자의 관계데이터 생산: 공유에서 네트워크의 집합적 가치까지 = 46
〈box〉 데이터 구축 전략: 공급자 vs 컴퓨터 vs 사용자 = 48
04 사용자의 참여동기: 커뮤니케이션과 교류, 리워드 = 51
1) 나에게 필요한 일을 한다 = 51
2) 나를 드러내고, 다른 사람들과 교류한다 = 52
〈box〉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는 다양한 메타 서비스들의 출현 = 56
3) 독립된 UCC 커뮤니티 섹션에 참여한다 = 57
4) 여러 사람들과 함께 공동의 작업물을 만든다 = 58
5) 재미를 느낀다 = 59
6) 보상을 받는다 = 62
05 크라우드소싱: 사용자의 남는 힘을 모아 경제적 가치로 전환한다 = 65
크라우드소싱의 등장-프로튜어와 대중의 활용 = 65
UCC에서 크라우드소싱으로 = 71
4장 접점 확장 : 언제 어디서나 쉽게 만들고 쓸 수 있게 하라 = 74
01 브라우저에서 외부 서비스까지: 생산의 접점을 확장한다 = 75
브라우저 익스텐션/툴바의 활용 = 75
북마크릿 = 78
우클릭 컨텍스트 메뉴 = 79
버튼 퍼뜨리기-제휴와 캠페인 = 79
임포트 : 기존의 데이터를 쉽게 가져올 수 있게 한다 = 83
디바이스의 확장 = 86
〈box〉 외부에 측적된 관계데이터를 활용한다 = 88
02 대량 생산, 대량 관리: 한꺼번에 많이 만들고 관리하게 한다 = 90
03 배포와 구독: 가능한 한 많은 방법으로 공유하게 한다 = 93
04 컨텐츠 스니펫: 데이터 조각으로 유입의 접점을 확장한다 = 95
〈box〉 롱테일: 불가능한 요구를 만족시켜라 = 99
5장 구조화된 데이터 : UCC에 의미와 구조를 부여하라 = 104
01 똑똑한 데이터가 서비스의 IQ를 높인다 = 105
02 XML: 데이터의 구조를 정의하는 방법 = 107
03 처음부터 구조화된 형태로 생산한다 = 111
04 HTML에 구조와 의미를 더한다 = 116
〈box〉 포맷을 통한 자유로운 데이터 소통 = 121
05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의미를 추가한다 = 123
〈box〉 구조화되지 않는 데이터에서 컨텍스트를 추출한다 = 125
〈box〉 메타데이터를 활용해 데이터의 표현도 똑똑하게! = 126
6장 마이크로컨텐츠 : 작게 쪼개어 조립할 수 있게 하라 = 132
01 숨겨져 있는 새로운 데이터를 발굴한다 = 133
02 원소스 멀티유즈: 브라우징에서 컨텐츠 믹스까지 = 140
03 조립과 가공: 재료를 가지고 부가가치를 창출하게 한다 = 144
〈box〉 직관적인 URL 시스템: 데이터의 아이덴티티를 분명히 밝힌다 = 148
04 기능의 마이크로화: 사용자가 조립하는 DIY 애플리케이션 = 150
7장 소셜화 : 관계를 맺고 공유하게 하라 = 156
01 하이어라키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다루는 새로운 방법 = 157
02 애플리케이션의 진화 과정: 퍼스널에서 소셜로 = 161
03 소셜화의 재료 확장: UCC에서 기성 데이터까지 = 164
1) API를 통해 제공되는 외부 데이터 = 164
2) 사용자가 수집한 데이터 = 165
3) 자체 데이터 = 167
〈box〉 레버리지: 서비스 간의 시너지 포인트를 찾아라 = 168
04 소셜 애플리케이션의 기본 프로세스: 관계, 공유, 발견 = 173
1) 관계맺기:제어할 수 있게 하라 = 173
2) 공유:관계에 데이터를 싣게 하라 = 177
3) 발견:끝없이 순환하는 내비게이션을 제공하라 = 180
〈box〉 공유에서 협업으로: 데스크탑의 소셜화 = 184
〈box〉 대표적인 웹 기반의 메시징 및 협업 시스템 = 185
05 레퓨테이션 시스템: 신뢰도를 표현하는 데이터를 도출한다 = 188
아이덴티티(Identity) = 188
데이터 중심의 아이덴티티 vs 소셜한 목적의 아이덴티티 = 192
〈box〉 개인 중심으로 아이덴티티를 관리하게 하는 아이덴티티 2.0 = 193
레퓨테이션 시스템 = 195
〈box〉 데이터 페이지의 개념 변화(1): 노드화 = 210
8장 어텐션 : 가장 중요한 데이터를 필터링하라 = 218
01 생산에서 필터링으로: 사용자들로 하여금 선별하게 하라 = 219
〈box〉 집단지성(collective intelligence)이란? = 223
02 어텐션: 흩어진 관심을 모아 이로운 지혜로 만든다 = 225
03 어텐션 활용의 두 가지 방향: 집단지성과 개인화 = 232
〈box〉 데이터의 필터링을 위한 컴퓨터와 사용자, 공급자의 협업시스템 구축 = 240
9장 태깅 : 사용자가 직접 분류하게 하라 = 244
〈box〉 정보 소비 방식의 변화: 디렉토리에서 필터링까지 = 245
01 태깅이란 무엇인가? = 251
1) 사용자의 다채로운 니드를 반영한 살아 있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 254
2) 다양한 관점으로 집합된 데이터 셋을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 255
3) 네트워크에서의 새로운 만남이 서비스의 가치를 더한다 = 256
4) 정보의 내용 파악뿐만 아니라 가치판단에 도움을 준다 = 259
5) 자발적인 참여의 매개로 활용된다 = 259
02 태깅의 서비스화: 어떤 경우에 어떻게 쓰이나? = 263
1) 공급자 생산 데이터 서비스에서의 활용 = 263
03 태깅의 확장: 기존의 시스템과 결합하고 응용한다 = 268
1) 검색 및 디렉토리와 결합한다 = 268
2) 태깅 주체를 응용해 보자 = 270
3) 태그를 광고에 응용해 본다 = 271
4) 데이터를 가공하여 오류를 줄일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 272
〈box〉 클러스터링: 컴퓨터가 정보 간의 숨겨진 관계를 드러낸다 = 275
10장 RSS : 규격에 맞추어 서비스 밖으로 유통시켜라 = 280
01 구독의 가치: 푸시에서 풀로 = 281
02 RSS란 무엇인가?: 데이터에 날개를 다는 신디케이션 표준 = 283
1) 컨텐츠의 출처인 채널 정보 = 284
2) 개별 아이템 정보 = 285
03 웹으로 온 RSS: 구독에서 리사이클링까지 컨텐츠 유통의 중심에 서다 = 288
1) 구독의 확장:개인의 데이터를 한 곳에 모은다 = 288
2) 데이터의 확장:데이터가 있는 곳에 RSS가 있다 = 293
3) 믹스&컨버팅:RSS를 재배포해 정보의 순환 구조를 만든다 = 298
4) 피드의 개인화와 소셜화:피드 필터링에서 어텐션 정보 제공까지 = 302
〈box〉 피드 매니지먼트: 피드 관리에는 어떤 니드가 있는가? = 313
04 멀티미디어를 위한 RSS, 파드캐스팅 = 314
1) RSS에 멀티미디어를 담게 하는 인클로저 = 314
2) 확장되고 있는 파드캐스팅 적용 분야 = 317
3) 비디오 블로깅/바드캐스팅(vodcasting) = 320
〈box〉 최종 소비되는 데이터 페이지가 가장 중요하다 = 322
11장 API : 기능을 오픈하여 애플리케이션의 롱테일을 확보하라 = 326
01 애플리케이션 2.0: 사용자가 직접 팔게 한다 = 327
02 서비스 기능을 오픈하는 API = 329
03 롱테일 킬러 애플리케이션 등장: 생산과 소비의 분산 = 332
04 새로운 가치의 모색: 왜 API를 제공하는가? = 338
〈box〉 API로 만들어진 애플리케이션에서 수익이 난다면? = 344
12장 매쉬업 : 서비스의 울타리를 넘어 가치를 믹스하라 = 348
01 각각의 단순 합 이상의 가치를 만드는 매쉬업 = 349
02 메타의 발견: 매트릭스 구조로 서비스를 진화시킨다 = 352
1) 자체 생산 데이터 = 353
2) 외부 데이터 = 353
3) UCC = 356
03 버티컬 서비스에서 외부 기능을 매쉬업 한다 = 359
〈box〉 데이터 페이지의 개념 변화(2): 매쉬업을 통한 컨텍스트 확장 = 363
13장 UI: 가장 중요한 것을 시각화 하라 = 368
01 메인페이지와 메뉴: 무엇을 줄 수 있는지 커뮤니케이션한다 = 369
02 내비게이션: 참여의 결과를 시각화 한다 = 372
03 아작스: 다이내믹한 UI 설계로 웹의 한계에 도전한다 = 377
에필로그 = 386
찾아보기 = 38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