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제2절 연구 내용 = 4
1. 고등교육단계 인적자원개발 정책 환경 변화 개관 = 4
2. 인적자원개발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문제 분석 = 5
3. 고등교육단계 인적자원개발 의의와 분야별 쟁점 논의 = 5
4. 고등교육개혁 외국 사례 분석 = 6
5. 지식기반사회 인적...
목차 전체
목차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제2절 연구 내용 = 4
1. 고등교육단계 인적자원개발 정책 환경 변화 개관 = 4
2. 인적자원개발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문제 분석 = 5
3. 고등교육단계 인적자원개발 의의와 분야별 쟁점 논의 = 5
4. 고등교육개혁 외국 사례 분석 = 6
5. 지식기반사회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고등교육 발전 방안 모색 = 6
제3절 연구 방법 = 7
1. 관련 문헌 및 통계 수집ㆍ분석 = 7
2. 고등교육 개혁 사례 연구 = 7
3. 전문가 협의회 구성ㆍ운영 = 7
제2장 고등교육단계 인적자원개발을 둘러싼 환경 변화
제1절 고등교육환경 변화 = 9
1. 고등교육의 양적 확대 = 9
2. 고등교육의 질적 변화 = 20
제2절 경제환경 변화 = 25
1. 경제성장 패러다임 = 25
2. 경제규모의 변화 및 전망 = 26
3. 경제구조의 변화 및 전망 = 31
제3절 사회환경 변화 = 32
1. 정보화와 지식기반사회 = 32
2. 인구성장과 인구구조의 변화 = 35
3. 세계화 = 43
제4절 노동환경 변화 = 48
1. 노동공급의 변화 및 전망 = 48
2. 고용구조의 변화 및 전망 = 51
3. 신규인력 수급차 변화 및 전망 = 55
제5절 정책적 시사 = 62
제3장 인적자원개발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문제
제1절 인적자원개발 관점의 우리나라 고등교육 문제 접근 모형 = 67
제2절 산출(production)의 효율성 문제 = 77
1. 정부의 대학 규제 = 77
2. 지배구조 = 83
3. 불일치(mismatch) = 85
제3절 산출물(products)의 질적 수월성 문제 = 86
1. 대량 교육 체제 = 87
2. 재원의 높은 가계부담 = 91
3. 국제 경쟁력 = 94
제4절 탈산업ㆍ지식기반 패러다임 전환의 문제 = 96
1. 인적자원개발이 미흡한 성인교육 = 97
2. 성인교육과 유리된 고등교육 = 99
3. e-learning과 투자 = 101
제4장 고등교육단계 인적자원개발의 의의와 분야별 쟁점
제1절 인적자원개발 관점에서 본 고등교육의 의의 = 105
1. 인적자원과 인적자원개발 = 105
2. 인적자원개발과 고등교육 = 107
3. 인적자원개발의 진지로서 고등교육 = 109
제2절 인재육성분야의 인적자원개발 = 113
1. 학부생 교육과 대학원 기능의 충돌 = 114
2. 고급 인력육성의 문제 = 116
3. 최종직업기관으로서의 고등교육 = 119
4. 정책적 시사 = 123
제3절 연구개발 분야의 고등교육 인적자원개발 = 125
1. 연구개발 분야의 성과와 과제 = 126
2. 연구개발 분야의 인적자원개발 문제 = 127
3. 산학협력 분야의 인적자원개발 문제 = 131
4. 정책적 시사 = 137
제4절 사회참여(봉사) 분야의 인적자원개발 논의 = 138
1. 사회참여(봉사)의 역사적 맥락과 현재 = 138
2. 지역사회의 요구와 고등교육 인적자원개발 = 140
3. 산업으로서 요구와 고등교육 인적자원개발 = 143
4. 정책적 시사 = 145
제5장 외국의 고등교육 개혁 방향
제1절 일본 = 149
1. 고등교육 개혁의 배경 = 149
2. 고등교육 개혁의 방향 = 150
3. 고등교육 개혁의 내용 = 154
제2절 미국 = 161
1. 고등교육 개혁의 배경 = 161
2. 개혁 변화의 방향과 내용 = 164
제3절 영국 = 170
1. '90년대 초반까지의 고등교육 개혁 동향 = 170
2. '90년대 이후 영국 고등교육 개혁의 방향 = 173
제4절 프랑스 = 177
1. 고등교육 개혁 배경 = 177
2. 고등교육 개혁 방향 = 179
3. 상보(subsidiarit<TEX>$$\acute e$$</TEX>) 관계의 3천년대 행정체계 수립 = 182
4. 고등교육 개혁 내용 - LMD(Licence-Master-Doctorat) 개혁 = 185
5. 국가연구체계에서의 대학과 공공연구기관간의 역할 재정립 논의 = 187
제5절 독일 = 188
1. 고등교육 개혁 배경 = 188
2. 독일 대학교육의 개혁 내용 = 190
제6절 핀란드 = 196
1. 고등교육의 개혁 배경 = 196
2. 고등교육 개혁 = 196
제7절 중국 = 199
1. 고등교육 개혁 배경 = 199
2. 고등교육의 개혁 = 200
제8절 유럽 연합(EU) = 204
1. Erasmus 계획 = 204
2. 볼로냐 선언 = 205
3. 대학 개혁 9대 방안 = 206
제9절 정책적 시사 = 207
제6장 지식기반사회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고등교육 발전 방안
제1절 지식기반사회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고등교육체제의 미래상 = 213
1. 고등교육체제의 미래상 구상 시 고려사항 = 213
2. 고등교육기관의 유형 = 218
3. 우리나라 고등교육체제의 미래상 = 223
제2절 기본방향 = 227
1. 고등교육기관 유형과 기능의 전문적 분화 = 227
2. 고등교육기관 학과/프로그램 개편 및 산학협력 강화 = 228
3. 고등교육기관 학사관리 방식 및 거버넌스 구조 개선 = 229
4. 고등교육의 지역화 추진 = 229
5. 고등교육의 국제화 추진 = 230
6. 고등교육의 질 평가ㆍ관리체제 구축ㆍ운영 = 230
7. 행ㆍ재정 지원체제의 정비 = 231
제3절 정책과제 = 231
1. 고등교육기관의 다양화ㆍ전문화 = 231
2. 고등교육기관 학과/프로그램 개편 및 산학협력 강화 = 234
3. 고등교육기관 학사 운영 방식 및 거버넌스(governance) 구조 개선 = 235
4. 지역혁신 주체로서의 대학의 역할 강화 = 236
5. 고등교육의 국제화 = 237
6. 고등교육의 질 평가ㆍ관리체제 구축ㆍ운영 = 239
7. 고등교육 단계 인적자원개발 행ㆍ재정 지원 강화 = 241
SUMMARY = 245
참고문헌 = 25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