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 차
책머리에 9
고분 구조로 본 발해 문화의 고구려 계승성 - 정영진
Ⅰ. 고구려 고분의 주요 특징과 변천 과정 18
1. 고구려 고분의 분포 18
2. 고구려 고분의 특징과 분류 22
3. 고구려 고분의 편년과 변천 과정 31
Ⅱ. 발해 고분의 주요 특징과 변천 과정 42
1. 발해 고분에 대한 연구 현황 42
2. 발해 고분의...
목차 전체
목 차
책머리에 9
고분 구조로 본 발해 문화의 고구려 계승성 - 정영진
Ⅰ. 고구려 고분의 주요 특징과 변천 과정 18
1. 고구려 고분의 분포 18
2. 고구려 고분의 특징과 분류 22
3. 고구려 고분의 편년과 변천 과정 31
Ⅱ. 발해 고분의 주요 특징과 변천 과정 42
1. 발해 고분에 대한 연구 현황 42
2. 발해 고분의 발견과 분포 57
3. 발해 고분의 유형 70
4. 발해 고분의 編年 97
5. 발해 고분의 주요 특징과 변천과정 107
Ⅲ. 말갈 고분의 주요 특징 113
1. 말갈 고분의 발견과 분포 113
2. 말갈 고분의 주요 특징 117
Ⅳ. 고분 구조로 본 발해 문화의 고구려 계승성 126
매장 풍습으로 본 발해 문화의 다원성 - 정영진, 이동휘
Ⅰ. 고구려의 매장 풍습 140
Ⅱ. 발해의 매장 풍습 144
Ⅲ. 말갈의 매장 풍습 160
1. 1979년에 발굴한 大海猛 고분군 160
2. 1980년에 발굴한 대해맹의 고분군 162
3. 老河深 고분군 168
Ⅳ. 매장 풍습으로 본 발해 문화의 다원성 169
고분 벽화로 본 발해 문화의 특수성 - 정영진
Ⅰ. 고구려의 벽화 고분 181
1. 고구려 벽화 고분의 발견과 연구 현황 181
2. 고구려 벽화의 주요 내용 193
Ⅱ. 발해의 벽화 고분 227
1. 발해 벽화의 발견과 연구 현황 227
2. 정효 공주 묘 벽화 231
3. 삼릉둔 2호 墳壁畵 234
4. 조선에서 발견된 고분 벽화 237
Ⅲ. 고분 벽화로 본 발해 문화의 특수성 239
출토 유물로 본 발해 문화의 복합성 - 정영진, 윤현철
- 토기를 중심으로 -
Ⅰ. 고구려 고분에서 출토한 유물 256
Ⅱ. 발해 고분에서 출토한 유물 273
Ⅲ. 속말말갈 고분에서 출토한 유물 295
Ⅳ. 출토 유물로 본 발해 문화의 복합성 308
맺음말 - 정영진 341
Abstract 346
색인 35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