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5
1부 한국 근대시사 기술의 경과와 방법
문학사와 한국 근대시사의 문제 설정
1. 머리말 = 15
2. 문학사 기술의 경과 - 역사주의와 시학 = 16
3. 한국 근대시사의 문제점 = 21
4. 문학사의 지평 = 30
한국 근대시사의 방법과 인식의 방법
1. 머리말 = 32
2. 근대시사의 방법 - 전통성과 반전...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5
1부 한국 근대시사 기술의 경과와 방법
문학사와 한국 근대시사의 문제 설정
1. 머리말 = 15
2. 문학사 기술의 경과 - 역사주의와 시학 = 16
3. 한국 근대시사의 문제점 = 21
4. 문학사의 지평 = 30
한국 근대시사의 방법과 인식의 방법
1. 머리말 = 32
2. 근대시사의 방법 - 전통성과 반전통성 = 34
3. 낭만성과 현실성 - 인식의 방법 = 36
4. 한국시의 문화적 전개 = 43
5. 한국시의 존재론 - 서정적인 것 = 46
근대시조의 시각과 재인식
1. 머리말 = 48
2. 시조성과 현대성 = 49
3. 근대시조의 전개 = 58
(1) 「혈죽가」의 시사적 의미 = 59
(2) 시조부흥운동과 신시조운동 = 63
(3) 현대시의 장르 - 시조의 서정성 = 67
4. 근대시조와 사설시조적 전통 = 69
(1) 장르의 다양성 = 69
(2) 스타일 분리에서 혼합으로 = 70
(3) 사설시조의 특성 = 74
(4) 자유시의 내적 배경 = 77
북한 시사, 그 시각과 문제점
1. 머리말 = 79
2. 문학사의 기술원리 = 80
3. 자기전개의 문학과 합법칙성 = 83
4. 19세기 후반~20세기 초의 시 = 89
5. 반영론과 장르의 개방성 = 95
2부 한국 근대시의 구조와 상상력
한국 근대시의 전사(前史) - 1910년대 시
1. 머리말 = 99
2. 1910년대 시의 양상 = 101
3. 육당과 춘원의 시편들 = 104
4. '근대성'의 자기인식 = 112
낭만적 상상력과 현실적 상상력 - 1920년대 시
1. 머리말 = 116
2. 낭만적 상상력과 환상성 = 118
(1) 동일성의 상실 = 118
(2) 에로스와 여성주의 - 한용운, 김소월 = 120
(3) 낭만적 허위 - 도피 모티프 = 125
3. 현실적 상상력과 사회성 = 132
(1) 전통과 개인 = 132
(2) 김소월의 후기 시편들 = 136
(3) 민족적 자아 - 이상화 = 141
(4) 현실적 감각과 그 인식 - 유도순, 김창술 등 = 144
4. 1920년대 시의 시사적 의미 = 147
1930년대 시의 구조와 배경
1. 머리말 = 149
2. 1930년대 시와 임화의 시 편력 - 기타 = 152
3. 시문학파 - 김영랑 등 = 157
4. 신시조운동 - 이병기 = 163
5. 모더니즘 시인들 = 165
6. 백석, 오장환, 이용악 등 = 171
3부 한국 근대시사와 시인
정지용론 - 위의(威儀)의 시인 = 185
김기림론 - 모더니즘 시의 한국적 한계 = 203
서정주론 - 민간전승과 한국시 = 235
유치환론 - 의지와 애련의 변증 = 249
박두진론 - 신앙적 자아와 서정적 자아 = 273
4부 한국시가 연구, 그 성찰과 모색
한국시가 연구 100년
1. 머리말 = 293
2. 국문학 연구의 요람기 = 296
3. 근대적인 학문으로서의 국문학 연구 = 310
4. 조윤제의 『국문학사』 = 318
5. 신실증주의와 비교문학 = 325
6. 한국시가의 자기정의 - 내재적 발전론 = 344
7. 방법론적 다원성 - 신역사주의 = 354
8. 한국시사의 보완 - 시가 다시 읽기 = 363
9. 마무리 = 370
참고문헌 = 375
찾아보기 = 38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