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프롤로그 : 북핵 문제의 해법은 어디에 있는가 = 4
1장 한반도, 핵의 유혹
부시의 테러전쟁과 북한 핵 문제 - 부시의 일방주의 정책으로 풀기는 역부족 = 18
김정일은 독재자인가, 개혁가인가? - DJ와 하벨 전대통령의 상반된 평가와 북핵 갈등 = 26
국제 핵 기술 암시장 주도한 칸 박사의 정체 - 파키스탄, 고농축우라늄(HEU)과 북한 미...
목차 전체
목차
프롤로그 : 북핵 문제의 해법은 어디에 있는가 = 4
1장 한반도, 핵의 유혹
부시의 테러전쟁과 북한 핵 문제 - 부시의 일방주의 정책으로 풀기는 역부족 = 18
김정일은 독재자인가, 개혁가인가? - DJ와 하벨 전대통령의 상반된 평가와 북핵 갈등 = 26
국제 핵 기술 암시장 주도한 칸 박사의 정체 - 파키스탄, 고농축우라늄(HEU)과 북한 미사일 맞교환했나 = 38
북 미사일에 대한 유엔 안보리 결의 1695호의 의미 - 중국ㆍ베트남 공산당과 북한 선군체제 왜 다른가 = 50
실패한 무궁화꽃 - 한국의 핵 개발 프로그램 - 70년대 이후 한국의 핵 개발과 국제사회의 의혹 = 62
2장 북핵 그리고 한반도 최악의 시나리오
북한의 핵실험과 미국의 딜레마 - 북핵 위기와 한반도 전쟁 시나리오 = 74
김정일과 부시, 마지막 담판의 장으로 접근하다 - 부시의 당근을 김정일은 과연 먹을 것인가 = 86
북핵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 안보리 제재, 잘 대응해야 심지의 불 끈다 = 100
북핵 문제는 국제공조로 풀어야 한다 - 노무현의 아마추어 외교로는 북핵 문제 못 푼다 = 113
3장 김정일, 또 한번의 기회와 선택
밀로셰비치의 비극이 김정일에게 준 교훈 - 왜 유럽연합은 북한인권 결의안을 주도하나 = 124
북 미사일 발사, 국제공조만이 해법이다 - 노정권 민족공조, 홀로서기냐 동맹외교냐의 갈림길 = 136
탈북자와 '게르만 엑소더스' - 베를린 장벽 붕괴 18주년의 의미 = 146
헬싱키헌장과 1990년대 공산주의 몰락의 교훈 - 북한은 핵무장 풀어야 기아, 탈북문제 해결할 수 있다 = 160
북한은 개혁개방으로 갈 것인가 - 김정일 위원장, 최후의 '통 큰 결단' 하라 = 175
4장 미국의 북핵 정책과 이라크 전쟁
북핵 문제에 유럽이 미국을 지지하는 이유 - 마주 달리는 열차를 멈출 해법은 없는가 = 188
김정일과 부시의 대타협 가능한가 - '20세기의 위대한 결단' 콜과 고르비가 본보기 = 200
이라크 전쟁으로 더욱 불투명해진 북핵 문제 - 중남미 좌파 도미노로 신자유주의 퇴조하는가 = 212
카다피와 후세인의 엇갈린 운명 - 카다피의 국제무대 복귀와 후세인의 최후 = 223
5장 북핵 문제 어떻게 풀 것인가
북한 핵무기 보유 선언의 충격 - 신정책 전환이 요구되는 햇볕정책 = 236
김정일의 통 큰 정치만이 핵 위기 막는다 - 북, 핵포기로 국제무대에 정상국가로 등장해야 = 250
리비아방식에서 북한 핵 문제의 해법을 찾는다 - 카다피의 외침에 대한 김정일의 선택은? = 259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 6자회담에서 북핵 문제의 해법을 찾는다 = 269
북한 핵실험과 안보리 제재 그리고 6자회담 - 대타협으로 북핵 문제 풀어야 한다 = 273
북한 핵 문제 연표 = 28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