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론 : 전기미술의 기본 방향 = 12
1) 예술을 위한 예술(Art for Art) = 12
2) 뜨거움과 차가움 그 이원적 속성 = 15
3) 아방가르드 정신과 무의식의 세계 = 17
1. 탈재현의 시작 = 21
1) 인상주의(1870∼1890) = 23
2) 신인상주의(Neo-impressionism, 1886∼1896) = 29
3)...
목차 전체
목차
서론 : 전기미술의 기본 방향 = 12
1) 예술을 위한 예술(Art for Art) = 12
2) 뜨거움과 차가움 그 이원적 속성 = 15
3) 아방가르드 정신과 무의식의 세계 = 17
1. 탈재현의 시작 = 21
1) 인상주의(1870∼1890) = 23
2) 신인상주의(Neo-impressionism, 1886∼1896) = 29
3) 후기인상주의(1890∼1900) = 30
(1) 세잔느(Cezanne, Paul, 1839∼1906) = 31
(2) 고흐(Gogh, Vincent Van, 1853∼1890) = 34
(3) 고갱(Gaugain, Paul, 1848∼1903) = 38
4) 분리파 미술(Sezession, 1882∼1910) = 39
(1) 클림트(Klimt, Gustav, 1862∼1918) = 40
(2) 쉴레(Schiele, Egon, 1890∼1918) = 41
5) 나비파(Les Nabis, 1888∼1900) = 42
(1) 보나르(Bonnard, Pierre, 1867∼1947) = 43
6) 후기상징주의 = 44
(1) 뭉크(Munch, Edvard, 1863∼1944) = 44
2. 탈재현에서 색채 및 구조로 = 47
1) 야수주의(Fauvism, 1890∼1910) = 47
(1) 마티스(Matisse, Henri, 1869∼1954) = 48
(2) 루오(Roualt, Georges, 1871∼1958) = 57
2) 큐비즘(Cubism, 1907∼1920) = 61
(1) 전기입체주의(1907∼1908) = 64
(2) 분석적 큐비즘(Analytic Cubism, 1909∼1911) = 65
(3) 종합적 큐비즘(Synthetic Cubism, 1912∼1914) = 66
(4) 피카소(Picasso, Pablo, 1881∼1976) = 68
(5) 브라크(Braque, George, 1882∼1963) = 71
(6) 후앙 그리(Juan Gris, 1887∼1927) = 74
(7) 페르낭드 레제(Fernand L<TEX>$$\acute e$$</TEX>ger, 1881∼1955) = 75
(8) 로버트 들로네(Robert Delaunay, 1885∼1941) = 76
3) 소박파 미술 = 77
(1) 루소(Rousseau, Henri, 1844∼1910) = 78
3. 구조에서 조형으로 = 80
1) 전기회화에서 추상의 개념 = 81
(1) 사전적 의미의 추상 = 82
(2) 애매성으로서의 추상 = 83
(3) 자율성 회복으로서의 추상 = 84
(4) 구체화로서의 추상 = 85
(5) 추상의 유형 = 88
(6) 내적 필연성과 추상 = 89
(7) 예술충동으로서의 추상 = 90
(8) 근대적 의미에서의 추상 = 92
(9) 추상미술의 흐름과 그 특징 = 93
2) 전기추상의 형성에 대한 논의 = 96
4. 구조에서 시간과 속도로 = 99
1) 미래주의(Futurism) = 100
(1) 복치오니(Bocchioni, Umberto, 1882∼1916) = 103
(2) 발라(Balla, Giacomo, 1871∼1958) = 104
(3) 카라(Carr<TEX>$$\acute a$$</TEX>, Carlo, 1881∼1966) = 105
(4) 세베리니(Severini, Gino, 1883∼1966) = 106
5. 비감성 회화로 = 107
1) 광선주의(光線主義, Rayonnisme) = 109
2) 절대주의(Suprematism) = 111
(1) 말레비치(Malevich, Kasimir, 1878∼1935) = 113
(2) 로드첸코(Rodtchenko, Alexendre, 1891∼1956) = 116
3) 구성주의(Constructivism) = 116
6. 인간의 내면 및 본질 탐구 = 121
1) 독일 표현주의 미술에 대한 예비적 고찰 = 121
(1) 철학적 배경 = 121
(2) 표현주의의 개념 = 124
(3) 독일 표현주의 미술의 원류 = 125
(4) 표현주의 정서 = 126
2) 다리파(Die br<TEX>$$\ddot u$$</TEX>cke, 1905∼1913) = 128
(1) 키르히너(Kirchner, Ernst Ludwing, 1880∼1938) = 129
(2) 헤켈(Heckel, Erich, 1883∼1970) = 133
(3) 슈미트-로트러프(Schmidt-Rottluff, Karl, 1884∼1976) = 134
(4) 펙스타인(Pechstein, Max 1881∼) = 136
(5) ?러(Mueller, Otto, 1874∼) = 139
3) 북독일 표현주의(Northern German Expressionism) = 142
(1) 놀데(Nolde, Emile, 1867∼1956) = 143
(2) 모데르손-벡커, (Modersohn-Becker, Paula, 1876∼1907) = 145
(3) 롤프스, (Rohlfs, Christian, 1849∼) = 147
4) 청기사파(blaue Reiter) = 148
(1) 칸딘스키(Kandinsky, Vassili, 1866∼1944) = 151
(2) 프란츠 마르크(Marc, Franz, 1880∼1916) = 153
(3) 야우렌스키(Jawlensky, Alexei von, 1864∼1941) = 156
5) 라인풍의 표현주의(Rhenish Expressionism) = 157
(1) 막케(Macke, August, 1887∼1914) = 158
(2) 캄펜동크(Campendonk, Heinrich, 1889∼1957) = 160
(3) 빌헬름 모르그너(Morgner, Wilhelm, 1891∼1917) = 161
6) 도시 주제의 표현주의(The Subject of the City) = 162
(1) 벡만(Beckmann, Max, 1884∼1950) = 162
(2) 딕스(Dix, Otto, 1891∼) = 166
(3) 그로츠(Grosz, George, 1893∼1959) = 168
7) 비엔나에서의 표현주의(Expressionism in Vienna) = 169
(1) 코코시카(Kokoschka, Oskar, 1886∼1980) = 170
(2) 쉴레(Schiele, Egon, 1890∼1918) = 172
7. 신지학과 우주 = 174
1) 데 스틸 운동 = 174
(1) 몬드리안(Mondrian, Piet, 1872∼1944) = 177
(2) 데오 반 데스부르크(Th<TEX>$$\acute e$$</TEX>o van Doesburg, 1883∼1931) = 179
8. 색채의 자율성과 순수한 조형 = 181
1) 오르피즘 = 181
(1) 들로네(Delaunay, Robert, 1885∼1941) = 182
2) 순수주의(Purism) = 185
(1) 르 꼬르뷔지에(Le Corbuisier, 1887∼1965) = 186
9. 아방가르드 정신과 무의식의 세계 = 188
1) 다다이즘(Dadaism) = 189
(1) 아르프(Arp, Hans, 1887∼1966) = 192
(2) 리히터(Richter, Hans, 1888∼1976) = 192
(3) 뒤샹(Duchamp, Marcel, 1888∼1968) = 193
(4) 슈비터즈(Schwitters, Kurt, 1887∼1948) = 197
(5) 레이(Ray, Man, 1890∼1976) = 199
(6) 피카비아(Picabia, Francis, 1879∼1953) = 201
(7) 에른스트(Ernst, Max, 1891∼1976) = 203
2) 형이상학파 = 205
(1) 키리코(Chirico, Giorgio de, 1888∼1978) = 206
3) 초현실주의 = 208
(1) 부르통(Breton, Andre, 1896∼1966) = 212
(2) 미로(Mir<TEX>$$\acute o$$</TEX>, Joan, 1893∼1983) = 213
(3) 맛송(Masson, Andr<TEX>$$\acute e$$</TEX>, 1896∼1987) = 215
(4) 에른스트(Ernst, Max, 1891∼1976) = 216
(5) 마그리트(Magritte, Rene, 1898∼1967) = 219
(6) 탕기(Tanguy, Yves, 1900∼1955) = 220
(7) 달리(Dali, Salvador, 1904∼1989) = 222
(8) 그 외의 작가들 : 델보(Delvaux, Paul, 1897∼), 고르키(Gorky, Arshile, 1904∼1948), 오펜하임(Oppenheim, Meret, 1913∼1967) = 225
4) 에꼴 드 파리 = 228
(1) 샤갈(Shagall, Marc, 1887∼1985) = 228
(2) 모딜리아니(Modigliani, Amedeo, 1884∼1920) = 232
(3) 그 외의 작가들 : 수틴, 키스링, 파스킨, 위트릴로 = 233
10. 종합주의 = 235
1) 바우하우스 = 235
(1) 쉴렘머(Schlemmer, Oskar, 1888∼1943) = 239
(2) 모흘리나기(Moholy-Nagy, Laszlo, 1895∼1946) = 240
(3) 클레(Klee, Paul, 1879∼1940) = 242
(4) 칸딘스키(Kandinsky, Vassili, 1866∼1944) = 243
2) 추상창조 그룹 = 245
참고 문헌 = 247
</vol>
<vol>2
<count>
목차
서론 : 중기미술의 기본 방향 = 10
1) 전후 상실된 인간성의 회복구현 = 10
2) 대중 친화적 회화 = 11
3) 속물적 인간의 허구 폭로 = 12
4) 드로잉적 묘사의 부각 = 13
5) 물질, 사물, 오브제 등을 도입한 회화영역의 확장 = 14
6) 움직임과 시각의 유희 = 20
1. 실존주의 미학의 대두 = 21
1) 코브라 그룹 = 23
(1) 파리와 브뤼셀 = 25
① 폴 부리 = 26
(2) 코펜하겐 = 27
① 아스거 요른 = 28
② 칼-헤닝 피데르손 = 30
③ 에길 제이콥슨 = 33
(3) 암스테르담 = 34
① 까렐 아펠 = 36
② 꼬르네일레 = 37
③ 콘스턴트 = 39
2) 추상표현주의 = 40
① 선행연구자 - 아르실 고르키 = 44
(1) 색면추상의 경향 = 45
① 바넷 뉴만 = 46
② 마크 로드코 = 47
③ 아돌프 고트리프 = 49
④ 크리포드 스틸 = 49
⑤ 로버트 마더웰 = 50
(2) 액션 페인팅적 경향 = 51
① 잭슨 폴록 = 55
② 윌리암 드 쿠닝 = 58
(3) 서체추상적 경향 = 60
① 플란츠 클라인 = 60
② 마크 토비 = 61
(4) 혼합 추상표현주의 = 62
3) 앵포르멜 = 66
(1) 앵포르멜의 선구자들 = 69
① 장 포트리에 = 70
② 볼스 = 72
③ 장 뒤 비페 = 73
④ 베르나르 뷔페 = 76
(2) 앵포르멜의 발전과 응용 = 77
① 알베르토 부리 = 78
② 안토니 타피에스 = 79
③ 루치오 폰타나 = 81
2. 대중문화와 새로운 자연관 = 83
1) 팝아트 = 85
(1) 영국의 팝아트 = 86
① 프란시스 베이컨의 기여 = 88
② 에드와르도 파올로치 = 89
③ 리차드 해밀턴 = 89
④ 피터 블레이크 = 92
(2) 영국의 팝아트의 새로운 전개 = 94
① 키타이 = 94
② 데이비드 호크니 = 95
③ 앨런 존스 = 102
(3) 미국의 팝아트 = 103
① 로버트 라우셴버그 = 104
② 자스퍼 존스 = 105
③ 로이 리히텐스타인 = 107
④ 앤디 와홀 = 110
⑤ 클레이스 올덴버그 = 111
⑥ 제임스 로젠퀴스트 = 114
⑦ 톰 웨셸만 = 115
⑧ 로버트 인디아나 = 117
(4) 팝아트의 신유형 = 118
① 짐 다인 = 118
② 필립 거스턴 = 119
2) 누보 레알리즘 = 121
(1) 아쌍블라쥬 경향 = 121
① 아르망 = 125
② 존 챔벌레인 = 127
③ 세자르 = 130
(2) 인바이런먼트 경향 = 130
① 조오지 세갈 = 130
② 미켈란젤로 피스톨레토 = 132
3. 신형상주의와 새로운 인간형 = 133
1) 신형상주의 = 134
(1) 프란시스 베이컨 = 135
(2) 래리 리버스 = 140
4. 유물론적 세계관과 그 이탈의 과정 = 143
1) 미니멀리즘 = 148
(1) 프랭크 스텔라 = 153
(2) 칼 안드레 = 155
(3) 도날드 져드 = 156
(4) 로버트 라이만 = 158
(5) 리차드 디벤콘 = 159
(6) 솔 레위트 = 160
(7) 엘스워드 켈리 = 161
(8) 줄스 올리츠키 = 163
2) 플럭서스 = 164
(1) 죠셉 보이스 = 166
3) 쉬포르 쉬르파스 = 170
(1) 클로드 비알라 = 172
(2) 다니엘 드죄즈 = 172
(3) 프랑스와 루앙 = 173
4) 비물질 회화 = 174
(1) 이브 클라인 = 174
5) 물질 & 과정주의 = 178
(1) 에바 헤세 = 179
(2) 린다 벵글리스 = 181
(3) 루이스 부르조아 = 183
(4) 부르스 노만 = 185
5. 테크놀로지와 시네티즘의 대두 = 188
1) 키네틱 아트 = 190
(1) 장 팅글리 = 191
(2) 폴 부리 = 192
(3) 지저스 라파엘 소토 = 192
(4) 니콜라스 셰페르 = 193
2) 옵티컬 아트 = 196
(1) 빅토르 바자렐리 = 197
3) 라이트 아트 = 199
(1) 단 플래빈 = 200
(2) 로스앤젤레스의 빛과 공간의 예술가들 = 201
① 로버트 어윈 = 202
② 제임스 터렐 = 205
③ 레리 벨 = 206
④ 드와인 발렌타인 = 207
6. 조형공간의 성격을 이용한 미술 = 209
1) 현대 예술에서의 조형공간 = 209
2) 환경 조형 = 211
3) 대지미술 = 212
(1) 크리스토 = 215
(2) 로버트 스미드슨 = 219
(3) 리차드 롱 = 222
(4) 앨렌 손피스트 = 223
4) Site-Specific = 224
(1) 앤디 골드워디 = 225
참고문헌 = 227
</vol>
<vol>3
<count>
목차
서론 : 후기미술의 지향점 = 10
1) 사회성의 구축 = 10
2) 물질에서 개념으로 = 14
3) 장르의 붕괴, 형이상학의 해체 = 16
4) 역사주의에서 신역사주의로 = 19
5) 단순미에서 복잡·난립으로 = 20
6) 2·3차원 공간에서 사이버 공간으로 = 22
1. 오브제이기를 포기한 예술 = 25
1) 해체의 서막 - 새로운 전위를 찾아서 = 25
2) 개념적 공간연출 = 27
(1) 선행연구자 - 마르셀 뒤샹 = 28
(2) 선행연구자 - 솔 레위트 = 30
(3) 조셉 코쥬스 = 31
3) 개념미술의 새로운 유형 = 47
(1) 제니 홀처 = 48
4) 개념미술에 대한 평가 = 49
2. 극 사실과 非 差異의 철학 = 53
1) 하이퍼 리얼리즘 = 56
(1) 척 클로즈 = 57
(2) 리차드 에스테스 = 60
2) 익명성과 관념의 세계 = 61
(1) 루시앙 프로이트 = 62
3. 탈물질론적인 관념과 신화의 세계 = 64
1) 이탈리아 트랜스 아방가르드 = 65
(1) 프란체스코 클레멘테 = 66
(2) 밈모 팔라디노 = 77
4. 형질의 변환과 역사의 변조 = 83
1) 싸구려 물질의 형질변환 = 84
(1) 토니 크랙 = 85
2) 역사의 변조와 나열된 사진을 통한 멜랑꼴리 = 93
(1) 크리스티앙 볼탕스키 = 94
5. 야성성을 통한 세기말의 정서 = 108
1) 물질에너지와 칼리그래피 = 109
(1) 쥴리앙 슈나벨 = 109
2) 물질 이면의 네거티브 이미지 = 115
(1) 프랭크 스텔라 = 116
3) 정치와 반달리즘 = 145
(1) 한스 하케 = 146
6. 이코노클라즘과 해체 = 152
1) 시대적 우울증과 다의성 = 153
(1) 안젤름 키이퍼 = 154
2) 가시성과 비가시성의 사이 = 173
(1) 게르하르트 리히터 = 174
7. 성의 정체성과 형이하학 = 186
1) 키치와 포르노그라피 = 189
(1) 제프 쿤스 = 189
2) 자아정체성의 해체 = 192
(1) 신디 셔먼 = 194
8. 칼리그래피와 카툰 = 197
1) 본원적 칼리그래피 = 198
(1) 브라이스 마든 = 199
2) 할렘식 칼리그래피 = 202
(1) 장 미첼 바스키야 = 203
9. 이미지 오버랩과 차연성 = 208
1) 이미지의 혼용을 통한 의미의 교란 = 209
(1) 데이비드 살르 = 209
2) 추상적 다트 이미지와 구상의 혼용 = 212
(1) 지그마르 폴케 = 213
10. 사이버 공간과 디지털 매체 : 21세기적 비전 = 215
1) 빛과 공간 = 217
(1) 단 플래빈 = 219
(2) 로버트 어윈 = 220
(3) 제임스 터렐 = 222
(4) 레리 벨 = 224
(5) 드와인 발렌타인 = 227
(6) 합 티베이 = 229
2) 레이저와 홀로그래피 = 230
3) 비디오 아트 = 234
(1) 백남준 = 236
4) 불과 네오니즘 = 240
(1) 에릭 오르 = 241
(2) 부루스 노만 = 244
5) 컴퓨터 아트 = 253
(1) 사이버 스페이스 = 257
(2) 상호커뮤니케이션 = 259
6) 커뮤니케이션 아트 = 260
(1) 로이 아스콧 = 263
(2) 제프리 쇼 = 265
후기 = 268
참고문헌 = 27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