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감사의 글 = 9
서론 = 15
1장 기초 음향학과 필터 = 19
1.1 소리의 지각 = 19
1.2 소리의 전파 = 20
1.3 소리의 종류 = 24
1.3.1 단순 주기파 = 24
1.3.2 복합 주기파 = 27
1.3.3 비주기파 = 33
1.4 음향 필터 = 36
2장 디지털 신호 처리 = 43
2.1...
목차 전체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감사의 글 = 9
서론 = 15
1장 기초 음향학과 필터 = 19
1.1 소리의 지각 = 19
1.2 소리의 전파 = 20
1.3 소리의 종류 = 24
1.3.1 단순 주기파 = 24
1.3.2 복합 주기파 = 27
1.3.3 비주기파 = 33
1.4 음향 필터 = 36
2장 디지털 신호 처리 = 43
2.1 연속 신호 대 불연속 신호 = 43
2.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 45
2.2.1 표본 추출 = 46
2.2.2 양자화 = 52
2.3 신호 분석 방법 = 58
2.3.1 자기 상관 피치 검출 = 58
2.3.2 표본 제곱 평균 제곱근 진폭 = 62
2.3.3 빠른 푸리에 변환 = 64
2.3.4 디지털 필터 = 70
2.3.5 선형 예측 부호화 = 76
2.3.6 스펙트럼과 스펙트로그램 = 80
3 기초 청각 = 87
3.1 주변 청취 체계의 구조 = 87
3.2 소리 크기의 청지각 = 89
3.3 청취 체계의 주파수 반응 = 94
3.4 청취 표상 = 96
4장 말소리 인지 = 105
4.1 음성 인지 실험 = 106
4.2 거리 지도 = 113
4.3 마찰음의 인지 지도 = 116
4.4 조음 위치의 인지 지도 = 124
4.5 인지 보편성의 한계: 언어 간 중국어 성조 지도 = 129
5장 음성 생성의 음향학적 이론: 애매 모음의 도출 = 139
5.1 성대 진동 = 139
5.2 성대 진동 양자 = 144
5.3 성도 필터 작용 = 146
5.4 추, 정상파, 그리고 모음 포먼트 = 148
5.5 LPC 스펙트럼 분석 = 164
6장 모음 = 173
6.1 모음 생성의 관 모델 = 173
6.2 섭동 이론 = 180
6.3 "선호되는" 모음: 양자 이론과 적응 분산 = 186
6.4 모음 포먼트와 음향적 모음 공간 = 188
6.5 모음의 청취 및 음향적 표상 = 191
6.6 언어 간 모음 인지 = 193
7장 마찰음 = 199
7.1 난기류 = 199
7.2 마찰음의 조음 위치 = 206
7.3 양자 이론과 마찰음 = 210
7.4 마찰음의 청취 스펙트럼 = 212
7.5 마찰음 인지의 차원 = 216
8장 정지음과 파찰음 = 221
8.1 정지음과 파찰음의 음원 함수 = 222
8.1.1 발성 유형 = 222
8.1.2 정지음과 파찰음의 음원 = 226
8.2 정지음의 성도 필터 함수 = 231
8.3 파찰음 = 236
8.4 정지음의 청취적 속성 = 237
8.5 상이한 모음 환경에서의 정지음 인지 = 239
9장 비음과 유음 = 243
9.1 대역폭 = 243
9.2 비음 = 246
9.3 유음 = 258
9.4 비음화 = 261
9.5 비음 인지 = 265
한영 용어 대조표 = 287
영한 용어 대조표 = 29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