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을 내면서 = 5
첫째 마당 : 역사를 아는 힘
당쟁과 대선정국 = 13
대통령실록을 만들자 = 18
세계제국은 강대국의 희망사항이다 = 21
세게화, 어떻게 할 것인가 = 24
치세의 조건 = 28
20세기를 보내면서 = 31
역사 속의 2000년 6월 12일 = 34
남북사업 핵심은 이산상봉 확대 = 37
남북 화해시대의 개천절과 단군 = 39
...
목차 전체
목차
책을 내면서 = 5
첫째 마당 : 역사를 아는 힘
당쟁과 대선정국 = 13
대통령실록을 만들자 = 18
세계제국은 강대국의 희망사항이다 = 21
세게화, 어떻게 할 것인가 = 24
치세의 조건 = 28
20세기를 보내면서 = 31
역사 속의 2000년 6월 12일 = 34
남북사업 핵심은 이산상봉 확대 = 37
남북 화해시대의 개천절과 단군 = 39
역사를 아는 힘 = 42
본말이 바로 서야 = 46
2001년 새 문명을 만들자 = 49
조선시대 선비정치와 기록문화 = 52
설날에 되돌아보는 역사 = 58
국사교육 어디로 갔나 = 61
인문교양이 미래의 핵심역량 = 64
문화행정 예산과 인력을 대폭 늘려야 = 71
50년 역사교육 되돌아보기 = 74
들어라 공신들아 = 80
문명 4강으로 = 83
양서권장사업, 이런 방향으로 = 86
투탕카멘과 정조대왕 = 92
대통령 관저를 옮기자 = 95
사극을 보는 방법 = 98
믿음의 정치, 기록의 정치 = 104
매각한 사적지를 정부가 사들이라 = 107
부채 없는 대통령의 할 일 = 110
미국도 북한도 변해야 한다 = 113
버려진 역사 대한제국 = 116
새 각오로 민심수습을 = 119
민심통합할 신탕평정치를 = 122
〈역사스페셜〉 중단 안된다 = 125
천도의 문제점 = 128
개로왕의 비극 = 131
한일관계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 134
둘째 마당 : 조상들의 삶과 꿈
한국 금속활자 인쇄술 발달의 사회문화적 배경 = 141
한국의 지진과 그 기록 = 155
한국인의 전통적 지리관 = 171
기전의 역사와 문화 = 182
17~18세기 안동김문의 청백과 충절 = 191
한국 청백리정신의 역사적 전통 = 203
한성백제와 서울의 역사 = 219
정조 화성행차 8일의 정치사적 의미 = 251
화성에 담긴 정조의 꿈 = 266
셋째 마당 : 21세기 한국사학의 방향
20세기 역사학의 반성 = 295
21세기 한국학, 어떻게 할 것인가 = 315
민족사학 = 329
신민족주의 사학 = 341
넷째 마당 : 생활의 여백
나의 초기작과 최근작 사이 = 353
나를 바꾼 지의 순간 = 357
한국 전통문화의 이해 = 359
졸업생에게 주는 글 = 368
한우근선생을 추모하면서 = 370
한우근선생의 생애와 사학 = 37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