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1 품질경영 개론
1-1 기업환경 변화와 품질경영의 필요성 = 24
1) 기업환경의 변화 = 24
2) 품질경영 도입의 필요성 = 28
1-2 품질경영의 개념 = 30
1) 품질개념의 재정립 = 30
2) 품질경영의 의의와 목적 = 32
3) 품질경영의 정의 = 33
4) 품질경영으로의 발전과정 = 35
...
목차 전체
목차
1 품질경영 개론
1-1 기업환경 변화와 품질경영의 필요성 = 24
1) 기업환경의 변화 = 24
2) 품질경영 도입의 필요성 = 28
1-2 품질경영의 개념 = 30
1) 품질개념의 재정립 = 30
2) 품질경영의 의의와 목적 = 32
3) 품질경영의 정의 = 33
4) 품질경영으로의 발전과정 = 35
5) 품질관리와 품질경영의 비교 = 35
1-3 품질경영의 추진요소와 핵심적 사고 = 37
1) 품질경영의 구성요소 = 38
2) 품질경영의 추진요소 = 41
3) 품질경영의 핵심적 사고 = 42
1-4 품질경영의 목표 = 45
1-5 품질경영 운영의 개요 = 47
1-6 품질경영 조직 및 운영 = 48
1) 품질경영 추진조직의 정비 = 48
2) 조직정비의 원칙 = 49
3) 품질경영 추진조직의 운용 = 50
4) 품질경영 조직과 그 운영의 향후 추진방법 = 52
1-7 품질경영 방침 및 계획수립과 운영 = 52
1) 방침 및 전략 = 52
2) QM 추진계획 수립 = 54
3) 품질경영의 추진 = 56
1-8 품질경영의 활성화 방안 = 56
1) QM 추진의 기본방향 = 56
2) TQC 추진의 반성과 품질경영 활성화의 과제 = 57
연습문제 = 60
2 품질관리의 서론
2-1 품질관리와 경영 = 62
2-2 품질관리의 정의 = 63
2-3 품질관리의 역사 = 65
2-4 품질관리의 사고방식 = 69
1) 품질과 품질특성 = 69
2) 참특성과 대용특성 = 71
3) 품질의 종류 = 72
4) 4종의 품질수준 = 76
5) 과학적 관리 = 77
2-5 품질관리의 목적과 효과 = 79
1) 품질관리의 목적 = 79
2) 품질관리의 효과 = 80
2-6 품질관리의 기능, 업무, 원칙 = 82
1) 품질관리의 기능 = 82
2) 품질관리의 업무 = 83
3) 품질관리의 4원칙 = 85
2-7 품질시스템 = 86
1) 시스템의 개념과 구성 = 86
2) 품질시스템의 필요성 = 88
3) 품질시스템의 계획 = 89
4) 공정·원가시스템과의 관계 = 91
2-8 품질관리와 소집단활동 = 93
1) 소집단 = 93
2) QC서클과 공장새마을 분임조 = 93
3) ZD = 95
연습문제 = 98
3 품질관리의 실시
3-1 품질관리의 실시단계 = 100
3-2 품질관리의 추진방법 = 101
1) 경영방침의 명시 = 101
2) 효과적인 조직편성 및 운영 = 101
3) 품질관리제도의 설정 = 104
4) 설계·판매·사용에서 품질관리의 추진 = 105
5) 품질관리감사의 추진 = 107
6) 품질관리의 교육 = 108
연습문제 = 110
4 사내표준화와 산업표준화
4-1 표준화의 기본적인 사고방식 = 112
1) 표준화의 목적 = 112
2) 표준화의 원리 = 113
3) 표준화의 효과 = 114
4) 표준화 적용의 구조 = 114
5) 표준화에 관한 용어 = 116
4-2 한국산업규격 = 117
1) KS의 정의 및 분류 = 117
2) KS의 제정절차 = 119
3) KS 표시제도 = 121
4) KS 표시 허가절차 = 122
4-3 사내표준화와 품질관리 = 124
4-4 사내표준화의 대상 및 요건 = 126
1) 사내표준화의 대상 = 126
2) 사내표준화의 역할 = 126
1) 사내표준화의 요건 = 128
4-5 회사규격의 분류체계 = 130
1) 회사규격의 분류 = 130
2) 회사규격의 체계 = 132
3) 회사규격의 내용 = 138
4-6 사내표준화의 추진방법 = 140
4-7 표시허가 심사기준 = 144
1) 심사의 목적 및 심사사항 = 144
2) 표준화 일반 = 145
3) 개별적 사항 = 150
연습문제 = 156
5 품질보증
5-1 품질보증 = 158
1) 품질보증의 정의 = 158
2) 근대산업의 특징과 소비보호 = 159
3) 품질보증의 개념과 수단 = 162
5-2 품질보증활동의 추진방법 = 166
1) 품질관리와 품질보증의 위치 = 166
2) 각 부문에 있어서의 품질보증활동 = 166
3) 품질보증활동의 요점 = 168
4) 품질보증시스템 = 169
5-3 시장에 있어서의 품질보증활동 = 173
1) 시장에 있어서의 QA활동의 요점 = 173
2) 품질보증에 관한 공약 = 174
3) 물류 및 현지조립(설치)에 있어서의 품질보증 = 178
4) 서비스활동의 추진 = 179
5) 서비스의 종류 = 181
5-4 개발단계에 있어서의 품질보증 = 182
1) 신상품 개발의 기본사항 = 182
2) 정보의 수집과 해석 = 184
3) 상품기획 = 186
4) 제품화 = 187
5) 설계심사 = 190
5-5 생산단계의 품질보증 = 192
5-6 품질보증과 검사 = 197
연습문제 = 200
6 품질코스트(Q-C)
6-1 품질코스트 개론 = 202
1) 품질과 품질코스트 = 202
2) 품질코스트(Quality Cost) = 204
6-2 품질코스트의 전개요령 = 211
1) 품질코스트의 분류 및 내용 = 212
2) 품질코스트의 집계방법 = 214
3) 품질코스트의 분석 = 216
6-3 품질코스트의 계산방법 = 222
1) F-코스트 산출방법 = 224
2) A-코스트의 산출비목과 장표류 = 227
3) P-코스트 산출방법 = 230
4) 품질코스트의 집계방법 = 230
6-4 품질코스트 관리시스템의 추진방법 = 236
1) 품질코스트 관리사이클 = 236
2) 단계별 실시사항 = 236
3) 품질코스트 항목별 계산 = 241
연습문제 = 244
7 품질분임조활동
7-1 품질분임조활동의 의의와 중요성 = 246
1) 품질분임조의 정의 = 246
2) 품질분임조활동의 기본이념 = 248
3) 품질분임조활동의 중요성 = 249
7-2 품질분임조의 운영 = 251
1) 품질분임조 편성 및 추진 = 251
2) 품질분임조 운영요령 = 255
7-3 품질분임조 리더 역할과 자기평가 = 258
1) 분임조 리더의 역할 = 258
2) 품질분임조의 활성화 방안 = 262
7-4 품질분임조활동의 단계별 진행요령 = 264
1) 주제선정 = 264
2) 목표설정 = 269
3) 활동계획 수립 = 271
4) 현상조사 분석(자료수집·자료검토·원인파악) = 272
5) 대책검토 및 수립 = 275
6) 대책실시 = 276
7) 결과분석(효과분석) = 277
8) 재발방지 및 표준화(정착화) = 278
9) 반성회(종합정리) = 280
10) 보고서 작성 및 개선제안 제출 = 284
7-5 회합 진행방법 = 285
연습문제 = 289
8 ISO 9000과 측정시스템
8-1 ISO 9000의 개요 = 292
1) ISO(국제표준화기구) = 292
2) ISO 9000의 배경 = 292
3) ISO 제도의 목적 = 293
8-2 ISO 9000 품질시스템의 요건 = 294
1) ISO 9000 시리즈 및 내용 = 294
2) ISO 9000의 20개 항목의 요구사항 = 295
3) ISO를 취득해야 하는 이유 = 297
4) ISO 인증획득의 효과 = 297
5) ISO와 TQC의 비교 = 297
8-3 ISO 9000 시리즈의 품질관리 = 298
8-4 ISO 9000 인증 수행범위 및 절차 = 299
1) ISO 9000 시리즈 변천사 = 304
2) 왜 ISO 9000 규격을 개정하게 되었는가? = 305
3) ISO 9001 : 2000 규격의 특징 = 305
4) 개정규격의 주요 변경사항 = 305
8-5 품질감사 = 306
8-6 측정시스템 = 310
1) 측정시스템의 개념 = 310
2) 측정오차 = 311
3) 측정시스템 평가 = 315
연습문제 = 322
9 데이터의 정리방법
9-1 품질관리와 데이터(data) = 324
1) 모집단과 시료 = 324
2) 데이터를 취하는 목적 = 327
3) 데이터의 분류 = 329
9-2 통계적 품질관리의 원칙 = 330
9-3 측정치를 취하는 방법 = 331
9-4 데이터 정리방법의 기초 = 334
9-5 수량적인 표현방법 = 335
1) 기호와 용어 = 335
2) 분포의 중심위치를 나타내는 방법 = 338
3) 산포를 나타내는 방법 = 343
4) 분포의 모양을 나타내는 방법 = 350
연습문제 = 351
10 확률분포의 기초와 통계적 방법에 사용되는 분포
10-1 확률의 기본개념 = 354
1) 확률의 정의 = 354
2) 확률분포 = 354
3) 확률법칙 = 356
10-2 이산확률분포 = 359
1) 이항분포(binomial distribution) = 359
2) 포아송분포(poisson distribution) = 365
3) 초기하분포(hyper-geometric distribution) = 370
10-3 연속확률분포 = 374
1)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 = 374
2) 지수분포(exponential distribution) = 384
10-4 모수와 통계량 = 386
10-5 통계량의 분포와 특성 = 387
10-6 통계량의 함수의 분포 = 391
1) χ²-분포(chi-square distribution) = 391
2) t-분포(t-distribution) = 394
3) F-분포(F-distribution) = 396
4) 각 분포의 관계 = 397
연습문제 = 399
11 QC의 7가지 도구
11-1 특성요인도 = 404
1) 특성요인도 작성방법 = 406
2) 특성요인도 작성시 주의사항 = 407
3) 특성요인도의 용도 = 408
4) 특성요인도의 사용법 = 409
5) 사용시의 주요사항 = 409
11-2 체크시트(check sheet) = 412
1) 체크시트의 작성방법 = 412
2) 체크시트의 사용방법 = 415
3) 체크시트의 종류 = 415
4) 점검용 체크시트를 그리는 방법 = 416
5) 점검용 체크시트의 사용방법 = 416
11-3 파레토그림(pareto diagram) = 420
1) 파레토그림의 작성방법 = 420
2) 그릴 때 주의할 점 = 422
3) 파레토그림의 사용방법 = 423
4) 이런 데이터가 파레토그림이 된다 = 425
11-4 층별(stratification) = 429
1) 층별의 방법 = 430
2) 층별할 때의 주의사항 = 432
3) 층별한 사례 = 433
11-5 산점도(scatter diagram) = 442
1) 산점도의 작성방법 = 442
2) 산점도 보는 법 = 444
11-6 히스토그램(histogram) = 447
1) 도수분포와 히스토그램 = 447
2) 히스토그램(histogram) = 450
3) 누적도수도 = 453
4) 도수표에서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계산하는 방법 = 454
5) 분포에 관한 추정 = 457
11-7 그래프 및 관리도 = 464
1) 그래프의 종류 = 464
2) 그래프-통계도표의 작성과 사용법 = 464
3) 그래프 작성시 주의사항 = 469
11-8 QC수법의 적용 = 477
연습문제 = 481
12 신QC 7가지 도구의 필요성
12-1 신QC 7가지 도구의 목적 = 486
12-2 신QC 7가지 도구의 필요성 = 487
12-3 신QC 7가지 도구란 = 488
12-4 친화도법(affinity diagram) = 492
1) 의의 및 목적 = 492
12-5 연관도법(relations diagram) = 494
1) 의의 및 목적 = 494
12-6 계통도법(tree diagram) = 496
1) 의의 및 목적 = 496
12-7 매트릭스도법(matrix diagram) = 498
1) 매트릭스도법이란 = 498
2) 매트릭스도법의 목적 = 499
12-8 매트릭스 데이터 해석법(matrix-data analysis) = 502
1) 매트릭스 데이터 해석법과 계산순서 = 502
12-9 PDPC법(process decision program chart) = 504
12-10 애로우 다이어그램법(arrow diagram) = 505
1) 의의 및 목적 = 505
12-11 신QC 7가지 도구의 적용 = 507
1) 연관도와 특성요인도의 보기 = 507
2) 문제해결형태와 신QC 7가지 도구 = 509
연습문제 = 513
13. 검정
13-1. 검정의 논법 = 516
13-2. 계량치의 검정 = 520
1) 모평균과 기준치와의 차의 검정(모평균의 검정) = 520
2) 두 모평균의 차의 검정 = 527
3) 산포에 대한 검정 = 538
13-3. 계수치의 검정 = 552
1) 부적합품률의 검정 = 552
2) 부적합수의검정 = 556
3) 적합도의 검정 = 559
4) 분할표 = 561
연습문제 = 571
14. 추정
14-1. 추정의 논법 = 576
14-2. 점추정(Point Estimation) = 578
14-3. 계량치의 구간추정 = 579
1) 모평균의 구간추정 = 579
2) 두 모평균의 차의 추정 = 585
3) 산포의 추정 = 594
14-4. 계수치의 구간추정 = 601
1) 모부적합품률의 추정 = 601
2) 2조의 모부적합품률의 차의 추정 = 603
3) 부적합수의 추정 = 605
4) 부적합수 차의 추정 = 607
연습문제 = 608
15 간이검정 및 추정
15-1. 범위를 사용하는 방법 = 616
1) 범위를 사용한 변동(산포)의 차의 검정 = 616
2) 범위를 사용한 평균치의 차의 검정 = 618
3) 범위를 사용한 평균치의 구간추정 = 623
15-2. 이항확률지의 원리 = 625
1) 이항확률지의 성질 = 625
2) 이항확률지의 용어 = 628
3) 이항확률지의 각종 척도 = 629
15-3. 이항확률지에 의한 추정과 검정 = 631
1) 모부적합품률의 검정 = 631
2) 모부적합품률의 추정 = 632
3) 부적합품률의 차의 검정 = 633
4) 2×n 분할표의 검정 = 635
5) 변동을 구하는 방식 = 636
15-4. 부호검정 = 638
연습문제 = 642
16. 상관과 회귀분석
16-1. 상관과 회귀의 개요 = 646
16-2. 산점도 및 상관표 = 647
16-3. 상관계수 = 649
1) 측정치로부터 직접 상관계수를 구하는 방법 = 651
2) 측정치가 상관표의 형식으로 주어진 경우의 상관계수를 구하는 법 = 657
16-4. 상관에 관한 검정과 추정 = 659
1) 상관계수의 분포 = 659
2) 무상관의 검정 = 660
3) 모상관계수의 추정 = 663
16-5. 회귀분석 = 670
1) 회귀직선의 추정 = 673
2) 기여율 = 681
3) 회귀계수의 추정 = 682
연습문제 = 687
17. 관리도
17-1. 관리도의 개념 = 694
1) 품질과 산포 = 695
2) 관리한계 = 696
3) 안정상태 = 697
4) 관리항목의 선정 = 699
5) 관리도의 종류 = 700
6) 관리도의 결정방법 = 702
17-2. 슈하르트 관리도 = 703
1) 적용범위 = 703
2) 정의 및 기호 = 704
3) 슈하르트 관리도의 개요 = 705
4) 관리도의 종류 = 707
5) 계량값 관리도 = 709
17-3. 슈하르트 관리도의 해설 = 712
1) 개정의 경위 = 712
2) 중요한 개정점 = 713
3) 관리도의 통계적 배경 = 715
17-4. 관리도의 작성방법 = 722
1) 계량값 관리도의 작성법 = 722
2) 계수값 관리도의 작성방법 = 759
3) L-S(최대치와 최소치) 관리도의 작성법 = 788
4) 관리도의 이용에 관한 모든 주의(X-R 관리도를 중심으로) = 792
17-5. 관리도 보는 법 = 796
1) 관리상태의 판정기준 = 798
2) 습관성과 그 판정기준 = 799
17-6. 통계적으로 보는 방법 = 806
17-7. 관리도에 의한 검정 및 검출력 = 814
1) 층의 평균치의 차의 검정 = 814
2) 관리도의 검출력 = 815
17-8. 공정 관리와 공정 능력 = 820
17-9. 관리도의 사용방법 및 실시 = 822
1) 관리도법 규정 = 822
2) 시료의 채취방법 = 822
3) 조처 = 823
4) 관리도의 취급 = 824
5) 관리도의 사용법 = 825
연습문제 = 826
18. 공정능력
18-1. 공정능력 = 836
1) 공정능력의 개념 = 836
2) 공정능력의 정의 = 836
3) 공정능력의 구성요소 = 837
4) 공정능력의계산 = 838
5) 공정능력지수 = 840
6) 6σ/T척도의 이용법 = 844
18-2. 공정개선 = 849
1) 공정개선의 의의와 순서 = 849
2) 공정개선의 수법 = 854
3) 공정의 관리개선 = 855
연습문제 = 859
19. 규격과 공차
19-1. 규격과 공차 = 862
1) 규격의 정의 = 862
2) 공차의 정의 = 862
19-2. 공차와 끼워맞춤 = 863
1) 공차와 허용차 = 863
2) 틈새와 죔새 = 863
3) 끼워맞춤 = 864
19-3. 공차의 통계적 가법성 = 870
1) 조립공차와 겹침공차 = 870
19-4. 규격의 기본형과 제조공정 = 870
1) 규격의 기본형 = 870
2) 규격과 제조공정 = 871
3) 규격의 모순과 그 대책 = 871
19-5. 측정기기 = 873
연습문제= 877
20. 샘플링 검사
20-1. 샘플링 검사의 개요 = 880
1) 샘플링 검사의 개요 = 880
2) 관능 검사 = 889
3) 샘플링오차와 측정오차 = 899
4) 샘플링 방법 = 902
5) 샘플링 형식 = 917
6) OC곡선(검사특성곡선) = 922
7) AOQ와 ATI = 932
20-2. 샘플링 검사의 형태 = 936
1) 계수 규준형 1회 샘플링 검사 = 936
2) 계수값 샘플링검사(KS A 2859) = 967
3) 축차 샘플링 검사 = 1014
연습문제 = 1023
21. 신뢰성
21-1. 신뢰성의 개념 = 1028
1) 신뢰성과 고장 = 1028
2) 보전성과 유용성 = 1029
3) 고유신뢰성과 사용신뢰성 = 1030
21-2. 신뢰성의 척도 = 1031
1) 신뢰도 R(t) = 1031
2) 고장밀도함수 f(f) = 1032
3) 순간고장률 λ(t) = 1033
4) 부적합품률과의 관계 = 034
21-3. 고장 패턴의 일반형태 = 1036
1) 초기고장기간 = 1038
2) 우발고장기간 = 1038
3) 마모고장기간 = 1041
21-4. 신뢰성의 모델 = 1042
1) 직렬모델과 병렬모델 = 1042
2) 병렬모델과 중복설계 = 1046
3) 스트레스 강도모델 = 1047
연습문제 = 1049
22. 6시그마
22-1. 6시그마의 발전과정 = 1052
22-2. 6시그마의 개념 = 1056
1) 시그마의 개념 = 1056
2) 6시그마의 5단계(DMAIC) = 1059
22-3. 6시그마에 의한 품질수준 평가 = 1063
1) 계량 품질특성값과 계수 품질특성값 = 1063
2) 공정능력지수 = 1064
3) 공정능력지수와 시그마 수준 = 1065
4) 부적합품률, 수율과 시그마 수준 = 1067
5) 만족도와 시그마 수준 = 1069
연습문제 = 1071
23. Single PPM 품질관리
23-1. Single PPM 품질관리 개요 = 1074
1) Single PPM의 개요 = 1074
2) Single PPM 품질관리의 도입배경 = 1076
3) Single PPM 인증심사제도 = 1079
23-2. Single PPM 품질혁신활동의 6단계 = 1082
1) S, I, N, G, L, E 6단계 활동의 개요 = 1082
2) S단게(Scope 단계) : 범위선정 = 1085
3) 1단계(Illumination 단계): 현상파악 = 1088
4) N단계(Nonconformity Analysis 단계) : 원인분석 = 1093
5) E단계(Evaluation 단계) : 평가 = 1095
6) G단계(Goal 단계) : 목표설정 = 1096
7) L단계(Level 단계) : 개선 = 1097
연습문제 = 1102
24. QS 9000
24-1. QS 9000의 개요 = 1104
24-2. 사전 제품품질계획 및 관리계획 = 1106
1) 사전 제품품질계획 = 1106
2) 관리계획 = 1123
24-3. 잠재적 고장형태 및 영향분석(FMEA) = 1125
1) FMEA 개요 = 1125
2) FMEA의 적용 = 1127
3) 설계 FMEA 실요령 = 1129
연습문제 = 1137
부록 = 1140
참고문헌 = 1159
참고문헌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