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Ⅰ 국악기 제작의 역사와 악기장 = 8
1. 악기장과 악기제작의 역사 = 10
2. 조선시대의 악기제작 기관 = 12
3. 조선시대 악기제작 기록 = 18
4. 20세기 초의 악기제작 현황 = 28
5. 민간의 악기 제작 전승 = 31
Ⅱ 국악기 종류와 범주 = 46
Ⅲ 현악기 = 52
1. 한국 현악기의 연원 = 54
2. 가야금의 탄생과 전...
목차 전체
Ⅰ 국악기 제작의 역사와 악기장 = 8
1. 악기장과 악기제작의 역사 = 10
2. 조선시대의 악기제작 기관 = 12
3. 조선시대 악기제작 기록 = 18
4. 20세기 초의 악기제작 현황 = 28
5. 민간의 악기 제작 전승 = 31
Ⅱ 국악기 종류와 범주 = 46
Ⅲ 현악기 = 52
1. 한국 현악기의 연원 = 54
2. 가야금의 탄생과 전승 = 59
3. 가야금의 구조와 제작 = 68
4. 거문고의 탄생과 전승 = 101
5. 거문고의 구조와 제작 = 111
Ⅳ 북 = 136
1. 북의 연원 = 138
2. 신화 속에 등장하는 북의 존재와 상징 = 139
3. 북의 종교적 상징과 기능 = 145
4. 우리나라 북의 전승 = 149
5. 북의 종류와 분류 = 152
6. 일반적인 북 제작 = 169
7. 현행의 북 제작 = 172
Ⅳ 악기장의 전승현황 = 228
1. 지정경위 = 230
2. 전승현황 = 237
미주 = 248
참고문헌 = 254
영문요약 = 25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