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저자 서문 : '동북아 문화공동체'와 '동방 르네상스'를 위하여 = 5
자료 차례 = 20
제1부 동북공정은 깃털에 불과하고 몸통은 따로 있다
제1장. 동북공정은 국가 전략의 일환이다 = 26
제2장. 동북공정은 '고구려공정'이 아니다 = 32
제3장. 동북공정은 선행하는 역사관련 공정들의 연장선상에 있다 = 35
1. 하상주단대...
목차 전체
목차
저자 서문 : '동북아 문화공동체'와 '동방 르네상스'를 위하여 = 5
자료 차례 = 20
제1부 동북공정은 깃털에 불과하고 몸통은 따로 있다
제1장. 동북공정은 국가 전략의 일환이다 = 26
제2장. 동북공정은 '고구려공정'이 아니다 = 32
제3장. 동북공정은 선행하는 역사관련 공정들의 연장선상에 있다 = 35
1. 하상주단대공정(夏商周斷大工程) = 35
2. 중국고대문명탐원공정(中國古代文明探源工程) = 41
3. 서남공정, 서북공정, 동북공정 = 42
1) 중국 최고지도자의 아킬레스건 '치수(治水)'와 '분열방지' = 42
2) 서남공정, 서북공정, 동북공정 = 47
제4장. 한반도를 염두에 둔 다양한 역사관련 작업들도 진행되었다 = 53
1. 귀근원ㆍ중화삼조당 건립과 치우 끌어안기 = 53
1) 귀근원과 중화삼조당 = 53
2) 탁록현의 황제 유적과 치우 유적 = 60
2. 단군신화의 웅녀(熊女) 껴안기 = 72
3. 길림성 통화현 여명문화(黎明文化)에 대한 함구 = 77
제5장. 중국의 역사관련 공정을 바라보는 시각을 바꿔야 한다 = 86
1. 동북공정 등은 단순한 '역사 문제'가 아니다 = 86
2. 기존 시각의 문제점 = 89
3. 새로운 시각으로 역사관련 공정들을 보자 = 90
제1부 주 = 94
제2부 세계를 놀라게 한 홍산문화와 요하문명
제6장. 홍산문화 이전의 요하 지역 주요 신석기문화 = 100
1. 요하 유역의 주요 신석기문화 개괄 = 101
2. 소하서문화(기원전 7000~기원전 6500년) = 106
1) '동북 지역 최고(最古)의 신석기문화 유적'으로 입증 = 106
2) '동북 지역 최고(最古)의 흙으로 만든 얼굴상(陶塑人面像)'의 발견 = 108
3. 흥륭와문화(기원전 6200~기원전 5200년) = 109
1) '세계 최고(最古)의 옥' 발견 = 109
2) '중화원고제일촌' 혹은 '화하제일촌'의 발굴 = 119
3) 최초의 용 형상물 '저수룡(猪首龍)'의 발견 = 121
4) 동북 지역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빗살무늬토기' 발견 = 123
4. 사해문화(기원전 5600년~) = 129
1) '세계제일옥(世界第一玉)'의 발굴 = 131
2) '중화제일용(中華第一龍)'의 발굴 = 131
3) '요하제일촌(遼河第一村)'의 발굴 = 138
5. 부하문화(기원전 5200~기원전 5000년) = 140
1) 가장 오래된 '복골(卜骨)'의 발견 = 140
2) 골복의 전통으로 알 수 있는 신석기 동일문화권 = 143
6. 조보구문화(기원전 5000~기원전 4400년) = 144
1) '중화제일봉(中華第一鳳)'의 발굴 = 144
2) 요서 지역 최초의 채도(彩陶) 발굴 = 146
7. 소하연문화(기원전 3000~기원전 2000년) = 151
1) 갑골문의 전신 '도부문자(陶符次宇)'의 발견 = 151
2) 세계를 놀라게 한 요서 신석기문화 = 153
제7장. 세계를 놀라게 한 홍산문화 = 155
1. 홍산(紅山)의 위치와 지형적 조건 = 156
2. 초기 홍산문화의 발견과 명명(命名) = 159
1) 일본의 고고학자 도리이 류조 = 159
2) 프랑스 신부 에밀 리쌍 박사 = 160
3) 양계초(梁啓超)의 아들인 양사영(梁思永) = 161
4) 일본학자들로 구성된 '제1차 만몽학술조사단(滿蒙學術調査團)' = 164
5) '일본 고고학의 아버지' 하마다 고사쿠 = 165
6) 역사교사 동주신(O_柱臣)이 우하량 유적지를 최초로 발견 = 166
7) 윤달(尹達)에 의해 '홍산문화'로 정식으로 명명되다 = 167
3. 세계를 놀라게 한 우하량유적의 발견 = 170
1) 우하량유적의 발견과 특징 = 170
2) 우하량 제2지점 제단(祭壇) 유적지 = 172
3) 우하량 제2지점 여신묘(女神廟) 유적지 = 186
4) 지금도 새롭게 발견되고 있는 거대 적석총 유적지 = 193
제8장. 중화문명의 시원지로서의 요하문명ㆍ홍산문화 알리기 = 195
1. '적봉홍산문화학회'의 설립과 '중국고대북방문화 국제학술연토회' = 196
2. 요하문명과 홍산문화에 대한 CCTV의 특집 방송 6편 = 204
3. 요하문명론과 홍산문화 관련 최근의 논문과 저서들 = 206
4. 적봉학원 홍산문화국제연구중심의 설립과 활동 = 209
5. 적봉시위원회 선전부의 '적봉역사문화총서' 6권 = 211
제2부 주 = 214
제3부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전개와 응용
제9장.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전개와 새로운 '중화민족' 개념의 탄생 = 222
1. 제1차 대토론(1950~1960년대) = 223
2. 제2차 대토론(1970년대 말~1980년대 말) = 226
3. 제3차 대토론(1990년대~) = 237
4. 2000년 이후 주요논문 정리요약 = 238
1) 예군민(倪軍民)ㆍ경철화(耿鐵華)ㆍ양춘길(楊春吉) = 238
2) 마대정(馬大正) = 243
3) 손진기(孫進己) = 247
(1) 각 민족의 '통일적 다민족국가' 참여에 대한 기준 확정 = 247
(2) 중국 다민족국가 형성의 방식과 시작에 대한 시각 = 250
(3) 다민족국가의 발전 전망과 구도 = 256
(4) '통일적 다민족국가' 중국의 형성 발전 과정과 시기 구분 = 257
5. 새로운 '중화민족' 개념의 탄생 = 259
제10장. 중화문명의 기원지에 대한 입장의 변화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적용(1) = 263
1. 황하 중류 앙소문화를 중화문명의 기원지로 = 263
2. 장강 하류 하모도문화를 중화문명의 기원지로 = 264
3. 요하일대 사해ㆍ홍산문화를 중화문명의 기원지로 = 265
제11장. 요하문명론 :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의 적용(2) = 268
1. '요하문명론' 등장의 배경 = 268
2. 요녕성박물관 '요하문명전'의 주제 및 핵심적인 내용 = 271
제3부 주 = 282
제4부 요하문명의 진정한 주인공은 누구인가?
제12장. 홍산문화, 요하문명과 한반도의 연계성 = 294
1. 요서와 요동을 포함한 만주 지역은 중원과는 서로 다른 문명권이었다 = 295
2. '동북 지역 최초의 신석기문화'는 요하에서 시작되었다 = 297
3. 기원전 6200년경에 이미 요서와 요동 그리고 한반도는 교류가 있었다 = 299
4. 요하 일대 유물은 만주와 한반도에서만 나타난다 = 301
5. '용(龍)'과 '봉(鳳)'도 요하 유역에서 기원하여 전파된 것이다 = 303
6. 갑골점, 갑골문의 기원도 요하에 있다 = 304
7. 왜 한반도 서해안 인대에는 요하 지역과 같이 오래된 신석기 문화가 없는가? = 309
제13장. '흐름'과 '교류'의 역사로 우리의 상고사를 보자 = 311
1. '홍산문화'는 곰 토템족으로 단군신화의 웅녀족이다 = 312
1) 옥기(玉器)문화는 북방계통 세석기문화의 후속문화이다 = 313
2) 우하량 여신묘 주실(主室) 중앙에는 곰 형상의 웅룡(熊龍)이 있있다 = 313
3) 홍산문화의 옥룡은 대부분 곰 형상의 옥웅룡(玉熊龍)이다 = 317
2. 그렇다면 단군신화의 환웅족은 누구인가? = 327
1) 환웅족은 홍산문화로 유입된 새로운 집단이다 = 327
2) 한국역사를 주도한 부여족과 신라 김씨 왕족의 이동 루트 = 331
3. '흐름'과 '교류'의 과정으로 보아야 역사의 실체가 보인다 = 332
제14장. 흐름과 교류의 산물 '삼족오(三足烏)' = 335
1. 삼족오에 대한 오해 = 335
2. 중국의 시기별 삼족오 형상 = 340
1) 앙소문화 채도에 보이는 삼족오 = 340
2) 상대 청동기에 보이는 삼족오 = 341
3) 주대의 청동 입체 삼족오상 = 343
4) 춘추시대 청동 입체 삼족조상 = 345
5) 전국시대 삼족오 = 346
6) 진ㆍ한대의 삼족오 = 346
7) 한대 이후의 삼족오 = 351
3. 고구려에서 삼족오의 화려한 부활 = 352
4. 일본으로 건너간 삼족오 = 360
1) 일본 삼족오의 기원지 '웅야(熊野) 3신사(神社)' = 360
2) 일본의 가문(家紋)으로 사용되는 삼족오 = 369
3) 일본축구협회 삼족오 상징의 유래 = 370
4) 일본 천왕과 삼족오 = 373
5) 각종 삼품으로 부활하는 삼족오 = 377
5. 삼족오의 다리는 왜 3개일까? = 379
6. 삼족오의 탄생과 전파 과정 = 383
제15장. 요하문명ㆍ동북아문명을 동북아시아 공동의 문명권으로 가꾸자 = 386
1. 갈등 국면의 한ㆍ중ㆍ일 관계 = 386
2. 문명이란 무엇인가? = 388
3. 유럽의 '에게문명'을 타산지석으로 삼자 = 391
4. '흐름과 교류'의 역사관과 '열린 민족주의'를 동북아 각국이 공유하자 = 392
5. '요하문명' 혹은 '동북아문명'을 동북아시아 공동의 문명권으로 가꾸어 가자 = 393
6. '동방 르네상스'를 위하여 = 395
제4부 주 = 397
찾아보기 = 402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