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내면서 = 4
1장. 머리말
1절 연구 목적 및 방법 = 13
2절 고인돌 연구사 = 18
1. 우리나라의 고인돌 연구 = 18
2. 경기지역의 고인돌 연구 = 29
2장. 한강 유역의 고인돌
1절 지역 개관 = 41
2절 고인돌 유적 = 44
1. 북한강 유역 = 44
2. 남한강 유역 = 53
3. 한강 본류 유역 = 97
4. 강화도 지역 = 1...
목차 전체
책을 내면서 = 4
1장. 머리말
1절 연구 목적 및 방법 = 13
2절 고인돌 연구사 = 18
1. 우리나라의 고인돌 연구 = 18
2. 경기지역의 고인돌 연구 = 29
2장. 한강 유역의 고인돌
1절 지역 개관 = 41
2절 고인돌 유적 = 44
1. 북한강 유역 = 44
2. 남한강 유역 = 53
3. 한강 본류 유역 = 97
4. 강화도 지역 = 163
3절 한강 유역 고인돌의 특징 = 224
1. 분포 = 224
2. 형식 = 230
3. 크기 = 232
4. 껴묻거리 및 연대 = 238
5. 굼 = 249
6. 기능 및 사회 복원 = 261
7. 요약 = 273
3장. 임진강 유역의 고인돌
1절 지역 개관 = 279
2절 고인돌 유적 = 281
1. 임진강 유역 = 283
2. 한탄강 유역 = 295
3절 임진강 유역 고인돌의 특징 = 310
1. 분포 = 310
2. 형식 = 314
3. 크기 = 315
4. 껴묻거리 및 연대 = 319
5. 굼 = 320
6. 기능 및 사회 복원 = 322
7. 요약 = 327
4장. 안성천 유역의 고인돌
1절 지역 개관 = 333
2절 고인돌 유적 = 338
1. 진위천 유역 = 338
2. 안성천 유역 = 363
3절 안성천 유역 고인돌의 특징 = 370
1. 분포 = 370
2. 형식 = 374
3. 크기 = 377
4. 껴묻거리 및 연대 = 380
5. 굼 = 382
6. 기능 및 사회 복원 = 384
7. 요약 = 387
5장. 경기지역 고인돌의 특징
1절 고인돌의 분포 = 393
1. 분포 현황 = 393
2. 분포 위치 = 397
3. 분포 군집 = 399
2절 고인돌의 형식 = 400
3절 고인돌의 크기 = 403
1. 덮개돌의 크기 = 403
2. 강변과 지류의 고인돌 크기 비교 = 405
3. 덮개돌의 무게 = 407
4절 고인돌의 껴묻거리 및 연대 = 409
1. 껴묻거리 = 409
2. 축조 연대 = 415
5절 고인돌의 굼 = 419
1. 굼의 분포 = 419
2. 굼의 수 = 423
3. 만든 목적 = 429
6절 고인돌 문화권과 전파 경로 = 433
1. 고인돌 문화권 = 433
2. 고인돌의 전파 경로 = 436
7절 고인돌의 기능 및 사회복원 = 442
1. 기능 = 442
2. 사회 복원 = 445
8절 과제와 전망 = 462
6장. 맺음말 = 467
참고문헌 = 473
Abstract = 492
행정구역별 고인돌 현황 = 497
찾아보기 = 502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