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6
제1장 국어교육계의 원형적 구조와 문학교육의 논리 = 17
1. 홀대받는 과목과 줄어드는 상상력 : 국어교육사와 역사적 상상력 = 17
2. 미군정기 국어교육계의 형성 과정 = 19
1) 국어교육계 형성 과정의 외적 맥락 = 20
2) 국어교육계의 역학 : 조선어학회의 좌우합작 노선과 그 좌절 = 38
3) 국어교육개혁론의...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6
제1장 국어교육계의 원형적 구조와 문학교육의 논리 = 17
1. 홀대받는 과목과 줄어드는 상상력 : 국어교육사와 역사적 상상력 = 17
2. 미군정기 국어교육계의 형성 과정 = 19
1) 국어교육계 형성 과정의 외적 맥락 = 20
2) 국어교육계의 역학 : 조선어학회의 좌우합작 노선과 그 좌절 = 38
3) 국어교육개혁론의 담론 구조 : 민족주의와 민주주의의 국어교육적 기능 = 57
3. 『중등국어교본』의 가치체계와 문학교육의 논리 = 67
1) 『중등국어교본』의 편찬 과정과 순정우익(純正右翼)의 노선 = 68
2) 문학교육의 논리 : 시 장르 집중과 진혼(鎭魂)의 기능 = 83
4. 미군정기 국어교육 개혁 과정의 역사적 의미 = 97
제2장 '문학사적 평가'에서 '성장의 시학'으로 = 99
1. 성장시 연구의 필요성 = 99
2. 성장시의 구조 = 104
1) 성장시의 원형 : 기형도의 「위험한 家系ㆍ1969」 = 104
2) '시적 자아와 서술주체의 분리'의 문화적 의미 = 106
3) 성장의 동인 : 격리 불안 = 109
4) 정체성과 '겨울'의 시간 의식 = 114
5) 동일시와 거부의 내적 모순 = 116
3. 성장시의 변증법 = 118
1) 반(反)성장과 '최초의 아버지' = 118
2) 건전한 맹목과 신화적 동일시 = 125
4. 성장시의 문학교육적 의미 = 129
제3장 임화 시의 성장시적 특성과 도덕적 사고의 발달 = 133
1. 문학교육의 정당성과 청소년의 역사적 특수성 = 133
2. 임화 시 해석 관점의 전환 : 성장시로서의 임화 시 = 142
3. 임화 시의 성장시적 특성(1) : 근대 지식 학습자의 내면 세계 형상화 = 146
4. 임화 시의 성장시적 특성(2) : 배역시 양식과 도덕적 사고의 발달 = 156
5. 역사의 주체와 성장의 변증법 = 166
제4장 일제강점기 시의 교육 내용과 방법의 재구성 = 169
1. 문제제기 = 169
2. 일제강점기 시의 교육 내용과 쟁점 = 172
1) 시의 개념 교육 차원에서의 쟁점 = 172
2) 시문학사 교육 차원에서의 쟁점 = 176
3. 일제강점기 시의 교육 방법 재구성 = 190
1) 문학사 쓰기 활동 : 엮어 읽기와 창의적 태도 = 191
2) '자기의 문학사' 쓰기 활동 : 성장의 시학과 정체성 형성 = 193
3) 비평사적 논쟁과 작품 엮어 읽기 활동 : 문학사적 주체의 형성 = 196
4. 일제강점기 시에 대한 교육의 전망 = 197
제5장 창의성 신장을 위한 시교육과정 = 199
1. 창의성 교육 담론 비판 : '天使'냐 '이데올로기'냐 = 199
2. 창의성의 과정과 구성요소 : 체계이론적 관점 = 205
3. 창의성 신장을 위한 시교육과정 구성 방향 = 212
1) '시적 창의성'의 개념과 시교육 목표로서의 창의성의 위치 = 213
2) 창의성 신장을 위한 시교육 방법 : 역할, 권한부여(empowerment), 세대론 = 216
3) 창의성 신장을 위한 시교육 내용 체계 = 225
4) 창의성 신장을 위한 시교육과 평가 : 평가의 자유 영역 또는 책임감 = 234
4. 결론 : 창의적 시 학습자의 형상 = 238
제6장 멀티-버시티에서의 문학교육 방법 = 241
1. 서론 = 241
2. 멀티미디어 시대, 블로그 세대 그리고 멀티 - 버시티(multi-versity) = 242
3. 멀티 - 버시티에서의 문학교육의 지표들 = 249
1) '개인적 지식' 생산 방법으로서의 '이론화(theorizing)' = 249
2) 비평 과정의 개방화를 통한 '문학 생활화' = 252
3) '권한부여(empowerment)'를 통한 '역사적 주체화' = 255
4. 결론 = 259
참고문헌 = 260
찾아보기 = 26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