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총설: 정조의 제왕학이 나오기까지 = 15
1. 제왕의 의미 = 15
2. 제왕학의 특징 = 18
3. 도통론과 정조 = 22
4. 君師를 실현한 정조 = 28
제1부 생애와 저술 = 37
제1장 정조의 국왕 교육 = 39
제1절 교육 과정 = 39
제2절 영조의 제왕학과 정조 = 45
제2장 정조의 어제집, 『홍재전서』 = 55
...
목차 전체
목차
총설: 정조의 제왕학이 나오기까지 = 15
1. 제왕의 의미 = 15
2. 제왕학의 특징 = 18
3. 도통론과 정조 = 22
4. 君師를 실현한 정조 = 28
제1부 생애와 저술 = 37
제1장 정조의 국왕 교육 = 39
제1절 교육 과정 = 39
제2절 영조의 제왕학과 정조 = 45
제2장 정조의 어제집, 『홍재전서』 = 55
제1절 편찬과정 = 57
제2절 판본 = 69
제3절 내용 = 77
제4절 자료적 가치 = 89
제3장 사도세자 부부의 복권 과정 = 91
제1절 정조대 이전의 조치 = 92
제2절 정조대의 존숭 = 95
제3절 정조대 이후의 존숭 = 110
제2부 제왕학의 내용 = 127
제1장 『대학유의』의 편찬 = 129
제1절 『大學』에서 『大學행義補』까지 = 130
제2절 正祖 『大學』 이해 = 137
제3절 『대학유의』의 편찬 = 145
제4절 『대학유의』의 특징 = 154
제5절 『대학유의』와 19세기 = 159
제2장 경학문헌의 특징 = 161
제1절 형식적 특징 = 163
제2절 내용적 특징 = 173
제3절 제왕학적 특징 = 183
제3장 주자서 선본의 편찬 = 191
제1절 『朱子會選』(1774년, 48권) = 193
제2절 『兩賢傳心錄』(1774년, 8권, 부록 1권) = 194
제3절 『紫陽子會英』(1775년, 3권) = 198
제4절 『朱子選統』(1781년, 3권) = 198
제5절 『朱書百選』(1794년, 6권) = 199
제6절 『朱文手圈』(1798년, 10권) = 203
제7절 『雅誦』(1799년, 8권); 『朱夫子詩』(1800년, 12책) = 206
제8절 『朱子書節約』(1800년, 20권); 『朱書分類』 = 212
제4장 『朱子全書』의 편찬 구상 = 217
제1절 주자학에 대한 평가 = 218
제2절 『주자전서』의 기획안 = 222
제3절 朱子書 편찬의 의의 = 232
제3부 제왕학의 적용 = 241
제1장 군사 정조의 교육정책 = 243
제1절 교육 대상의 변화 = 244
제2절 유생 교육 = 256
제3절 백성 교화 = 270
제2장 능행과 수도권 육성 = 279
제1절 정조의 능행일지 = 280
제2절 능행 때 내려진 조치 = 286
제3절 수도권 성장의 촉진 = 305
제3장 1779년 능행과 남한산성 = 313
제1절 능행의 경과 = 314
제2절 능행 중의 조치 = 322
제3절 능행의 의의 = 335
제4장 화성 경영과 문헌 배포 = 359
제1절 화성 경영의 추이 = 360
제2절 화성에 배포된 문헌 = 367
제3절 화성의 문헌 보관처 = 382
제4절 문헌 배포의 의미 = 387
제5장 『嶠南賓興錄』의 편찬 = 395
제1절 1788년 이후 정국의 동향 = 396
제2절 경상도 지역에 대한 조치 = 401
제3절 『교남빈흥록』 편찬의 의의 = 413
제6장 영남 남인에 대한 조치 = 425
제1절 임오의리의 제기 = 427
제2절 영남 남인 행적의 재평가 = 431
제3절 영남 인재의 선발 = 435
제4절 임오의리의 재거론 = 438
제5절 영남 학문의 현창 = 442
제6절 영남 인물의 현창 = 445
결론: 정조의 제왕학을 어떻게 볼 것인가? = 453
참고문헌 = 465
찾아보기 = 47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