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5
일러두기 = 8
프롤로그 : 목간 발굴 30년 : 고고학적 시점에서 = 13
제1편 경주 월성해자 목간
월성해자 목간 = 61
제2편 경주 안압지 목간
경주 안압지[月池] 출토 목간의 기초적 검토 : 보고서 분석과 넘버링을 중심으로 = 219
통일신라의 전달체계와 '북해통' : 안압지 출토 15호 목간의 해석 = 294
제3편 함...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5
일러두기 = 8
프롤로그 : 목간 발굴 30년 : 고고학적 시점에서 = 13
제1편 경주 월성해자 목간
월성해자 목간 = 61
제2편 경주 안압지 목간
경주 안압지[月池] 출토 목간의 기초적 검토 : 보고서 분석과 넘버링을 중심으로 = 219
통일신라의 전달체계와 '북해통' : 안압지 출토 15호 목간의 해석 = 294
제3편 함안 성산산성 목간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 = 319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성격론 : 2차 보고분을 중심으로 = 349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과 6세기 신라의 지방경영 = 381
제4편 신라 목간과 그 규격
신라목간의 형상과 규격 = 405
하남 이성산성 목간 개황 = 427
김해 봉황동 목간 斷想 = 437
황남동 376유적 출토 목간의 성격과 복원 = 440
제5편 부여 궁남지 목간
부여 궁남지 출토목간의 성격과 복원 = 469
에필로그 : 한국목간 총론 = 527
부록 : 신안 해저발견 목간의 형식과 선적 = 533
영문 요약 = 556
후기 = 55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