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장 : 유기천은 누구인가?
제1편 유기천의 생애
제1장 젊은 시절
1. 출생과 가계 = 23
2. 기라성 같은 8남매 = 26
3. 숭덕소학교 시절 = 32
4. 숭실중학교 시절 = 34
5. 히메지 고등학교 시절 = 36
6. 동경제국대학 시절 = 41
7. 동북대학 조교 시절 = 49
제2장 신생 대한민국의 법학자
1. 귀국과 경성법학전문학교 교...
목차 전체
목차
서장 : 유기천은 누구인가?
제1편 유기천의 생애
제1장 젊은 시절
1. 출생과 가계 = 23
2. 기라성 같은 8남매 = 26
3. 숭덕소학교 시절 = 32
4. 숭실중학교 시절 = 34
5. 히메지 고등학교 시절 = 36
6. 동경제국대학 시절 = 41
7. 동북대학 조교 시절 = 49
제2장 신생 대한민국의 법학자
1. 귀국과 경성법학전문학교 교수 = 55
2.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 56
3. 전쟁의 참화 속에서 = 60
4. 하버드와 예일 유학 = 67
5. 실빙과의 국제 결혼 = 76
6. 서울대학교 교무처장 = 83
제3장 정치적 소용돌이 속의 대학
1. 제2공화국 = 93
2. 5ㆍ16과 제3공화국 = 98
3. 서울대학교 법대학장 = 102
4. 사법대학원의 설립 = 115
5. 학생 데모와 6ㆍ3 사태 = 120
6. 소용돌이치는 대학 = 125
제4장 세계의 아카데미즘 속에서
1. 동서양 철학자대회 = 147
2. 국제회의와 국제저널 = 148
3. 유럽 학계 시찰 = 150
4. 세계 학계와의 교류 = 153
제5장 서울대학교 총장
1. 박정희 대통령으로부터의 임명 = 171
2. '정치교수' 사건 = 180
3. 유기천과 황산덕 = 190
4. 총장의 철학과 신념 = 195
5. 서울대 종합화와 '유기천 안' = 204
6. 한일정상화와 대학 = 212
7. '쌍권총 총장'의 누명 = 216
8. 사퇴의 아쉬움 = 220
9. 총장직에서 물러나 = 224
제6장 유신 음모 비판과 망명
1. "학자는 탤런트가 아니다" = 233
2. 마지막 강의 = 236
3. 마지막 교수회의 = 244
4. 숨어서 돕는 사람들 = 248
5. 모윤숙의 마지막 '시몬' = 251
6. 미국으로의 망명 = 259
제7장 미국에서의 망명생활
1. 푸에르토리코에서 = 269
2. 김대중 납치사건 = 277
3. 최종길 교수 사건 = 279
4. '서울의 봄'과 일시 귀국 = 282
5. 고희 기념논문집 = 287
6. 샌디에이고에서의 생활 = 288
7. 새집과 R-S빌딩 = 290
제8장 조국통일을 염원하며
1. 헬렌 실빙의 회고록 = 299
2. 망명 학자가 본 한국 현실 = 302
3. 한미우호협회 = 304
4. '세계혁명'의 출간 = 309
5. 캐티의 사명감 = 313
제9장 마지막 결단과 운면
1. '한국의 모세': 대통령 출마 결심 = 321
2. 발병과 운명 = 325
3. 장례와 안장 = 330
4. 월송기념사업회 = 342
제2편 유기천의 사상
Ⅰ. 한국문화론 = 351
Ⅱ. 자유민주주의론 = 367
Ⅲ. 형법학 = 370
Ⅳ. 법철학 = 387
Ⅴ. 법학교육론 = 392
Ⅵ. 종교관 = 410
Ⅶ. 역사관 = 415
맺음장: 추상(追想)의 월송(月松) = 419
부록
1. 유기천 연보 = 424
2. 유기천 논저 목록 = 42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