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교육원리
제1절 교육의 개념
1. 교육의 기본요소 및 가정(교육의 성립조건) = 20
2. 교육의 개념 = 22
3. 교육과 훈련 = 32
4. 교육학의 성격 = 33
제2절 교육의 3요소
1. 교육의 주체 = 36
2. 교육의 객체 = 37
3. 교육의 매개체 = 38
4. 교육 3요소의 ...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교육원리
제1절 교육의 개념
1. 교육의 기본요소 및 가정(교육의 성립조건) = 20
2. 교육의 개념 = 22
3. 교육과 훈련 = 32
4. 교육학의 성격 = 33
제2절 교육의 3요소
1. 교육의 주체 = 36
2. 교육의 객체 = 37
3. 교육의 매개체 = 38
4. 교육 3요소의 상호작용 = 38
제3절 교육의 형태
1. 교육의 형태분류의 기준 = 39
2. 형식적 교육과 비형식적 교육 = 40
3. 교육의 기본구조 = 41
4. 전인교육 = 41
5. 사회교육 = 43
6. 평생교육 = 46
7. 가정교육 = 52
8. 노작교육 = 54
9. 일반교육과 전문교육 = 56
10. 조기교육(취학전 교육) = 56
11. 영재교육 = 57
12. 특수교육 = 61
13. 열린교육 = 64
14. 대안교육 = 67
제4절 교육의 기능과 역할
1. 교육의 기능 = 69
2. 교육의 역할 = 72
제5절 교육의 효과와 한계
1. 개요 = 75
2. 교육의 효과설 = 77
3. 교육의 한계설 = 79
제6절 교육목적
1. 교육목적의 개념 = 81
2. 교육목적의 위계 = 81
3. 교육목적에 대한 논쟁 = 82
4. 교육목적 설정의 기초 자원 = 83
5. 웨슬리(E.B. Wesley)의 교육목적 설정의 원리 = 84
6. 교육목적 설정과 진술의 일반적 원리 = 84
7. 교육목적의 기능 = 85
8. 교육목적의 이원분류 = 85
9. 교육목적의 변천 = 89
10. 우리나라의 교육목적 = 91
제7절 교사론
1. 교직관과 전문직으로서의 교직 = 93
2. 교직의 전문성 = 94
3. 교사의 자질 = 97
4. 학교에서의 교사의 역할 = 101
5. 교사의 특성과 학생의 학업성취 = 103
6. 교사의 권리와 의무 = 106
7. 교원의 교육 = 108
8. 교직단체 = 110
제8절 교육제도
1. 교육제도의 개념 = 112
2. 교육제도의 일반적인 원리 = 112
3. 교육제도와 교육이념 = 113
4. 학교제도의 구조와 유형 = 115
5. 우리나라의 학제 = 117
6. 북한의 학제 = 119
실전응용문제 = 123
Focus Diagram = 134
제2장 한국교육사
제1절 삼국시대의 교육
1. 삼국시대 교육의 개관 = 138
2. 고구려의 교육 = 139
3. 백제의 교육 = 140
4. 신라의 교육 = 141
제2절 고려시대의 교육
1. 고려시대 교육의 개관 = 148
2. 고려시대의 관학 = 149
3. 고려시대의 사학 = 154
4. 고려의 과거제도 = 155
5. 고려의 교육사상가 = 158
제3절 조선시대의 교육
1. 조선시대의 교육의 개관 = 161
2. 조선시대의 관학 = 163
3. 조선시대의 사학 = 174
4. 조선의 과거제도 = 182
5. 교육에 관한 제 법규 = 187
6. 성리학과 교육 = 189
7. 실학과 교육 = 203
제4절 근대의 교육
1. 근대교육의 발전 = 215
2. 근대학교의 성립 = 216
3. 통감부하의 교육제도(1906∼1910) = 229
4. 민족 수난기의 교육 = 232
5. 일제시대 문자보급운동 = 236
6. 근대 교육 사상가 = 238
제5절 현대의 교육
1. 미군정기의 교육(1945.8.15∼정부수립 전) = 241
2. 정부 수립기의 교육(1948∼1953) = 241
3. 동란 후의 교육(1953∼1961) = 241
4. 1960∼1970년대의 교육 = 241
5. 1980년대의 교육 = 242
6. 1990년대의 교육 = 242
7. 1990년대의 후반기 교육 = 242
8. 2000년대의 교육 = 243
실전응용문제 = 244
Focus Diagram = 256
제3장 서양교육사
제1절 고대(古代)의 교육
1. 원시시대의 교육 = 260
2. 그리스의 교육 = 262
3. 로마의 교육 = 275
제2절 중세(中世)의 교육
1. 숭제 교육의 개관 = 284
2. 기독교의 교육 = 286
3. 스콜라(Schola) 철학과 교육 = 290
4. 세속적 교육 = 293
제3절 근대(近代)의 교육
1. 문예부흥과 인문주의 교육 = 301
2. 종교개혁과 교육(15∼16세기) = 311
3. 실학주의의 교육(17세기) = 322
4. 18세기(계몽기)의 교육 = 334
5. 19세기의 교육 = 353
제4절 현대사회와 교육(20세기 교육)
1. 현대의 새로운 교육운동 = 381
2. 현대 교육사상 = 385
3. 현대의 교육사상가 = 386
실전응용문제 = 395
Focus Diagram = 410
제4장 교육과정
제1절 교육과정의 의의
1. 교육과정(Curriculum)의 개념 = 414
2. 교육과정의 성격 = 419
3. 교육과정의 접근방법 = 421
4. 교육과정 사조(연구방법론 중심 사조) = 423
제2절 교육과정 개발과 모형
1. 교육과정 개발모형의 개념 = 429
2. 교육과정 개발모형 = 429
제3절 교육의 내용으로서 교과
1. 브루너(J.S. Bruner)의 지식의 구조 = 439
2. 피닉스(P.H. Phenix)의 의미의 영역 = 441
3. 브로디(H.S. Broudy)의 인지적ㆍ평가적 지도 = 443
4. 피터즈(R.S. Peters)의 지식의 형식 = 444
제4절 교육과정의 유형
1. 교육과정관의 기본 견해 = 445
2. 유형구분의 기준과 실례 = 451
3. 유형별 교육과정의 개념 = 453
4. 교육과정 유형의 새로운 시도 = 473
제5절 교육과정의 구성
1. 교육과정 구성의 원리 = 481
2. 교육과정 구성의 절차 = 482
제6절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1. 교육과정의 결정 = 502
2.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과정 = 505
3. 제5차 교육과정의 개요(1989∼1995) = 508
4. 제6차 교육과정의 개요(1995∼2003) = 509
5. 제7차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의 개요 = 514
실전응용문제 = 538
Focus Diagram = 550
제5장 교수-학습지도
제1절 교수-학습지도의 본질
1. 학습이론(Learning Theory) = 552
2. 교수이론(Insturction Theory) = 553
3. 학습지도법의 변천과정 = 555
4. 수업의 이론 = 559
5. 교수(수업)ㆍ학습ㆍ교육과정과의 관계 = 563
제2절 수업과정의 구성요소 = 565
제3절 수업의 과정과 설계
1. 수업설계의 기초 = 580
2. 수업목표의 설정 = 587
3. 학습과제 분석 = 593
4. 출발점 행동의 진단과 보충과정 = 596
5. 수업전략의 결정 = 597
6. 평가와 보충과정 = 604
제4절 교수-학습의 조건
1. 출발점 행동(出發點行動) = 605
2. 학습동기(學習動機) = 607
3. 학습환경(學習環境) = 610
4. 교과운영 조직과 학급편성 = 611
제5절 교수-학습지도의 원리
1. 학습지도(교수)의 원리 = 613
2. 학습의 원리 = 617
제6절 교수-학습지도의 형태
1. 학습지도의 형태 분류 = 618
2. 학습지도의 형태(유형) = 621
제7절 교수-학습이론과 모형
1. 학습이론의 기본 학설 = 639
2. 교수이론과 모형 = 652
제8절 교수-학습지도의 집단조직
1. 무학년제(無學年制 : Non-Graded System) = 696
2. 협동교수(Team Teaching) = 697
3. 트럼프(J.L. Thump)안 = 700
제9절 발문과 판서방법
1. 발문 = 702
2. 교사가 갖추어야 할 대화기법 = 706
3. 판서방법 = 709
실전응용문제 = 714
Focus Diagram = 731
제6장 교육공학
제1절 교육공학의 개념
1. 교육공학(Educational Technology)의 정의 = 738
2. 교육공학의 학습심리학적 배경 = 743
3. 교육공학의 역사적인 발달 = 750
4. 교육공학과 교육 = 752
5. 교육공학의 영역 = 754
6. 교육공학의 전망과 확대방안 = 755
제2절 컴푸터와 컴퓨터교육
1. 컴퓨터보조학습(CAI) = 756
2. 컴퓨터구성과 컴퓨터교육의 내용 = 761
제3절 멀티미디어와 교육
1. 멀티미디어와 교육 = 774
2. 인터넷과 교육 = 783
3. 에듀넷 = 785
4. 원격교육과 정보활용 능력 = 786
제4절 시청각교육
1. 시청각교육(Audio-Visual Education)의 의의 = 788
2. 시청각교육의 역사적 배경 = 789
3. 시청각교육의 이론 = 792
4. 시청각통신(Audio-Visual Communication : AV통신) = 800
5. 교육과 통신 = 807
6. 기호의 종류 = 810
제5절 수업매체의 분류
1. 수업(교수)매체의 개념 = 811
2. 수업매체의 원리 및 특성 = 812
3. 슈람(W. Schramm)의 매체분류 = 814
4. 브루너, 브레츠, 맥루한, 데일, 글레이저의 분류 = 816
제6절 수업매체의 종류와 활용
1. 수업매체 선정시 고려해야 할 요소 = 820
2. 수업매체 선정의 과정 = 821
3. 수업자료 선정시 고려사항 = 823
4. ASSURE 모델 = 824
5. 수업매체의 형태 = 824
6. 수업매체의 종류 = 827
7. 개별학습매체 시스템 : 프로그램학습(PI) = 845
8. 교수매체센터(IMC : Instructional Media Center) = 851
실전응용문제 = 857
Focus Diagram = 871
부록
일반색인 = 874
인명색인 = 880
참고문헌 = 884
</vol>
<vol>2
<count>
목차
제7장 생활지도
제1절 생활지도의 기초
1. 생활지도(Guidance)의 개념 = 20
2. 생활지도의 개념상의 특징 = 21
3. 생활지도의 발달 = 21
4. 생활지도의 목표 = 22
5. 생활지도의 필요성 = 23
6. 생활지도의 영역 = 24
7. 생활지도의 기본방향 = 25
8. 생활지도의 기본원리 = 26
9. 생활지도의 실천원리 = 27
제2절 생활지도의 제활동
1. 조사활동(Inventory Service) = 28
2. 정보활동(Information Service) = 29
3. 상담활동(Counseling Service) = 29
4. 정치활동(Placement Service : 定置活動) = 30
5. 추후활동(Follow-up Service : 追後活動) = 30
제3절 생활지도의 방법
1. 개별지도(상담) = 31
2. 집단지도와 집단상담 = 92
3. 진로교육 = 99
제4절 생활지도를 통한 학생의 이해방법
1. 표준화 검사 = 100
2. 임상적 방법 = 101
제5절 생활지도 문제
1. 청소년 비행(非行) = 104
2. 대중매체와 생활지도 = 115
실전응용문제 = 117
Focus Diagram = 132
제8장 교육평가
제1절 교육평가의 기초
1. 교육평가(Evaluation)의 개념 = 136
2. 교육측정과 교육평가 = 137
3. 교육평가의 목적과 기능 = 139
4. 교육평가의 영역 = 141
5. 교육평가의 기본전제 = 142
6. 교육평가의 발달 = 142
7. 교육평가의 난점(難點) = 143
8. 교육평가의 세 관점(측정관, 평가관, 총평관) = 144
9. 교육관과 평가관 = 147
제2절 교육평가모형
1. 교육평가모형의 개념 = 150
2. 목표달성모형 = 150
3. 가치판단모형 = 156
4. 의사결정모형 = 161
5. 법정재판모형 = 165
6. 자연주의모형 = 166
제3절 교육평가의 형태
1. 평가기준에 따른 분류 = 169
2. 수업과정의 단계에 따른 분류 = 176
제4절 교육평가의 절차(과정)
1. 교육목표의 설정 = 180
2. 평가장면의 선정 = 187
3. 평가도구의 제작 및 선정 = 187
4. 평가실시 및 결과처리 = 188
5. 평가결과의 해석 및 활용 = 188
제5절 평가도구의 특성(기준)
1. 타당도(Validity) = 189
2. 신뢰도(Reliability) = 193
3. 객관도(Objectivity) = 200
4. 실용도(Usability) = 201
제6절 검사문항의 제작
1. 문항제작의 기초 = 201
2. 검사의 유형 = 203
3. 주관식 검사와 객관식 검사 = 204
4. 선택형 검사의 제작 = 207
5. 서답형 검사의 제작 = 211
6. 문항의 통계적 분석 = 214
7. 표준화 검사 = 220
8. 평정법(評定法 : Rating) = 228
9. 수행평가(遂行評價)의 이해 = 230
실전응용문제 = 237
Focus Diagram = 254
제9장 교육통계
제1절 교육통계의 기초
1. 교육통계의 개념 = 258
2. 변인(變因) = 259
3. 측정치 = 260
4. 측정치 척도의 종류 = 261
제2절 빈도분포
1. 단순빈도분포표 = 252
2. 묶음빈도분포표 = 263
제3절 상대적 비교법
1. 비율(比率) = 264
2. 백분율(百分率) = 265
3. 비(比) = 265
4. 백분위(百分位) = 266
제4절 집중경향치
1. 집중경향치의 개념 = 266
2. 집중경향치의 종류 = 267
제5절 변산도
1. 변산도(산포도)의 개념 = 271
2. 변산도의 종류 = 271
제6절 상관도와 정상분포곡선
1. 상관도(相關度) = 276
2. 정상분포곡선 = 280
제7절 원점수와 표준점수
1. 원점수(原點數 : Raw Score) 성질과 등위점수 = 283
2. 표준점수(標準點數 : Standard Score) = 285
제8절 통계치의 차의 의의도
1. 영가설(零假說 : Null Hypothesis) = 288
2. CR과 의의도(P)의 수준 = 288
3. 가설검증 = 289
실전응용문제 = 291
Focus Diagram = 306
제10장 교육연구
제1절 교육연구의 기초
1. 교육연구의 성격 = 310
2. 교육연구의 유형 = 314
3. 교육연구의 절차 = 320
제2절 연구의 계획
1. 연구계획의 필요 = 322
2. 연구주제의 선정 = 323
3. 가설의 형성 = 325
제3절 자료수집의 방법
1. 관찰법 = 329
2. 질문지법 = 338
3. 면접법 = 344
4. 사회성 측정법 = 347
5. 의미분석법 = 355
6. 투사법 = 357
제4절 표집
1. 표본조사의 개념 = 360
2. 표집방법 = 362
제5절 기술적 연구법
1. 기술적 연구법의 개념 = 369
2. 조사연구 = 369
3. 발달연구 = 370
4. 사례연구 = 370
5. 내용분석 = 372
제6절 실험적 연구법
1. 실험적 연구법의 개념 = 373
2. 준실험설계 = 377
3. 진실험설계(眞實驗設計) = 382
4. 현장연구법 = 384
제7절 연구보고서의 작성
1. 연구보고서 특성 = 389
2. 연구보고서 작성 = 390
3. 장(章)ㆍ절(節)의 구성 및 문체 = 392
4. 인용ㆍ주석(각주)ㆍ참고문헌 = 396
실전응용문제 = 400
Focus Diagram = 415
제11장 교육행정
제1절 교육행정의 기초
1. 교육행정(Educational Administration)의 개념 = 418
2. 교육행정의 성격(특성) = 423
3. 현대교육행정의 특징 = 424
4. 교육행정의 영역과 과제 = 426
5. 교육행정의 기본원리(김종철의 견해) = 428
6. 교육행정의 과정 = 430
제2절 교육행정의 이론
1. 교육행정학이론의 발달과정 = 435
2. 과학적 관리론 = 441
3. 인간관계론 = 445
4. 행동과학이론 = 451
5. 체제이론(體制理論) = 453
6. 사회과정이론 = 459
7. 체제이론의 대안적 관점과 이론 = 464
8. 의사결정이론 = 466
9. 의사소통이론 = 471
제3절 지도성이론
1. 지도성의 개념 = 481
2. 지도성에 대한 이론적 접근방법 = 483
3. 지도성의 새로운 이론 = 504
4. 교육적 지도성이론 = 509
5. 집단역학이론 = 512
제4절 교육행정조직이론
1. 조직의 개념 = 517
2. 조직의 원리 = 524
3. 조직의 형태(구조) = 527
4. 학교조직 = 537
5. 교육행정조직의 특성 = 540
6. 교육행정조직의 실제 = 549
7. 동기이론 = 556
제5절 교육인사행정론
1. 교육인사행정의 개념 = 583
2. 교육직원의 선발과 임용 = 585
3. 교원의 근무 = 588
제6절 교육재정론
1. 교육재정(Educational Finance)의 개념과 원리 = 590
2. 교육경비(Educational Expenditures) = 592
3. 교육수입(Educational Revenues) = 597
4. 교육예산의 과정 = 599
제7절 교육정책과 교육기획
1. 교육정책(Educational Policy) = 605
2. 교육기획(敎育企劃) = 610
제8절 장학행정
1. 장학의 개념 = 615
2. 장학의 발달과정 = 619
3. 장학행정의 유형 = 621
4. 장학담당자 = 637
5. 장학의 원리 : 맬코아(W.T. Melchor) = 640
6. 장학지도의 방법 = 641
7. 장학지도의 기술 = 641
제9절 학교경영 및 학급경영
1. 학교경영 = 644
2. 학급경영 = 648
실전응용문제 = 650
Focus Diagram = 670
제12장 교육법규
제1절 교육법규
1. 교육법규의 개념 = 676
2. 교육법규의 성질 = 676
제2절 헌법(憲法) = 677
제3절 교육기본법
1. 총칙 = 677
2. 교육당사자 = 680
3. 교육의 진흥 = 681
제4절 초ㆍ중등교육법
1. 총칙 = 683
2. 의무교육 = 686
3. 학생과 교직원 = 688
4. 학교 = 695
제5절 초ㆍ중등교육법 시행령
1. 총칙 = 704
2. 의무교육 = 708
3. 학생 및 교직원 = 716
4. 학교 = 721
5. 학력인정 = 737
6. 보칙 = 738
제6절 평생교육법
1. 총칙 = 739
2.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임무 = 740
3. 평생교육사 = 743
4. 평생교육시설 = 743
5. 보칙 = 747
제7절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1. 총칙 = 748
2. 교육위원회 = 748
3. 교육감 = 753
4. 교육위원 및 교육감 선출 = 760
제8절 국가공무원법
1. 총칙 = 770
2. 복무(服務) = 771
제9절 교육공무원법
1. 목적 = 773
2. 교육공무원법상 용어의 정의 = 773
3. 임용 = 775
제10절 교원지위향상을 위한 특별법 = 778
제11절 교원의 노동조합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 782
제12절 교원의 노동조합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 785
제13절 교육공무원 승진규정
1. 총칙 = 788
2. 경력평정 = 788
3. 근무성적평정 = 792
4. 연수성적의 평정 = 796
제14절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1. 근무시간 = 799
2. 휴가 = 800
제15절 사무관리규정 = 803
제16절 사무관리규정 시행규칙 = 804
제17절 고등학교 이하 각급 학교 설립운영규정 = 809
제18절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 = 812
제19절 교원연수에 관한 규정 = 815
제20절 초ㆍ중ㆍ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전산처리 및 관리지침 = 816
제21절 학교보건법 = 823
제22절 학교보건법 시행령 = 824
제23절 학교신체검사규칙 = 826
제24절 유아교육진흥법 = 832
제25절 유아교육진흥법 시행령 = 835
제26절 특수교육진흥법
1. 총칙 = 838
2. 특수교육의 선정ㆍ취학 등 = 841
3. 특수교육방법의 확장 = 843
4. 보칙 = 845
제27절 특수교육진흥법 시행령 = 847
실전응용문제 = 856
부록
일반색인(Index) = 872
인명색인(Index) = 880
참고문헌 = 883
</vol>
<vol>3
<count>
목차
제1장 교육심리학
제1절 교육심리학의 기초
1. 교육심리학(Educational Psychology)의 성격 = 20
2. 교육심리학의 발달과정 = 21
3. 교육심리학의 영역 = 23
4. 인간에 대한 심리학적 해석 = 24
5. 교육심리학의 이론적 배경 = 25
6. 교육심리학파 = 30
7.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 = 32
8. 환경의 개념과 중요성 = 38
제2절 인간형성과 발달
1. 유전과 환경 = 40
2. 발달의 의미 = 44
3. 발달에 관한 학설 = 45
4. 발달의 기제(機制) = 46
5. 발달의 일반적 원리 = 47
6. 발달단계와 발달과업 = 48
제3절 신체운동의 발달과 교육
1. 신체운동발달의 특징 = 54
2. 신체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55
3. 운동기능발달의 원리 = 55
4. 신체운동의 발달과 교육과의 관계 = 56
제4절 인지적 특성의 발달과 교육
1. 지력(知力)의 발달 = 56
2. 인지발달 = 62
3. 지능과 지능검사 = 72
4. 창의력(Creativity) = 97
제5철 정의적 특성의 발달과 교육
1. 정의적 특성의 개념과 종류 = 102
2. 동기(動機) = 104
3. 욕구 = 111
4. 불안 = 112
5. 매슬로우(A.H. Maslow)의 욕구위계(단계)설 = 114
6. 성취동기 = 116
7. 포부수준(기대수준) = 117
8. 자아개념 = 118
9. 정서발달 = 120
10. 사회성 발달 = 124
11. 가치관과 학습 = 126
12. 성격발달 = 128
제6절 각 영역별 발달이론
1.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132
2. 브루너(Bruner)의 인지발달이론 = 143
3. 비고츠키(L.S. Vygotsky)의 인지발달이론 = 145
4. 도덕성의 발달 = 153
5. 프로이드(S. Freud)의 성격발달이론 = 157
6. 에릭슨(E.H. Erikson)의 사회심리적 성격발달이론 = 162
제7절 학습이론(學習理論)
1. 행동주의 학습이론(S-R이론) = 166
2. 인지이론 = 182
3. 인간주의 학습이론 = 191
제8절 학습의 조건과 과정
1. 준비도(準備度 : Readiness) = 193
2. 파지(把持)와 망각(忘却) = 197
3. 연습과 학습방법 = 206
4. 학습의 전이(轉移) = 211
제9절 적응기제(適應機制)
1. 적응의 개념 = 217
2. 욕구와 갈등 = 217
3. 적응기제 = 218
실전응용문제 = 223
Focus Diagram = 247
제2장 교육사회학
제1절 교육사회학의 학문적 성격과 발달
1. 교육사회학의 개념 = 252
2. 교육사회학의 발달 = 254
3. 교육사회학의 이론적 관점 = 257
제2절 문화와 교육
1. 문화(Culture)의 개념 및 종류 = 283
2. 문화와 교육 = 287
3. 문화변화(Cultural Change)와 교육 = 288
제3절 사회화와 교육
1. 사회화와 교육 = 292
2. 사회변화와 교육 = 296
3. 사회통제와 교육 = 302
제4절 사회집단과 교육
1. 집단의 유형과 성격 = 304
2. 가족집단과 교육 = 306
3. 동료집단(또래집단, Peer Group)과 교육 = 309
제5절 사회계층과 교육
1. 사회계층(Social Stratification)의 개념 = 312
2. 사회계층(Social Stratum)과 교육 = 314
3. 사회이동(Social Mobility) = 317
4. 교육과 사회평등 = 322
5. 교육의 기회균등 = 326
제6절 사회체제로서의 학교
1. 사회체제의 의미 = 337
2. 학교의 사회적 기능 = 341
3. 학교의 발달단계 = 344
4. 학교의 사회적 풍토 = 347
제7절 지역사회학교와 사회교육
1. 지역사회 = 349
2. 지역사회학교 = 352
3. 사회교육 = 354
제8절 학교교육의 확장과 학력상승의 원인
1. 기능론적 입장 = 357
2. 갈등론적 입장 = 359
3. 국민통합론 = 360
제9절 발전교육론
1. 발전과 교육 = 362
2. 발전교육의 실제 = 363
3. 발전교육에 대한 비판이론 = 367
실전응용문제 = 369
Focus Diagram = 384
제3장 교육철학
제1절 교육철학의 성격
1. 교육철학의 개념 = 390
2. 교육철학의 과제와 임무 = 391
3. 교육철학의 가치 = 392
4. 교육철학과 교육과학 = 393
5. 교육철학의 기능 = 394
6. 교육철학의 역사적 변천 = 396
제2절 교육관으로서의 교육철학
1. 교육철학의 대상이 되는 교육관의 종류 = 398
2. 교육의 정의방식 = 400
3. 교육의 서술적 이해 = 401
4. 교육의 규범적 이해 = 403
제3절 교육목적론으로서의 교육철학
1. 교육목적과 교육목표의 의미 = 406
2. 교육목적의 여러 차원 = 407
3. 교육목적의 결정유형 = 409
제4절 철학적 지식의 교육학적 응용으로서의 교육철학
1. 철학의 연구영역과 교육 = 412
2. 전통적 철학과 교육 = 415
제5절 지식과 교육
1. 현대교육관의 변천과 교육내용 = 423
2. 이론적 내용과 실천적 내용 = 426
3.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 = 428
4. 지식교육과 위교(僞敎, Indoctrination) = 431
제6절 현대의 교육철학
1. 진보주의(Progressivism) = 433
2. 본질주의(Essentialism) = 437
3. 항존주의(Perennialism) = 440
4. 재건주의(Reconstructionism) = 442
제7절 20세기 후반의 교육철학
1. 실존주의(Existentialism) = 445
2. 현상학과 교육 = 451
3. 분석철학(Analytic Philosophy) = 452
4. 구조주의(Structuralism) = 456
5. 인간주의 교육 = 458
6.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과 교육 = 463
7. 비판적 교육철학 = 465
8. 생태주의 교육원리와 홀리스틱(Holistic) 교육이론 = 470
9. 신자유주의 교육철학 = 477
실전응용문제 = 479
Focus Diagram = 494
부록
일반색인 = 498
인명색인 = 505
참고문헌 = 50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