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시인의 변 = 2
축시
금산문덕(金山文德) / 리우재 = 10
묵언(默言)으로 축원 / 김해성 = 12
그 나무 참 크네 / 문효치 = 14
카리브해를 바라보며 / 신협 = 16
생불(生佛)이여 / 신용대 = 18
일 흔해 가슴 / 김남환 = 19
뜻도 깊게 장수 하소서 / 오동춘 = 20
칠십의 나이 / 이청화 = 2...
목차 전체
목차
시인의 변 = 2
축시
금산문덕(金山文德) / 리우재 = 10
묵언(默言)으로 축원 / 김해성 = 12
그 나무 참 크네 / 문효치 = 14
카리브해를 바라보며 / 신협 = 16
생불(生佛)이여 / 신용대 = 18
일 흔해 가슴 / 김남환 = 19
뜻도 깊게 장수 하소서 / 오동춘 = 20
칠십의 나이 / 이청화 = 22
여일(餘日)은 / 유선 = 23
종심(從心)의 길에 / 허일 = 24
송축 금산 박상문 사백 고희 / 김광수 = 25
금산(金山) 선생 고희에 / 원용문 = 26
청송이라 이르리 / 김석철 = 28
박상문 회장님 고희에 / 유상용 = 29
금산 박상문 박사 고희연에 부쳐 / 박영록 = 30
金山 朴相文博士古稀頌 / 박영록 = 31
금산의 부처님 / 이동륜 = 32
큰 느티나무로 서서 / 우숙자 = 34
금산시인 고희기념에 부쳐 / 이인식 = 36
도봉산수도(道峯山水圖) / 유근택 = 38
송축(금산 박상문 선생 고희에 부쳐) / 김해석 = 40
금산 박상문 박사 고희에 부쳐 / 김영권 = 41
1부. 천고자연명
전자편지 = 45
요술기(妖術機) = 46
산 너머 연기 = 47
원숭이해에 부쳐 = 48
큰나무 한 그루 = 52
가양주 = 54
무염심(無染心) = 57
줄탁동시(UP啄同時) = 58
성숙 = 60
고속 철마 = 61
시조나무 = 62
꿈 = 64
첫 걸음 = 67
닭 해를 맞아 = 68
자물쇠 = 71
야생화 = 72
천고자연명(天鼓自然鳴) = 73
야송 미술 = 74
생사강 = 76
인백 기념관 = 77
2부. 말없는 주재자
말없는 주재자 (1) = 81
말없는 주재자 (2) = 82
말없는 주재자 (3) = 84
말없는 주재자 (4) = 86
말없는 주재자 (5) = 87
말없는 주재자 (6) = 88
말없는 주재자 (7) = 89
피안주재자 (8) = 90
피안주재자 (9) = 92
피안주재자 (10) = 94
피안주재자 (11) = 95
피안주재자 (12) = 96
피안주재자 (13) = 97
피안주재자 (14) = 98
안 먹을 수 없는 그것 (1) = 99
안 억을 수 없는 그것 (2) = 100
그것 안 먹고 사는 이는 없다 (3) = 101
그것 안 먹고 사는 이는 없다 (4) = 102
그것 안 먹고 사는 이는 없다 (5) = 103
그것 안 먹고 사는 이는 없다 (6) = 104
그것 안 먹고 사는 이는 없다 (7) = 105
그것 안 먹고 사는 이는 없다 (8) = 106
그것 안 먹고 사는 이는 없다 (9) = 107
그것 안 먹고 사는 이는 없다 (10) = 108
그것 안 먹고 사는 이는 없다 (11) = 109
그것 안 먹고 사는 이는 없다 (12) = 110
3부. 삼전송
유희동자(遊戱童子) = 113
훼목 운우(卉木雲雨) = 114
5인 6각(脚)시합 = 115
몸과 마음 = 116
두 영걸 별장 = 119
청계천 = 120
문학상 = 122
결실 = 123
독주(毒酒) = 124
창조자 = 125
개띠 해 = 126
삼전송(三轉頌) = 129
마음 = 130
도약 = 131
동국백년에 부쳐 = 132
탄호이저의 오페라 = 135
사경(寫經)하는 아내 = 136
감은사지 = 138
동리.목월 문학관 = 139
4부. 서방정토
만해마을 = 143
영혼 = 144
원자로(월성) = 146
고령토로 청자를 만든다 = 148
처서 = 150
육필공원 = 151
보고 듣는 자 어디가고 = 152
장수(長壽) = 154
길지(吉地) = 155
예토(穢土) = 156
서방정토 = 157
막고굴(莫高窟)(敦煌) = 158
천산 북로 = 160
낙타 승마(돈황 명사산) = 162
고창고성(高昌古城) = 163
고희송(古稀頌) = 164
시집간 딸의 「아빠란」 호칭 = 166
박상문론(朴桐文論) = 167
금산 박상문 연보 = 190
간행후기(刊行後記) = 195
편집을 끝내고 = 19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