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1 현실과 성찰
교만한 자폐와 시의 현실 = 14
역사의 전위와 후위에 선 시의 두 길 = 32
바깥의 노동, 낯선 욕망 = 55
순결의 심미적 매력 = 73
시와 영화, 공유할 수 없는 숙명 = 87
추상과 구체, 그 어긋남의 관습 = 105
2 독백의 내부, 서정의 윤리
역사와 개인이 만나는 시의 자리-최하림론(1) = 122
풍경의 자연...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1 현실과 성찰
교만한 자폐와 시의 현실 = 14
역사의 전위와 후위에 선 시의 두 길 = 32
바깥의 노동, 낯선 욕망 = 55
순결의 심미적 매력 = 73
시와 영화, 공유할 수 없는 숙명 = 87
추상과 구체, 그 어긋남의 관습 = 105
2 독백의 내부, 서정의 윤리
역사와 개인이 만나는 시의 자리-최하림론(1) = 122
풍경의 자연주의-최하림론(2) = 145
'같다'와 '싶다'가 동숙(同宿)하는 세계-문인수론 = 159
심미적 세계와 윤리적 감성-문태준론 = 168
시와 신념-맹문재론 = 177
무덤보다 깊은 우물-정인섭론 = 189
자기 손금을 파는 미학의 방법-김승희론 = 197
힘과 미(美)와 성(聖)의 세계, 그 오래된 미래-허만하론 = 208
시간, 그 홀로 깊어지며 이어지는 슬픔의 강-이승하론 = 216
고요 속 들끓음, 육체와 영혼을 넘어서는 역동성의 시학-허영자론 = 225
길과 흔적, 연민을 내장한 견인의 시학-김완하론 = 240
푸른 숟가락, 그 허기(虛飢)의 시학-성선경론 = 258
경계의 바깥과 안, 그 허기(虛飢)의 풍경-최금진론 = 268
구심력과 원심력의 관념이 나란히 놓인 진경-박남희론 = 278
3 대화와 동행
시와 영화, 그 오래된 미래 = 292
은유, 그 서정의 전언(傳言) = 305
일상의 상투성과 황폐함에 관한 섬뜩한 은유 = 320
비평의 정당한 입지 = 332
'현실주의'에 대한 강박, 미당(未堂)과 한국 현대시 = 344
시 읽기의 즐거움 = 35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