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추천사 = 3
머리말 = 5
제1부 성경적 아동양육의 기초
제1장 성경적 아동양육의 의미 = 19
1. 아동의 의미 = 21
2. 양육의 의미 = 22
3. 양육의 성경적 의미 = 23
1) "또 아비들아" = 23
2) "노엽게 하지 말고" = 24
3) "주의 교양과 훈계로" = 25
제2장 성경적 아동양육의 의의 = 29
1. 아동양육의 일반적 ...
목차 전체
목차
추천사 = 3
머리말 = 5
제1부 성경적 아동양육의 기초
제1장 성경적 아동양육의 의미 = 19
1. 아동의 의미 = 21
2. 양육의 의미 = 22
3. 양육의 성경적 의미 = 23
1) "또 아비들아" = 23
2) "노엽게 하지 말고" = 24
3) "주의 교양과 훈계로" = 25
제2장 성경적 아동양육의 의의 = 29
1. 아동양육의 일반적 의의 = 31
1) 아동 차원에서의 의의 = 31
2) 부모와 가정 차원에서의 의의 = 31
3) 사회 및 국가 차원에서의 의의 = 32
2. 성경적 아동양육의 의의 = 32
제2부 부모됨의 이해
제3장 부모됨을 위한 준비 = 37
1. 건강하고 정결한 미혼기 성관리의 의의 = 40
1) 정결한 결혼의 성립과 안정된 결혼생활 = 41
2) 건강하고 총명한 자녀의 출산 = 43
3) 건강하고 안전한 자녀양육과 바른 교육 = 45
4) 사회의 안정과 인적 자원의 보호 = 47
2. 아름다운 이성교제 및 데이트 = 48
1) 데이트의 기능과 단계 = 48
2) 데이트의 성경적 의미 = 49
3. 지혜로운 배우자의 선택 = 50
1) 배우자 선택의 준거 = 51
2) 배우자 선택에 관한 성경적 고찰 = 51
4. 견실한 약혼생활과 결혼 준비 = 54
1) 약혼의 의의 = 55
2) 약혼자의 생활에 대한 성경적 고찰 = 56
5. 자녀 출산에 대한 바른 생각 지니기 = 58
1) 독신생활의 선호와 증가 = 59
2) 무자녀 부부의 증가 = 59
3) 한 자녀 출산의 증가 = 60
4) 남아선호사상의 건재 = 61
6. 여호와를 섬기는 가정 세우기 = 63
7. 하나님 보시기에 좋은 부부되기 = 64
1) 배우자의 역할관에 대한 명료한 인식과 실천 = 65
2) 처음 사랑 지니기 = 69
제4장 부모됨의 동기 = 73
1. 부모됨의 동기에 관한 이론 = 75
2. 성경에 나타난 부모됨의 동기 = 77
1) 성의 완전성 증명 = 77
2) 자녀양육과정에서의 기쁨 향유 = 78
3) 남편의 사랑 확보와 독차지 = 78
제5장 부모됨의 의미와 역할 = 81
1. 부모기의 의미 = 83
1) 사회적 의미 = 83
2) 부모기의 성경적 의미 = 84
2. 부모됨의 역할 = 86
3. 부모 역할의 단계 = 90
1) 1단계: 이미지 형성 단계(image-making stage) = 90
2) 2단계: 양육 단계(nurturing stage) = 91
3) 3단계: 권위 단계(authority stage) = 91
4) 4단계: 설명 단계(interpretive stage) = 91
5) 5단계: 상호의존 단계(interdependent stage) = 92
6) 6단계: 떠나는 단계(departure stage) = 92
4. 부모의 발달과업 = 92
1) 태아기 부모의 발달과업 = 93
2) 신생아기 부모의 발달과업 = 94
3) 영아기 부모의 발달과업 = 95
4) 유아기 부모의 발달과업 = 96
5) 아동기 부모의 발달과업 = 96
6) 청소년기 부모의 발달과업 = 97
5. 크리스천 부모의 부모됨의 의미 = 99
1) 크리스천 부모의 발달과업의 내용 = 100
2) 교육의 핵심 내용 = 101
3) 양육과 교육방법: 열심과 본보기 = 103
4) 부모교육의 장소와 내용 = 106
제6장 부모의 양육태도 = 109
1. 양육태도의 정의 = 111
2. 양육태도 형성의 영향요인으로서 종교 = 112
3. 양육태도의 유형과 종류 = 112
4. 성경에 나타난 양육태도 = 113
1) 구약에 나타난 부모의 양육태도 = 114
2) 신약에 나타난 부모의 양육태도 = 128
제3부 성경적 아동양육의 기초
제7장 아동관의 이해 = 143
1. 전통적 아동관과 현대적 아동관 = 145
2. 성경에 나타난 아동관 = 145
1) 생명의 근원이 하나님인 아동 = 146
2) 죄성을 지녔으나 새로운 피조물이 될 수 있는 아동 = 147
3)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태어난 아동 = 150
4) 온 천하보다 귀한 아동 = 151
제8장 아동발달의 기초 이해 = 155
1. 아동발달 연구의 목적과 의의 = 157
1) 학문적 목적과 의의 = 158
2) 실용적 목적과 의의 = 160
3) 연구의 유형 = 161
2. 아동발달 관련 개념 = 163
1) 발달 = 163
2) 성장과 성숙 = 164
3.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67
1) 유전 = 167
2) 환경 = 170
3. 발달의 원리 = 173
1) 순서성의 원리 = 173
2) 연속성(계속성)의 원리 = 174
3) 상호작용의 원리 = 174
4) 개인차의 원리 = 176
4. 발달의 성격 = 177
1) 기초성(基礎性) = 177
2) 적기성(適期性) = 178
3) 누적성(累積性) = 179
4) 불가역성(不可逆性) = 179
5. 발달단계 = 180
6. 발달 영역 = 182
7. 발달과업 = 185
1) 태아기의 발달과업 = 186
2) 신생아기의 발달과업 = 186
3) 영아의 발달과업 = 187
4) 유아기의 발달과업 = 189
5) 아동기의 발달과업 = 191
제9장 아동발달의 이론과 고찰 = 193
1. 게젤의 성숙이론 = 195
1) 생애에 함축된 이론적 의미 = 195
2) 주요 개념과 발달의 원리 = 196
3) 성장패턴과 과정 = 198
4) 이론의 비판적 검토 = 201
5) 이론의 아동발달 및 양육에의 시사점 = 202
2. 매슬로우의 인본주의 이론 = 203
1) 생애에 함축된 이론적 의미 = 204
2) 욕구위계 이론 = 205
3) 이론의 비판 = 209
4) 양육에의 시사점 = 212
3.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 = 212
1) 생애를 통해 본 이론적 의미 = 213
2) 이론의 중심 개념 = 214
3) 발달단계별 특성 = 219
4) 이론의 비판적 검토 = 222
5) 이론의 아동발달 및 양육에의 시사점 = 223
4. 에릭슨의 심리사회 이론 = 224
1) 생애를 통해 본 이론적 의미 = 224
2) 중심 개념: 발달적 위기 = 226
3) 발달단계별 특성 = 226
4) 에릭슨과 프로이드 이론의 비교 = 230
5) 이론의 발달 및 교육적 의미 시사점 = 231
5. 행동주의 이론 = 235
1)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 = 235
2) 왓슨의 조건형성 이론 = 237
3)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 239
4) 반두라의 사회학습 이론 = 242
5) 행동주의 이론의 비판적 고찰 = 245
6) 행동주의 이론의 아동발달과 양육에의 시사점 = 246
7) 행동주의 이론의 성경적 조망 = 247
6.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 249
1) 생애를 통해 본 이론적 의미 = 250
2) 인지발달의 원리와 주요 개념 = 251
3) 인지발달의 단계별 특성 = 255
4) 도덕성발달의 단계별 특성 = 264
5) 이론의 비판적 고찰 = 266
6) 아동발달 및 양육에의 시사점 = 267
7) 이론의 성경적 조망 = 270
7. 콜버그의 도덕발달 단계 = 272
1) 생애에 함축된 이론적 의미 = 272
2) 발달단계별 특성 = 273
3) 피아제 이론과의 비교 = 276
4) 이론의 비판적 고찰 = 276
5) 이론의 아동발달 및 양육에의 시사점 = 276
6) 이론의 성경적 조망 = 278
8. 로렌츠의 각인이론 = 278
1) 생애를 통해 본 이론적 의미 = 278
2) 주요 개념 및 이론의 개요 = 279
3) 각인과 애착의 유사점 = 283
4) 이론의 비판적 고찰과 아동양육에의 시사점 = 284
9. 보울비의 애착이론 = 285
1) 생애에 함축된 이론적 의미 = 285
2) 중요 개념 및 이론의 개요 = 286
3) 단계별 특성 = 287
4) 이론의 비판적 고찰 = 289
5) 이론의 아동발달 및 양육에의 시사점 = 290
10. 골드만의 종교적 사고발달 이론 = 292
1) 골드만의 종교적 사고발달 연구방법 = 293
2) 종교적 개념에 대한 사고의 변화 = 294
3) 단계별 특성 = 295
4) 이론의 비판적 검토 = 298
5) 기독교 아동양육에의 시사점 = 299
11. 제임스파울러의 신앙발달 이론 = 300
1) 신앙에 대한 기본 개념 = 301
2) 신앙발달의 단계 = 303
3) 이론의 비판적 검토 = 307
4) 기독교 아동양육에의 시사점 = 311
제10장 발달장애 = 313
1. 장애의 특성과 원인 = 317
1) 정신지체 = 317
2) 언어장애 = 318
3) 시각장애 = 319
4) 청각장애 = 320
5) 지체장애 = 320
6) 정서장애 = 321
2. 성경적 관점에서 본 장애 = 323
제11장 아동과 가족관계 = 325
1. 아동의 울타리인 가족 = 327
2. 성경에서의 가족관계 = 328
1) 야곱과 에서 = 328
2) 요셉과 그의 형제들 = 329
3) 히스기야와 므낫세 = 329
4) 기드온(여룹바알)의 아들 아비멜렉과 칠십 인의 형제들 = 330
5) 요게벳과 모세, 아론, 미리암 = 331
3. 가족의 순기능ㆍ역기능 = 331
4. 건강한 가정을 위한 우리의 과제 = 334
1) 건강한 가정의 특성 = 334
2) 성경적 가정교육 = 335
참고문헌 = 338
찾아보기 = 342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