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 따이진화 = 9
중국에서 대중문화 연구를 시작하며 / 리퉈 = 15
대지용자(大智勇者)의 통찰력 / 오경희 = 27
서론 : 중국의 문화지형도 = 41
문화풍경선의 확장 = 41
문화연구와 함정 = 44
이론여행과 현실관조 = 48
대중이란 누구인가 = 50
격조인가 계급인가 = 53
현실과 담론의 논리 = 57
대중과 주체 = ...
목차 전체
목차
한국의 독자들에게 / 따이진화 = 9
중국에서 대중문화 연구를 시작하며 / 리퉈 = 15
대지용자(大智勇者)의 통찰력 / 오경희 = 27
서론 : 중국의 문화지형도 = 41
문화풍경선의 확장 = 41
문화연구와 함정 = 44
이론여행과 현실관조 = 48
대중이란 누구인가 = 50
격조인가 계급인가 = 53
현실과 담론의 논리 = 57
대중과 주체 = 60
권력과 미디어 = 66
공용공간 = 69
미디어 권력 = 80
제1장 거울의 성 돌파하기 = 89
1980년대 1 : 문혁의 서사와 계몽의 시대 = 89
1980년대 2 : 신시기의 문화영웅 = 93
1980년대 3 : 역사에 관하여 = 96
상처와 실어증 = 98
세간의 소리 주변 = 103
무거운 정적과 시끌벅적한 소리 = 108
문화라는 거울의 성 = 117
제2장 기억의 소비와 탈출 연기 = 123
이데올로기, 금기와 기억의 소비 = 123
가위눌림과 금기 = 130
엿보기와 기이한 광경 = 135
제3장 구원과 소비 = 145
마오쩌둥 문화 = 145
원화 복원 현상 : 지식청년문학 = 153
기억의 대가 = 158
제4장 상상의 노스탤지어 = 165
풍조와 기억 = 165
회고에 대한 요구 = 168
정처 없이 떠도는 추억의 배 = 174
회고와 '개인' 만들기 = 178
남국의 대두 = 182
제5장 안개 속 풍경 = 191
낙관의 돛 = 191
일종의 묘사 = 193
영화계의 세대 = 198
곤경과 돌파 = 204
적막한 무대 위 = 210
거울의 성 풍경 하나 = 216
대화, 오독 그리고 대립 = 220
'신인류'와 청춘 잔혹물 = 222
결어 또는 서막 = 227
제6장 거울 회랑에 비친 민족정체성 = 229
'유학생' 문학과 베스트셀러 = 229
세계를 향한 상상과 중국 = 235
틀 바꾸기와 문화의 부교 = 246
아메리칸 드림과 종족, 계급 = 251
제7장 세계화와 민족 표상의 배후 = 257
민족주의의 성쇠 = 257
유행의 풍속화 = 260
한 차례의 회고 = 270
'시각' 오차 = 277
지형도의 한 모서리 = 284
가족과 국가 = 288
제8장 현장, 모방 그리고 환상 = 301
주변에서 = 301
현장 = 306
중국식 포스트모던 = 316
전환기의 속임수와 모방 = 319
복제와 모방의 거울 = 327
한가지 사례 : 광언 혹은 교란 = 333
제9장 숨겨진 서사 = 353
플라자와 시장 = 353
도용과 은폐 = 357
이름없는 현실, 계급 = 364
계급의 수사학 = 374
찾아보기 = 38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