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전등삼종(상)
축간사 = 3
교주자 서문 = 6
전등신화(剪燈新話) / 구우(瞿佑)
작자소전 / 주릉가(周楞伽) = 23
서문 = 25
1. 구우(瞿佑)의 「전등신화서(剪燈新話序)」 = 26
2. 능운한(凌雲翰)의 「전등신화서(剪燈新話序)」 = 29
3. 오식(吳植)의 「전등신화인(剪燈新話引)」 = 31
...
목차 전체
목차
전등삼종(상)
축간사 = 3
교주자 서문 = 6
전등신화(剪燈新話) / 구우(瞿佑)
작자소전 / 주릉가(周楞伽) = 23
서문 = 25
1. 구우(瞿佑)의 「전등신화서(剪燈新話序)」 = 26
2. 능운한(凌雲翰)의 「전등신화서(剪燈新話序)」 = 29
3. 오식(吳植)의 「전등신화인(剪燈新話引)」 = 31
4. 김면(金冕)의 「전등신화발(剪燈新話跋)」 = 32
5. 계형(桂衡)의 「전등신화시병서(剪燈新話詩幷序)」 = 34
1. 수궁경회록(水宮慶會錄) : 용궁의 낙성식 잔치 = 38
2. 삼산복지지(三山福地志) : 삼산의 복 받은 땅 = 60
3. 화정봉고인기(華亭逢故人記) : 화정에서 만난 친구 = 75
4. 금봉차기(金鳳釵記) : 봉황 새긴 금비녀 = 86
5. 연방루기(聯芳樓記) : 연방루의 두 자매 = 99
6. 영호생명몽록(令狐生冥夢錄) : 영호생의 저승구경 = 114
7. 천태방은록(天台訪隱錄) : 천태산의 은둔자 = 125
8. 등목취유취경원기(등穆醉遊聚景園記) : 등목이 취해 놀던 취경원 = 143
9. 모란등기(牡丹燈記) : 모란등의 여자 귀신 = 160
10. 위당기우기(渭塘奇遇記) : 위당에서 맺은 기연 = 175
11. 부귀발적사지(富貴發跡司志) : 부귀 발원의 서낭당 = 190
12. 영주야묘기(永州野廟記) : 영주 들판의 사당 = 203
13. 신양동기(申陽洞記) : 신양동의 원숭이 = 213
14. 애경전(愛卿傳) : 애경의 절개 = 224
15. 취취전(翠翠傳) : 취취의 사랑 = 241
16. 용당영회록(龍堂靈會錄) : 용왕당의 신령 모임 = 263
17. 태허사법전(太虛司法傳) : 귀신 잡은 태허전 판관 = 286
18. 수문사인전(修文舍人傳) : 저승에서 온 수문사인 = 297
19. 감호야범기(鑑湖夜泛記) : 감호에서 만난 선녀 = 309
20. 녹의인전(綠衣人傳) : 푸른 옷 여인의 연분 = 326
21. 추향정기(秋香亭記) : 추향정의 추억 = 338
발문 = 352
1. 호자앙(胡子昻)의 「전등신화권후기(剪燈新話卷後紀)」 = 352
2. 안벽(晏壁)의 「추향정기발(秋香亭記跋)」 = 356
3. 당악(唐岳)의 「전등신화권후지(剪燈新話卷後志)」 = 358
4. 구우(瞿佑)의 「중교전등신화후서(重校剪燈新話後序)」 = 360
5. 조선ㆍ임기(林기)의 「전등신화구해발(剪燈新話句解跋)」 = 365
6. 조선ㆍ윤춘년(尹春年)의 「제주해전등신화후(題註解剪燈新話後)」 = 369
7. 일본ㆍ하야시 라산(林羅山)의 「제기(題記)」 = 372
멱등인화(覓燈因話) / 소경첨(邵景詹)
소인(小引) = 375
1. 계천몽감록(桂遷夢感錄) : 꿈에서 깬 계천의 참회 = 377
2. 요공자전(姚公子傳) : 요공자의 패가 망신 = 398
3. 손공인전(孫恭人傳) : 손공인이 살린 고아 = 410
4. 정렬묘기(貞烈墓記) : 정절 여인의 유서 한 장 = 417
5. 취아어록(翠娥語錄) : 양주 기녀 취아의 어록 = 424
6. 당의사전(唐義士傳) : 당의사가 지킨 유골 = 434
7. 와법사입정록(臥法師入定錄) : 와법사가 전하는 천벌 = 452
8. 정현승전(丁縣丞傳) : 정현승의 뒤늦은 후회 = 462
작품 해설
전등삼종(剪燈三種)의 창작과 전파에 대하여 = 469
1. 명대(明代) 전기소설(傳奇小說)의 부흥 = 469
2. 전등신화(剪燈新話)의 작자와 판본 = 472
3. 전등여화(剪燈餘話)와 멱등인화(覓燈因話) = 486
4. 전등삼종(剪燈三種)의 제재와 사상 = 501
5. 전등삼종(剪燈三種)의 후세 영향 = 509
6. 전등삼종(剪燈三種)의 전래와 번역 = 512
역자 후기 = 525
찾아보기 = 529
</vol>
<vol>하
<count>
목차
전등삼종(하)
축간사 = 3
교주자 서문 = 6
전등여화(剪燈餘話) / 이창기(李昌祺)
작자소전 / 주릉가(周楞伽) = 23
서문 = 26
1. 증계(曾棨)의 「전등여화서(剪燈餘話序)」 = 26
2. 왕영(王英)의 「전등여화서(剪燈餘話序)」 = 28
3. 나여경(羅汝敬)의 「전등여화서(剪燈餘話序)」 = 30
4. 유경(劉敬)의 「전등여화서(剪燈餘話序)」 = 33
5. 장광계(張光啓)의 「전등여화서(剪燈餘話序)」 = 36
6. 이정(李禎)의 「전등여화서(剪燈餘話序)」 = 39
1. 장안야행록(長安夜行錄) : 장안의 밤길에 만난 영혼 = 42
2. 청경원기(聽經猿記) : 불경에 심취한 원숭이 = 57
3. 월야탄금기(月夜彈琴記) : 달밤에 타는 거문고 = 78
4. 하사명유풍도록(何思明遊풍都錄) : 하사명의 지옥 구경 = 110
5. 양천도할원지(兩川都轄院志) : 저승 판관이 된 사나이 = 126
6. 연리수기(連理樹記) : 연리수로 이어진 사랑 = 138
7. 전수우설도연구기(田洙遇薛濤聯句記) : 전수가 만난 설도의 영혼 = 156
8. 청성무검록(靑城舞劍錄) : 청성 도사의 검무 술법 = 183
9. 추석방비파정기(秋夕訪琵琶亭記) : 가을 저녁 비파정의 궁녀 = 200
10. 난난전(鸞鸞傳) : 절개 지킨 조난난 = 227
11. 봉미초기(鳳尾草記) : 봉미초에 얽힌 사연 = 246
12. 무평영괴록(武平靈怪錄) : 무평의 밤에 만난 요괴 = 260
13. 경노전(瓊奴傳) : 왕경노의 기구한 운명 = 279
14. 만정우선록(만亭遇仙錄) : 만정에서 만난 신선 = 296
15. 호미랑전(胡媚娘傳) : 여우가 변한 호미랑 = 316
16. 동천화촉기(洞天花燭記) : 화양동 화촉의 축하시문 = 326
17. 태산어사전(泰山御史傳) : 태산 어사가 된 유생 = 341
18. 강묘니신기(江廟泥神記) : 강묘의 진흙 요정 = 354
19. 부용병기(芙蓉屛記) : 부용 병풍의 인연 = 374
20. 추천회기(추韆會記) : 그네 뛰는 천생배필 = 389
21. 지정기인행(至正妓人行) 병서(幷序) : 늙은 기생을 위한 노래 = 400
22. 가운화환혼기(賈雲華還魂記) : 가운화의 돌아온 영혼 = 434
부록
전등삼종(剪燈三種)의 전파와 영향 관련 연표 = 531
전등삼종(剪燈三種) 원전자료 목록 = 537
역자 후기 = 589
찾아보기 = 59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