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을 내면서 = 3
제1부 사회의 과학화와 과학사회논쟁
제1장 과학사회학과 과학사회논쟁 = 21
1. 들어가는 말 = 21
2. 사회의 과학화와 사회적 성찰성의 태동 = 24
1) 근대과학과 사회의 과학화과정 = 24
2) 사회적 성찰성으로서 과학사회학의 태동 = 26
3. 사회의 과학화와 사회학적 성찰 = 29
1) 제도...
목차 전체
목차
책을 내면서 = 3
제1부 사회의 과학화와 과학사회논쟁
제1장 과학사회학과 과학사회논쟁 = 21
1. 들어가는 말 = 21
2. 사회의 과학화와 사회적 성찰성의 태동 = 24
1) 근대과학과 사회의 과학화과정 = 24
2) 사회적 성찰성으로서 과학사회학의 태동 = 26
3. 사회의 과학화와 사회학적 성찰 = 29
1) 제도주의 과학사회학 = 29
2) 구성주의 과학사회학 = 34
4. 과학사회학적 성찰과 과학사회논쟁 = 40
1) 과학사회학의 내부비판과 방법론적 종합 = 40
2) 과학사회학의 새로운 지형과 과학사회논쟁연구 = 43
5. 맺는 말 = 52
제2장 한국사회와 과학사회논쟁 = 55
1. 들어가는 말 = 55
2. 한국사회의 과학화와 성찰성 그리고 과학사회논쟁 = 56
1) 한국사회의 과학화 = 56
2) 사회의 과학화 및 성찰성의 특징 = 58
3. 한국사회의 과학사회논쟁 배경(1) : 압축적 과학화 = 60
1) 압축적 과학화와 복합적 논쟁 = 60
2) 압축성과 불균등 과학화 = 65
3) 압축적 과학화에 대한 복합적 성찰성 = 67
4. 한국사회의 과학사회논쟁 배경(2) : 의존적 과학화 = 69
1) 과학지식의 세계체계론과 의존적 과학화 = 69
2) 의존적 과학화와 의존적 논쟁 = 69
5. 한국사회의 과학사회논쟁 배경(3) : 민주화와 성찰성 = 78
1) 민주화 초기의 '사회의 과학화'에 대한 성찰ㆍ논쟁 = 78
2) 민주주의의 진전과 논쟁의 다양한 유형들 = 88
6. 맺는 말 = 95
제2부 과학사회논쟁의 발전과정 : 보건환경문제를 중심으로
제3장 식품의 과학화와 튀김원료 논쟁 = 101
1. 들어가는 말 = 101
2. 우지 사건의 발생과 내용 = 102
1) 우지 사건의 발생 = 102
2) 우지 사건의 내용 = 106
3. 사건의 전개(1) : 비식용 우지의 정의와 법규위반 논쟁 = 110
1) 비식용 우지의 정의 논쟁 = 110
2) 법규위반 논쟁 = 115
4. 사건의 전개(2) : 인체 위해성의 과학논쟁 = 121
1) 비식용유의 인체 위해성과 공식적인 실험 = 121
2) 전문가 동원 = 123
5. 사건진행과 논쟁의 결과 = 126
1) 사건의 진행과정 = 126
2) 우지 사건의 결과 = 129
6. 맺는 말 = 133
제4장 먹는 물의 과학화와 정수처리제 논쟁 = 137
1. 들어가는 말 = 137
2. 환경문제와 과학기술의 연관성 = 138
3. 정수과정과 리스크로서의 환경문제 = 143
1) 정수과정과 소독 = 143
2) 리스크로서 소독과정과 소독제 = 145
4. 문제의 발견 혹은 폭로? = 148
1) 환경공학과 환경문제의 발견 = 148
2) 발견과 대응책의 딜레마 = 153
5. 문제의 발생구조 = 157
1) 관료ㆍ기업의 유착 = 157
2) 연구소와 학계의 정당화 지원 = 162
6. 환경문제에의 대응 = 163
1) 환경기술정책 = 163
2) 환경기술과 환경운동 = 165
7. 맺는 말 = 167
제5장 먹는 물의 과학화와 바이러스 논쟁 = 169
1. 들어가는 말 = 169
2. '형성되고 있는 환경문제'와 과학기술 = 170
1) 환경문제의 승인과정과 과학기술사회학 = 170
2) 과학기술과 사회의 산물로서 '먹는 물' = 173
3. 수돗물 바이러스 문제의 승인과정(1) : 과학(기술) 논쟁 = 176
1) 실험실에서 과학적 사실의 발견과 그 사회적 성격 = 176
2) 발견의 과학성과 논쟁 = 178
4. 수돗물 바이러스 문제의 승인과정(2) : 과학(기술)논쟁과 사회적 논쟁 사이 = 185
1) 논쟁과 정당화작업 = 185
2) 사회적 파급효과 논쟁 = 188
5. 수돗물 바이러스 문제의 승인과정(3) : 사회적 논쟁 = 191
1) 환경부와 서울시의 대응 = 191
2) 환경운동단체의 대응 = 194
6. 맺는 말 = 196
제6장 치아건강의 과학화와 불소 투입 논쟁 = 199
1. 들어가는 말 = 199
2. '수돗물 불소화' 의제의 발생과 확산 = 200
1) 수돗물 불소화 의제의 탄생과정 = 200
2) 시행, 확산, 그리고 논란 = 203
3. '수돗물 불소화' 의제의 수입과 보건복지부, 치과계, 그리고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 205
1) 수돗물 불소화 의제의 수입과정 = 205
2) 정부의 역할 = 207
3)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의 개입 = 210
4. '수돗물 불소화의 부작용' 의제의 수입과 '녹색평론' = 212
1) 의제의 수입과정 = 212
2) 비판 = 214
5. '수돗물 불소화' 논쟁과 그 전개과정 = 219
1) 논쟁과 대화 = 219
2) 대화 및 중재이 장들 = 228
3) 정책연합진영의 결집과 대립 = 233
6. 맺는 말 = 236
제3부 한국사회 발전과 과학사회논쟁의 향후 과제
제7장 민주주의 시대의 과학논쟁과 21세기 과학문화 = 241
1. 들어가는 말 = 241
2. 21세기 민주화의 진전과 과학사회논쟁 = 243
3. 21세기 과학문화(1) : 삶의 질 향상 = 251
1)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문화 = 251
2)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과학문화의 전제들 = 254
4. 21세기 과학문화(2) : '소통으로서 과학' 문화 = 257
1) '소통으로서 과학' 문화의 정립 = 257
2) '소통으로서 과학' 문화의 전제들 = 261
5. 맺는 말 = 265
제8장 '두 문화 횡단적' 소통과 복합지식교육 = 267
1. 들어가는 말 = 267
2. 근대지식의 발달과 '두 문화'론 = 269
1) 근대지식의 발달과 '두 문화'의 대립과 재편 = 269
2) 지식배분체계와 '두 문화' = 273
3. 지식팽창과 '두 문화'로의 길 = 276
1) 지식팽창과 지식인의 팽창 = 277
2) 문과와 이과의 구분 = 280
4. '두 문화'의 재편과 융합 = 284
1) 개별학과 내의 변화 = 284
2) 통합대학원의 경우 = 288
5. 맺는 말 : 문화 간 소통과 21세기 복합지식인 = 291
1) 복합적 소통과 '복합 지식인'되기 = 291
2) 복합적 소통과 '지식인 복합'되기 = 292
[부록 1]과학사회논쟁과 법적 규정의 문제 = 297
[부록 2]과학사회논쟁과 과학자공동체의 역할 = 325
참고문헌 = 343
찾아보기 = 361
외국어목차
Introduction =3
Part 1. Scientification of Society and Scientific-Social Controversies
Chapter 1. Sociology of Science and Scientific-Social Controversies = 21
Chapter 2. Background of Scientific-Social Controversies in Korea = 55
Part 2. Development Process of Scientific-Social Controversies in the Field of Health and Environment
Chapter 3. Scientification of Food and the Controversy on Frying Materials : The Case of Beef Tallow in 1989∼1997 = 101
Chapter 4. Scientification of Drinking Water and the Controversy on Sanitation Materials : The Case of Input of False ClO₂in 1996∼1998 = 137
Chapter 5. Scientification of Drinking Water and the Controversy on Virus : Water Virus Controversy in 1997∼2002 = 169
Chapter 6. Scientification of Dental Health and the Controversy on Fluoride : Controversy of Public Water Fluoridation from 1998 = 199
Part 3. Social Development in Korea and the Future of Scientific-Social Controversies
Chapter 7. Scientific-Social Controversies at the Age of Democracy and New Science Culture towards the 21st Century = 241
Chapter 8. "Two Cultures-Traversing" Communica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for Complex Knowledge = 267
Appendix = 297
Bibliography = 343
Index = 36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