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5
서론 = 13
제1장 혼인제도의 형성과 사료에 대한 검토 = 23
제1절 고대의 혼례식과 혼인규제 = 23
1. 삼국시대 혼인의 主婚과 절차 = 23
2. 삼국시대 혼인의 연령 및 대상 = 29
3. 통일 뒤 혼인제의 변화 = 37
제2절 『高麗史』 형법지 혼인관련 조항의 검토 = 46
1. 『고려사』의 편찬과정과 형법...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5
서론 = 13
제1장 혼인제도의 형성과 사료에 대한 검토 = 23
제1절 고대의 혼례식과 혼인규제 = 23
1. 삼국시대 혼인의 主婚과 절차 = 23
2. 삼국시대 혼인의 연령 및 대상 = 29
3. 통일 뒤 혼인제의 변화 = 37
제2절 『高麗史』 형법지 혼인관련 조항의 검토 = 46
1. 『고려사』의 편찬과정과 형법지의 구성 = 46
2. 형법지 혼인관련 조항의 편제와 내용 = 53
1) 혼인관련 기사의 소재 = 53
2) 고려 혼인율의 내용과 특징 = 56
3. 고려 혼인제의 범주와 형법지의 사료적 가치 = 61
제2장 혼인제의 운영과 변천 = 65
제1절 고려전기 혼인의 조건과 절차 = 65
1. 혼인의 대상 = 65
1) 동성근친혼에 대한 규정 = 65
2) 신분과 지위가 다른 사람과의 혼인에 대한 규정 = 74
3) 重婚에 대한 규정 = 78
2. 혼인의 시기와 연령 = 86
3. 혼인의 主婚과 절차 = 92
제2절 혼인의 거주에 대한 규정 = 96
1. 남귀여가혼의 용어와 기원에 대한 고찰 = 98
2. 남귀여가혼과 妻邊居住의 내용 = 104
3. 남귀여가혼과 여성의 지위 = 111
제3절 혼인제의 변화와 성격 = 118
1. 고려후기 혼인제의 변화 = 118
2. 혼인제의 시기별 특성 및 여성에의 영향 = 135
제3장 이혼과 재혼 = 149
제1절 이혼 = 149
1. 離婚의 용어와 성립 요건 = 149
2. 이혼의 유형과 사례 = 156
1) 和離와 義絶 = 156
2) 棄妻 = 159
3. 이혼의 절차와 성격 = 167
제2절 재혼 = 179
1. 재혼에 대한 관념 = 179
2. 재혼의 실상 = 185
3. 과부와 재혼녀의 삶 = 203
제4장 성과 성차별 = 215
제1절 혼인 외 관계에 대한 규제 = 215
1. 奸非의 개념과 범주 = 215
2. 간비의 유형과 사례 = 221
1) 凡奸 = 221
2) 非凡奸 = 227
3. 간비의 처벌과 특징 = 236
제2절 고려의 수절의식과 烈女 = 234
1. 열녀의 발생 = 256
2. 유교정치와 절부 포상 = 265
3. 성리학의 수용과 열녀의 존재 = 280
제5장 여성의 가정생활 = 291
제1절 여성에 대한 법적 이데올로기적 통제 = 291
1. 국가의 여성정책 = 291
2. 유교적 여성 교훈서와 불교의 여성관 = 296
제2절 가족 내 여성의 지위와 역할 = 303
1. 가족의 규모와 구성 = 303
2. 가족 관계와 여성의 지위 = 309
1) 부모와 자식의 관계 = 309
2) 아들과 딸 간의 관계 = 315
3) 부부관계 = 318
4) 처첩관계 = 325
3. 가족 내 여성의 역할 = 328
1) 부모 봉양 = 328
2) 남편에 대한 내조 = 329
3) 자녀양육과 교육 = 331
제3절 여성의 일과 경제활동 = 332
1. 일상적 가사노동과 손님접대 = 332
2. 상ㆍ제례와 여성의 역할 = 343
3. 가정 경영과 영리활동 = 351
결론 = 365
참고문헌 = 375
찾아보기 = 38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