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내면서
제1부 『개벽』과 천도교
『개벽』 유통망의 현황과 담당층 / 최수일 = 19
『개벽』을 이끈 사람들 / 조규태 = 87
일제하 천도교청년당의 운동노선과 정치사상 / 정용서 = 123
1920년대 전반 이돈화의 개조사상 수용과 ‘사람성性주의’ / 허수 = 179
제2부 『개벽』과 사회
『개벽』을 낳은 현실, 『개벽』에 담긴 희망 / ...
목차 전체
책을 내면서
제1부 『개벽』과 천도교
『개벽』 유통망의 현황과 담당층 / 최수일 = 19
『개벽』을 이끈 사람들 / 조규태 = 87
일제하 천도교청년당의 운동노선과 정치사상 / 정용서 = 123
1920년대 전반 이돈화의 개조사상 수용과 ‘사람성性주의’ / 허수 = 179
제2부 『개벽』과 사회
『개벽』을 낳은 현실, 『개벽』에 담긴 희망 / 김정인 = 235
김윤식 사회장 사건과 ‘사기공산당’ 반대 운동 / 임경석 = 265
3·1운동 이후 부르주아 계몽주의 세력의 수사학 / 김현주 = 297
1920년대 해외 기사의 타자표상과 지식 구성 / 차혜영 = 335
제3부 『개벽』과 문학
근대소설의 리얼리티와 『개벽』 / 이경돈 = 371
『개벽』의 종교적 이상주의와 근대문학의 사상화 / 한기형 = 407
김기진의 초기 문학론의 형성 과정 / 박수용 = 447
근대 여행과 활동사진 / 김중철 = 483
찾아보기 = 51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