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3
서론 = 13
향가의 존재 양상 = 25
1. 해독된 모습 = 27
1. 『삼국유사』의 향가 = 27
2. 《보현시원가(普賢十願歌)》 = 38
3. 그 밖의 향가 = 48
2. 향가와 배경기사 = 51
1. 서론 = 51
2. 향가와 배경기사의 관련 양상 = 52
3. 향가와 배경기사의 통합적 이해 = 59
4. 결론 = 70
3. 향가...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3
서론 = 13
향가의 존재 양상 = 25
1. 해독된 모습 = 27
1. 『삼국유사』의 향가 = 27
2. 《보현시원가(普賢十願歌)》 = 38
3. 그 밖의 향가 = 48
2. 향가와 배경기사 = 51
1. 서론 = 51
2. 향가와 배경기사의 관련 양상 = 52
3. 향가와 배경기사의 통합적 이해 = 59
4. 결론 = 70
3. 향가 문학의 판도 = 72
1. 서론 = 72
2. 향가 가사의 파편들 = 73
3. 한역 향가들 = 75
4. 내용을 추정할 수 있는 향가들 = 82
5. 현전 및 실전 향가와 그 판도 = 90
6. 결론 = 94
4. 작가와 향유방식 = 95
1. 서론 = 95
2. 향가의 작가 = 96
3. 향가의 향유방식 = 104
4. 결론 = 112
향가의 형식과 갈래 = 115
1. 율격과 형식 = 117
1. 서론 = 117
2. 향가의 율격 분석 = 118
3. 향가의 형식 재론 = 138
4. 결론 = 146
2. 10행 향가 = 147
1. 서론 = 147
2. 10행 향가의 형식적 특징 = 148
3. 10행 향가의 유형 = 150
4. 결론 = 155
3. 4행 향가 = 157
1. 문제 제기 = 157
2. 〈서동요〉의 낭만적 사랑 = 158
3. 〈풍요〉와 존재의 의미 = 162
4. 〈헌화가〉의 정열과 여유 = 165
5. 〈도솔가〉의 정성과 위엄 = 167
6. 4행 향가의 문학성 = 172
4. 8행 향가 = 177
1. 서론 = 177
2. 〈모죽지랑가〉 배경기사의 이해 = 178
3. 〈모죽지랑가〉의 의미 구조 = 184
4. 8행 향가의 내적 형식 = 188
5. 장가 = 194
1. 서론 = 194
2. '장가'의 기록과 그 내용 = 195
3. 〈청조가〉를 통해 본 장가의 형식 = 199
4. 결론 = 202
향가의 표현 = 205
1. 인용 구문 = 207
1. 서론 = 207
2. 인용 구문의 양상 = 208
3. 인용 구문과 향가의 서사적, 교술적 성격 = 212
4. 인용 구문을 통한 내면의 입체적 표출 = 218
5. 결론: 향가의 시가사적 위치와 관련하여 = 223
2. 비유법 = 226
1. 서론 = 226
2. 비유를 통한 의미 생성 양상 = 227
3. 시적 상상력의 성격 = 243
4. 결론 = 248
3. 상징 (1) - 달, 물 = 249
1. 서론 = 249
2. 달 = 250
3. 물 = 257
4. 결론 = 262
4. 상징 (2) - 나무, 꽃, 길 = 264
1. 서론 = 264
2. 나무 = 265
3. 꽃 = 270
4. 길 = 274
5. 결론 = 280
향가 작품의 성격 = 283
1. 혜성가 = 285
1. 문제 제기 = 285
2. 신술(神術)과 사기 행각의 사이 = 287
3. 진평왕대와 작품의 내용 = 292
4. 천문 해석의 현실적 문맥 = 298
5. 결론 = 304
2. 모죽지랑가 = 306
1. 서론 = 306
2. 「효소왕대 죽지랑」 검토 = 307
3. 효소왕대의 시대 상황과 죽지랑의 처지 = 320
4. 작품에 나타난 전환기적 현실 인식 = 327
5. 결론 = 333
3. 제망매가 = 335
1. 문제 제기 = 335
2. 작품의 시어 분석 = 336
3. '생사의 길'과 작품의 주제 = 345
4. 결론 = 350
4. 원왕생가와 도천수관음가 = 351
1. 서론 = 351
2. 의미 맥락 = 352
3. 시어의 배치 = 356
4. 작품의 구조 = 359
5. 결론 = 364
향가의 주제와 사상 = 367
1. 주제 분류 = 369
1. 서론 = 369
2. 향가 주제의 몇 가지 범주 = 371
3. 주제를 통해 본 향가의 성격 = 375
4. 결론 = 383
2. 정치의 이념과 현실 = 385
1. 서론 = 385
2. 〈도솔가〉에 담긴 국왕의 마음 = 387
3. 〈안민가〉의 애민(愛民)의 이념과 당대 현실 = 393
4. 신충의 정치적 역정과 〈원가〉 = 401
5. 결론 = 407
3. 사랑의 기쁨과 슬픔 = 409
1. 서론 = 409
2. 사랑의 계략과 성숙의 의미 - 〈서동요〉 = 410
3. 사랑스런 감정과 근접성 - 〈헌화가〉 = 412
4. 사랑의 쟁취와 외부의 시선 - 〈처용가〉 = 417
5. 결론 = 422
4. 극락왕생의 이상 = 424
1. 서론 = 424
2. '원왕생'의 일념 수도 - 〈원왕생가〉 = 425
3. 개인 및 집단의 왕생 의지 - 〈제망매가〉, 〈찬기파랑가〉 = 429
4. 무욕과 은둔 수도 - 〈우적가〉 = 435
5. 결론 = 438
『화랑세기』와 향가 = 441
1. 자료의 신빙성 = 443
1. 서론 = 443
2. 기존 자료와는 다른 맥락의 사건 서술 = 444
3. 우리말 어순에 따른 문장 구성 = 449
4. 향찰식 한자 사용 = 454
5. 〈송사다함가〉에 쓰인 향찰의 성격 = 458
6. 결론 = 463
2. 미실과 사다함의 사랑과 노래 = 464
1. 서론 = 464
2. 미실과 사다함의 만남과 이별 = 465
3. 슬픈 운명의 사랑 노래 = 473
4. 사다함의 죽음과 그 이후 = 480
5. 결론 = 484
3. 골품제 사랑과 향가 = 486
1. 서론 = 486
2. 『화랑세기』에 나타난 사랑의 양상 = 487
3. 신라 귀족 사회의 사랑과 향가 = 498
4. 결론 = 508
4. 화랑의 이념과 향가 = 510
1. 서론 = 510
2. 화랑의 이념 추출 = 511
3. 화랑의 이념으로 본 향가 = 522
4. 결론 = 531
향가의 해체와 계승 = 533
1. 서론 = 535
2. 향가 형식의 해체와 고려가요 = 536
3. 향가 형식과 시조의 형성 = 542
4. 결론 = 547
참고 문헌 = 550
영문 초록(Abstract) = 561
찾아보기 = 57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