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13
제1장 서설
1. 한국연극사의 기술방법 = 25
1) 연극에 관한 역사ㆍ연극의 역사 = 25
2) 연극사 기술의 범위와 양식적 분류 = 28
3) 현대극의 개념과 분류 = 32
2. 현대극 성립의 문화기반 = 43
1) 신세대 극단 및 관객의 진출 = 43
2) 국립극장의 정립과 소극장의 증설 = 47
3) 신세대 극작가의 출현 = 5...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13
제1장 서설
1. 한국연극사의 기술방법 = 25
1) 연극에 관한 역사ㆍ연극의 역사 = 25
2) 연극사 기술의 범위와 양식적 분류 = 28
3) 현대극의 개념과 분류 = 32
2. 현대극 성립의 문화기반 = 43
1) 신세대 극단 및 관객의 진출 = 43
2) 국립극장의 정립과 소극장의 증설 = 47
3) 신세대 극작가의 출현 = 51
4) 번역극과 전통연희의 영향 = 53
5) 연극검열제도 = 59
제2장 근대양식의 지속과 전개
1. 사실극의 계승과 분단현실 = 65
1) 사실극ㆍ마당극 = 65
2) 1960년대의 사실극 = 67
3) 차범석의 사실극 = 71
4) 사실극의 다층화 = 76
5) 1980년대의 사실주의 = 84
6) 윤조병의 연작 = 89
7) 정복근의 사실극 = 95
8) 후기 산업사회의 사실극 = 98
9) 재외작가 한진, 유미리 = 111
10) 사실극의 의의와 과제 = 112
2. 희극의 계승과 현대 풍자극 = 116
1) 희극ㆍ희비극 = 116
2) 현대 희극의 개척자, 오영진 = 118
3) 로맨틱 코미디의 성황 = 122
4) 풍자희극의 정착 = 128
5) 1990년대 이후의 희극 = 134
6) 쓰카코헤이의 충격 = 144
7) 희극ㆍ풍자극의 의의와 과제 = 147
3. 역사극과 역사인식 = 150
1) 역사극의 인식 = 150
2) 김의경의 역사극 = 152
3) 김상렬의 역사극 = 156
4) 1970년대의 역사극 = 158
5) 1980, 90년대 역사극 = 162
6) 2000년대의 역사극 = 164
7) 역사극의 의의와 과제 = 167
4. 창극의 계승과 독자성의 위기 = 169
1) 창극ㆍ국립창극단 = 169
2) 5가ㆍ창극 연출 = 171
3) 신창극의 모색 = 174
4) 창극의 의의와 과제 = 177
제3장 서구양식의 수용과 창조
1. 서사극의 수용과 변용 = 183
1) 브레히트ㆍ서사극 = 183
2) 서사극의 전도사, 이근삼 = 186
3) 이재현의 기록극 = 195
4) 1980년대의 서사극 = 202
5) 오태석의 서사극 = 208
6) 김석만의 연출 = 211
7) 1990년대 이후의 서사극 = 217
8) 서사극의 의의와 과제 = 219
2. 부조리극의 수용과 모색 = 221
1) 부조리극ㆍ반연극 = 221
2) 오태석의 시도 = 224
3) 부조리극의 다양한 실험 = 227
4) 이현화와 부조리극의 정착 = 230
5) 임영웅의 〈고도를 기다리며〉 = 234
6) 부조리극의 의의와 미래 = 237
3. 신화극의 대두와 원형성의 탐색 = 240
1) 살아 있는 원형 = 240
2) 최인훈과 신화극의 대두 = 241
3) 이강백의 신하극 = 251
4) 신화의 다양한 활용 = 258
5) 이윤택과 신화극의 심화 = 271
6) 재일동포 정의신ㆍ김수진의 충격 = 274
7) 신화극의 의의와 관계 = 276
4. 잔혹극ㆍ개방극의 수용과 절충 = 278
1) 개방과 참여 = 278
2) 오태석의 잔혹극 = 280
3) 이현화의 잔혹극 = 287
4) 1980년대의 개방극 = 292
5) 1990년대 이후 = 300
6) 잔혹극ㆍ개방극의 의의와 과제 = 308
5. 뮤지컬 시대의 개막 = 310
1) 가극ㆍ악극ㆍ뮤지컬 = 310
2) 뮤지컬의 창작 = 312
3) 뮤지컬의 영역 확대 = 319
4) 뮤지컬의 시대 = 322
제4장 전통양식의 계승과 발전
1. 굿극의 시도와 제의성의 추구 = 331
1) 샤먼의 원시극 = 331
2) 굿과 굿극 = 334
3) 굿극의 모색과 전개 = 336
4) 굿극과 문화상호주의 = 341
5) 이윤택과 굿극 = 343
6) 굿극의 의의와 과제 = 346
2. 탈춤극과 탈놀이의 계승 = 348
1) 가면극의 전승 = 348
2) 탈춤극의 대두와 실험 = 351
3) 이승규의 탈춤극 = 355
4) 채희완의 탈춤극 = 359
5) 탈춤극의 의의와 과제 = 360
3. 꼭두극의 가치와 현대 인형극 = 362
1) 현대 '꼭두극' = 362
2) 심우성의 꼭두극 = 364
3) 꼭두극의 다양한 시도 = 367
4) 꼭두극의 의의와 과제 = 370
4. 재담극의 부흥과 화술극의 전통 = 371
1) 기지에 찬 화술극 = 371
2) 1970년대의 재담극 = 373
3) 오태석의 재담극 = 378
4) 1980년대 이후의 재담극 = 383
5) 재담극의 의의와 과제 = 387
5. 마당극의 출현과 노동극 = 389
1) 마당극ㆍ노동극ㆍ민족극 = 389
2) 마당극과 시대정신 = 392
3) 마당극의 전성기 = 395
4) 노동극의 대두 = 401
5) 마당극의 의의와 과제 = 404
6. 가무악극의 시도와 전통 음악극의 필요성 = 406
1) 전통음악과 음악극 = 406
2) 손진책의 연출작 = 408
3) 이승규의 연출작 = 411
4) 70, 80년대 가무악극 = 413
5) 1990년대 이후 = 417
6) 가무악극의 의의와 과제 = 421
제5장 결어
1. 한국 현대극의 의의와 과제 = 427
2. 일문 초록(抄錄, abstract) = 445
참고문헌 = 463
찾아보기 = 46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