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5
제1장 교육의 개념과 본질 = 15
1. 교육의 개념 = 16
1) 교육의 어의(語義) = 16
2) 교육의 정의 = 17
2. 교육의 본질 = 19
1) 성장으로서의 교육 = 20
2) 조성작용으로서의 교육 = 20
3) 가치형성으로서의 교육 = 21
4) 교화로서의 교육 = 21
5) 경험으로서의 교육 =...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5
제1장 교육의 개념과 본질 = 15
1. 교육의 개념 = 16
1) 교육의 어의(語義) = 16
2) 교육의 정의 = 17
2. 교육의 본질 = 19
1) 성장으로서의 교육 = 20
2) 조성작용으로서의 교육 = 20
3) 가치형성으로서의 교육 = 21
4) 교화로서의 교육 = 21
5) 경험으로서의 교육 = 22
6) 문화 전달로서의 교육 = 23
7) 사회화로서의 교육 = 24
3. 교육의 구성 요소 = 24
1) 교사 = 24
2) 학습자 = 25
3) 교육내용 = 25
4.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 26
1) 교육의 가능성 = 26
2) 교육의 한계성 = 27
3) 유전과 환경과의 관계 = 30
제2장 교육의 역사적 기초 = 33
1. 우리나라 교육의 변천 = 34
1) 삼국시대의 교육 = 34
2) 고려시대의 교육 = 36
3) 조선시대의 교육 = 39
4) 개화기의 교육 = 44
2. 서양 교육의 변천 = 49
1) 희랍시대의 교육 = 50
2) 로마시대의 교육 = 52
3) 중세의 교육 = 54
4) 문예부흥과 종교개혁기의 교육 = 57
5) 17세기 실학주의교육 = 58
6) 18세기 계몽주의와 교육 = 60
7) 19세기 신인문주의와 교육 = 61
제3장 교육의 철학적 기초 = 63
1. 교육철학의 개념 = 64
2. 교육철학의 기초 = 65
1) 사변적 기능 = 65
2) 평가적 기능 = 66
3) 분석적 기능 = 67
3. 현대 교육철학의 기초 = 68
1) 20세기 전반의 교육철학 = 68
2) 20세기 후반의 교육철학 = 73
제4장 교육의 심리학적 기초 = 79
1. 교육심리학의 배경 = 80
1) 교육심리학의 정의 = 80
2) 교육심리학의 성립과 발달 = 81
2. 발달이론 = 84
1) 인지발달이론 = 84
2) 정보처리이론 = 85
3) 발달과업이론 = 85
4) 도덕발달이론 = 86
5) 사회심리적 발달이론 = 89
3. 학습이론 = 93
1) 자극-반응 결합설 = 93
2)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 94
3) 도구적 조건형성이론 = 97
4) 통찰설 = 100
제5장 교육의 사회학적 기초 = 103
1. 교육사회학의 성격 = 104
2. 후기 산업ㆍ정보화 사회의 특징 = 105
1) 사회의 다원화와 급속화 = 106
2) 과학ㆍ기술의 통합과 급속한 발달 = 106
3) 정보ㆍ지식의 폭발적 증가 = 107
4) 다양한 직업의 등장과 직업 간의 상호작용 증가 = 108
5) 여유시간, 성인, 여성지위 등 증가 = 108
3. 교육사회학의 이론 = 109
1) 기능주의 교육이론 = 110
2) 갈등론적 교육이론 = 111
3) 교육에 대한 해석학적 패러다임 = 112
4. 교육의 사회적 기능 = 119
1) 문화유산의 전달기능 = 119
2) 사회통합의 기능 = 121
3) 사회충원의 기능 = 122
4) 사회적 지위이동의 기능 = 122
5) 사회개혁의 기능 = 123
제6장 교육과정 = 125
1. 교육과정의 개념 = 126
1) 교육과정의 어의 = 126
2) 교육과정의 정의 = 127
3) 교육과정의 성격 = 133
4) 교육과정의 구성 요소 = 136
5) 교육과정의 개념모형 = 139
2. 교육과정의 유형 = 143
1) 교과중심 교육과정 = 143
2) 경험중심 교육과정 = 147
3) 학문중심 교육과정 = 151
4) 인간중심 교육과정 = 155
3. 교육과정이론의 유형 = 159
1) 전통주의 = 162
2) 개념-경험주의 = 164
3) 재개념주의 = 166
제7장 교수-학습 = 171
1. 교수-학습의 개념 = 172
1) 교수 = 172
2) 학습 = 173
3) 교수-학습의 차이점 = 174
4) 교수-학습의 원리 = 175
5) 교수-학습의 성립요소 = 178
2. 교수이론 = 181
1) Bruner의 교수이론 = 181
2) Cronbach의 적성-처치 상호작용모형 = 184
3)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 = 186
4) Gagn<TEX>$$\acute e$$</TEX>의 수업이론 = 188
5) Glaser의 교수모형 = 189
6) Ausubel의 유의미학습 = 191
7) Flanders의 수업분석모형 = 192
3. 교수-학습방법의 유형 = 193
1) 고전적 교수-학습방법 = 194
2) 지력개발 교수-학습방법 = 194
3) 상호작용 촉진 교수-학습방법 = 195
4) 개별화 교수-학습방법 = 196
5) 공학적 교수-학습방법 = 196
6) 치유적 교수-학습방법 = 197
제8장 교육공학 = 199
1. 교육공학의 학문적 발전과 개념 = 200
1) 교육공학 개념의 발달 = 200
2) 교육공학의 연구영역 = 202
2. 교수매체와 그 교육적 활용 = 206
1) 교수매체 = 207
2) 교수매체의 종류 = 210
3) 교육공학의 교육적 활용 = 211
3. 교수체제설계와 공학 = 215
1) 교수체계 설계의 발달과 모형 = 216
2) 교수체계 설계의 적용 = 218
4. 교육공학의 최근 동향 = 221
1) e-Learning의 발달 = 222
2) 전자책과 전자교과서 = 224
3) 유비쿼터스 러닝 = 226
제9장 교육평가 = 227
1. 교육평가의 개념 = 228
1) 교육평가의 정의 = 228
2) 교육평가의 기능 = 229
3) 교육평가의 형태 분류 = 232
4) 측정ㆍ평가의 개념구분 = 238
2. 평가문항의 형태와 제작 = 239
1) 문항형태의 구분 = 239
2) 문항개발의 절차 = 243
3. 좋은 평가도구의 조건 = 253
1) 타당도 = 253
2) 신뢰도 = 255
3) 타당도와 신뢰도와의 관계 = 257
4) 객관도 = 258
5) 실용도 = 259
제10장 생활지도 = 261
1. 생활지도의 개념 = 262
1) 생활지도의 의미 = 262
2) 생활지도의 원리 = 263
3) 생활지도의 역사적 배경 = 265
2. 생활지도의 영역 = 267
1) 생활지도의 내용별 영역 = 267
2) 생활지도의 활동별 영역 = 268
3. 상담 = 271
1) 상담의 개념 = 271
2) 상담의 구분 = 272
제11장 교육행정 = 277
1. 교육행정의 개념 = 278
1) 교육행정의 정의 = 278
2) 교육행정의 성격 = 280
3) 교육행정의 원리 = 282
4) 교육행정이론의 발전 = 285
2. 교육행정의 조직 = 287
1) 행정조직의 원리 = 288
2) 교육행정의 조직 = 290
제12장 교사론 = 293
1. 교직과 교사 = 294
1) 전문직의 특성 = 294
2) 교직의 전문성 = 296
3) 교직의 자율성 = 299
4) 교직과 교직관의 발전 = 301
5) 교사변인과 학업성취 = 302
2. 교사의 역할과 자질 = 305
1) 교사의 역할 = 305
2) 교사의 자질 = 307
제13장 교육연구법 = 311
1. 교육연구의 이해 = 312
1) 연구란 무엇인가? = 312
2) 연구논문을 쓰는 자세 = 315
3) 연구논문의 주제선정 = 315
4) 논제는 어떻게 정하는가? = 318
2. 어떻게 연구를 시작할 것인가 = 320
1) 연구문제의 인식 = 320
2) 연구문제의 제기 = 321
3) 관련 문헌의 고찰 = 322
4) 연구문제의 진술 및 가설설정 = 324
5) 중요개념 또는 용어의 정의 = 327
3. 연구를 어떻게 할 것인가(연구방법) = 330
1) 연구의 설계 = 330
2) 실험연구의 타당도 = 336
3) 연구 대상의 선정 = 339
4) 측정검사도구의 선정 및 제작 = 339
5) 예비 실시 = 340
6) 본 조사ㆍ실험 등 실제 자료수집 = 340
7)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토 = 340
4. 자료분석을 어떻게 할 것인가 = 341
1) 자료의 정리 또는 처리 = 341
2) 자료의 분석 = 342
3) 연구결과의 제시 = 343
4) 연구결과의 논의 = 343
5) 연구결과의 요약 및 결론 = 344
5. 교육학 연구에서의 각 단계별 점검사항 = 345
제14장 교육통계 = 351
1. 측정에 사용하는 척도 = 352
1) 명명척도 = 352
2) 서열척도 = 353
3) 등간척도 = 354
4) 비율척도 = 354
2. 정상분포곡선 = 355
1) 정상분포곡선의 유래 = 355
2) 정상분포곡선의 형태 = 356
3) 정상분포곡선의 특징 = 358
4) 정상분포의 이용 = 358
5) 정상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59
3. 표준점수 = 360
1) 표준점수의 개념 = 360
2) 표준점수의 기능과 원리 = 360
3) 표준점수의 종류 = 361
4) 표준점수 상호간의 관계 = 370
4. 검사점수의 처리를 위한 기초통계 = 371
1) 통계의 개념과 기능 = 371
2) 통계의 유형분류 = 373
3) 도수분포와 그래프를 통한 점수들의 표시 = 374
4) 집중경향치 = 377
5) 분산도 = 380
6) 상관관계 = 384
제15장 평생교육 = 389
1. 평생교육의 필요성 및 개념 = 390
1) 평생교육의 필요성 = 390
2) 삶의 질 향상과 관련한 평생교육의 필요성 = 393
3) 평생교육의 개념 및 의의 = 395
2. 평생교육자 및 평생교육사 = 398
1) 평생교육자 및 평생교육사 = 398
2) 평생교육자의 역할 = 401
3) 평생교육자의 요건 = 402
3. 지식기반사회와 대학 평생교육 = 405
1) 대학의 평생교육 = 405
2)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대학 평생교육 = 407
참고문헌 = 413
찾아보기 = 41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