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Ⅰ. 서론 = 10
Ⅱ. 비고츠키주의자의 언어적 자기규제론의 이론적 기초 = 20
1. 비고츠키 심리학의 기본 개요 = 22
2. 비고츠키 심리학의 형성 배경 = 26
1) 마르크스 심리학의 영향 = 27
2) 피아제의 발생적 인식론 = 35
3) 자넷의 사회심리학 = 46
4) 소련의 신경생리학 = 49
Ⅲ. 비고츠키주의자의 언어적...
목차 전체
목차
Ⅰ. 서론 = 10
Ⅱ. 비고츠키주의자의 언어적 자기규제론의 이론적 기초 = 20
1. 비고츠키 심리학의 기본 개요 = 22
2. 비고츠키 심리학의 형성 배경 = 26
1) 마르크스 심리학의 영향 = 27
2) 피아제의 발생적 인식론 = 35
3) 자넷의 사회심리학 = 46
4) 소련의 신경생리학 = 49
Ⅲ. 비고츠키주의자의 언어적 자기규제론 = 64
1. 비고츠키의 언어적 자기규제론 = 66
1) 고등정신기능의 사회문화적 관점 = 66
2) 언어와 사고의 발달 과정 = 71
3) 사적 언어(private speech)와 내적 언어(inner speech) = 75
2. 루리아의 언어적 자기규제론 = 79
1) 루리아의 언어적 자기규제의 이론적 특성 = 80
2) 루리아의 언어적 자기규제의 경험적 기초 = 83
3) 루리아의 언어적 자기규제의 3단계 이론 = 88
3. 비고츠키와 루리아의 언어적 자기규제론의 비교 = 92
Ⅳ. 비고츠키주의자의 언어의 규제적 기능과 그 발달 = 96
1. 사적 언어의 구문론적 특성: 언어의 규제적 기능 = 99
1) 사회적 언어의 기존 지식과 새로운 지식 = 99
2) 레온데프의 활동 이론에 기초한 행위 = 103
3) 행위와 사적 언어의 기존 그리고 새로운 구조 = 106
2. 언어의 규제적 기능의 발달 = 110
1) 외적 언어의 자기규제 = 111
2) 내적 언어의 자기규제 = 116
Ⅴ. 비고츠키주의자의 언어적 자기규제론의 도덕교육적 함의 = 124
1. 사회문화적 관점과 도덕교육 = 127
1) 도덕의 기원으로서 사회ㆍ문화 = 127
2) 언어적 자기규제와 도덕교육 = 132
2. 사회적 구성주의와 도덕교육 = 142
1)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 143
2) 급진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 = 146
3) 사회적 구성주의와 도덕교육 = 149
3. 근접발달 영역과 도덕교육 = 150
1) 근접발달 영역과 도덕적 지식 = 152
2) 자기통제와 자기규제의 구별 = 155
3) 도덕사회화와 도덕발달의 조화 = 160
Ⅵ. 결론 = 164
참고문헌 = 177
부 록 = 18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